•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erobic counts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4초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한 토양경작법에서 TPH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최적조건 도출 (Identification of Optimal Operation Factors for Landfarming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권잎새;이한욱;김진환;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1호
    • /
    • pp.94-103
    • /
    • 2016
  • Landfarming that supplies aerobic biodegradation condition to indigenous microbes in soils is a biological remediation technology. In this research, volatilization and biodegradation rate by indigenous microbes in the soil contaminated with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were measured. Soils were contaminated with diesel artificially and divided into two parts. One was sterilized by autoclave to remove indigenous microorganism and the other was used as it was. Various moisture contents and number of tillings were applied to the soil to find out proper condition to minimize volatilization and enhance bioremediation. Volatilization of TPH was inhibited and biodegradation was enhanced by increase on moisture content. Tilling was usually used to supply air for microbes, but tillings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microbes in our study. Enough moisture content and proper aeration are important to control volatilization in landfarming. Also, TPH degradation was a function of the microbe counts (x1), numbers of tilling (x2), and moisture content (x3) from the application of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e order of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be microbe counts > numbers of tilling > moisture content.

양배추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및 제어 (Microbial Assessment of Wild Cabbage and its Control)

  • 조준일;김근성;박경진;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2-167
    • /
    • 2004
  • 최소 가공식품(minimally processed food)의 형태로 살균과정 없이 시장에서 유통되어 섭취되는 채소류들은 미생물 오염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식품 안전상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양배추를 표본으로 하여 이에 잔존하고 있는 aerobic mesophilic bactcria, total coliforms, E. coli, lactic acid bacteria, 그리고 yeasts&molds로 대표되는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chemical sanitizer chlorine, ethanol, 그리고 hydrogen peroxide를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이들 균에 대한 살균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물 세척은 초기 균수를 $0.3-1.2\;log_{10}\;CFU/g$ 감소시켰으며 chlorine(CL), ethanol(ET), hydrogen peroxide(HP) 단독처리는 물보다 살균효과가 컸으나 이들 2가지씩의 조합보다는 효과가 적었다. 이들 세 가지 조합인 CEH로 처리하였을 경우 총 호기성균은 $4\;log_{10}\;CFU/g$, 대장균은 $3\;log_{10}\;CFU/g$, 유산균은 $2\;log_{10}\;CFU/g$, 효모/곰팡이는 $1\;log_{10}\;CFU/g$ 감소로 다른 조합의 세척 방법보다 효과적인 미생물 살균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CEH 조합 살균 소독제 처리는 양배추 등 야채류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좋은 제어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굴과 Weakfish의 저온저장중 생균수 및 Microflora의 변화 (Changes in the Viable Counts and Microflora of Oyster and Weakfish during Cold Storage)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2-319
    • /
    • 1996
  • 굴(Crassostrea virginica)과 Weakfish(Cynoscion regalix)를 냉장(6$^{\circ}C$), 빙장($0^{\circ}C$), 부분동결저장(-4$^{\circ}C$) 및 동결저장(-2$0^{\circ}C$)온도에서 45일간 저장하면서 생균수 와 microflor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온도에서 저온저장중 굴로부터 255주, Weakfish로부터 240주, 합계 495주를 분리하여 microflor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직전의 생선에서 생균수는 굴이 4.9$\times$10/ sup 5/CFU/g, Weakfish가 $1.5\times$$10^4$CFU/$cm^2$였다. 저장직전의 굴에서는 Pseudomonas ll1III/IV가 67%, Vibrio가 20%를 차지하였다. Weakfish에서는 Acinetobacter가 40% Moraxella가 33%로서 주종을 이루었으며 Pseudomonas와 Vibrio는 아주 적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굴의 저온저장중 microflora는 저장온도에 큰 관계 없이 모든 저장온도에서 Pseudomonas lIII/IV-H가 전체 균주의 67.4%, Flavobacterium/Cytophaga가 9.3%, 다음으로는 Vibrio가 6.3%를 차지하였고 약 15%의 세균은 동정하지 못하였다. Weakfish의 저온저장중 microflora는 냉장, 빙장, 부분동결저장한 경우에 비호염성균인 Pseudomonas III/IV-NH가 전체 균주의 60~100%를 차지하였으며 동결저장한 Weakfish에서는 Moraxella가 전체 분리 균주의 40~60%를 차지하였다. 전체적으로 굴에서는 호염성 균주(pseudomonas III/ IV-H와 Vibrio)가 우세하였고 구균류가 분리되지 않았으나 Weakfish에서는 비호염균주(PseudomonasIII/IV -NH와 Moraxella가 우세하였으며 구균류가 4.6% 검출되었다. 저온저장한 굴과 Weakfish에서 Vibrio의 검출률은 굴에서 Weakfish보다 3배 높았으며 Listeria spp. 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강한 용혈작용을 가진 균들이 각각 9주, 8주씩 분리되어 주의가 요망된다.

  • PDF

재료를 달리한 김치의 품질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s with different Ingredients)

  • 김명희;신말식;전덕영;홍윤호;임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8-277
    • /
    • 1987
  • 재료(고추가루, 파, 마늘, 생강)를 달리하여 담근 김치를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호기성 생균수와 성분 함량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호기성 생균수는 숙성이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다가 숙성 2일후에는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염도는 $1.8{\sim}2.0%$이었으며 적정 산도는 1일째는 고추가루 무첨가군과 파 무첨가군이, 5일 이후에는 마늘 무첨가군이 낮았다. 총당 함량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1.8{\sim}2.7g/100g$에서 $0.8{\sim}1.1g/100g$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 함량은 고추가루 무첨가군과 생강무첨가군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었다. 휘발성 유기산 함량은 시료나 숙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숙성 전기간을 통해 외관은 고추가루 무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나빴으며 탄산미는 생강 무첨가군이 유의적으로 좋았고, 조직감과 이취는 마늘 무첨가군이 가장 나빴다. 종합적인 맛을 생장 무침가군이 가장 좋았고 마늘 무첨가군이 가장 나쁘게 평가되었다.

  • PDF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전처리 나물류 및 가공업체에서의 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Preprocessed Namuls in School Food Service and Processing Plant)

  • 곽수진;김수진;엔크자갈 라왁사르나이;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6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 유통되는 전처리 나물류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에 납품되는 전처리 나물류 19가지 종류의 총 94개 샘플을 대상으로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장내세균, S. aureus 및 B. cereus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의 오염수준은 3.39~8.42 logCFU/g, 대장균군의 오염수준은 3.16~7.84 logCFU/g, 대장균 0~3.62 logCFU/g, 장내세균 2.53~7.55 logCFU/g, S. aureus 0~3.82 logCFU/g, B. cereus 0~4.72 logCFU/g 으로 결론적으로 전처리 나물류의 경우 세척, 데침 등의 전처리를 한 후 유통됨에도 불구하고 공정의 효과가 없이 높은 오염수준을 나타냈다. 6가지 전처리 나물류의 공정과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확인한 본 연구에서는 나물종류, 균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침지, 세척과정에서의 미생물 감소 효과가 많이 나타나지 않았고 특히 탈수과정에서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세척 공정과정에서의 방법 설정 및 위생관리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나물원료의 전처리 과정에 대한 공정방법 및 과정을 재검토하고 보관 및 유통단계에서의 냉장온도 관리를 철저히 하여 최종 유통단계에 이르기까지 안전을 위한 총체적인 위생관리 방안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중 온도, pH, potassium sorbate를 이용한 딸기 paste의 natural microflora의 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Potassium Sorbate against Natural Microflora in Strawberry Paste during Storage)

  • 조준일;하상도;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55-360
    • /
    • 2004
  • 시판중인 딸기의 미생물에 대한 잔류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 잔류 미생물들을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대장균, 유산균, 그리고 효모/곰팡이 등의 5가지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총호기성균은 약 8 log CFU/g, 대장균군은 약 2 log CFU/g, 그리고 유산균은 약 3 log CFU/g 정도씩 각각 검출되었다. 그리고 대장균과 효모/곰팡이는 검출한계(< 10 cells/g)미만에서 불검출되었다. 그리고 model system으로서 딸기 paste를 제조하여 7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온도, 보존제, 딸기 paste의 pH 등 3가지 hurdle들이 딸기에 잔류하는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그리고 유산균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딸기 paste의 저장온도는 저온($4^{\circ}C$), 상온($20^{\circ}C$), 그리고 고온($37^{\circ}C$)을 선정하였고, 보존제는 0.1% potassium sorbate를 사용하였으며, 딸기 paste의 pH는 4와 7로 조정하였다. 이들 3가지 hurdle별 딸기 paste의 저장기간 중 잔류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저장온도 >pH> potassium sorbate 첨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hurdle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딸기 paste의 pH를 4로 하여 potassium sorbate를 0.1% 첨가한 후, $4^{\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딸기 중 잔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tein digestibility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 Lee, Seonmin;Choi, Yun-Sang;Jo, Kyung;Kim, Tae-Kyung;Yong, Hae In;Jung, Samooe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5호
    • /
    • pp.741-752
    • /
    • 2020
  • Herein, the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lyophilized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flour with and without defatting using 70% ethanol was compared with beef loin. Proximate analysis showed that the defatted larvae contained the highest protein content (p < 0.05). The viable counts of total aerobic bacteria, Escherichia coli, and coliform bacteria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defatting the larval samples with 70% ethanol (p < 0.05). Measurement of α-amino group content an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revealed higher amounts of low molecular weight proteins in the larvae compared to beef loin (p < 0.05). After in vitro digestion, the degree of protein hydrolysis of the digesta was higher for both larvae samples compared to beef loin (p < 0.05). No change was observed in the in vitro larval protein digestibility after defatting. These results highlight the excellent protein digestibility of P. brevitarsis larvae with high protein content. Defatting insect flour with 70% ethanol could enhance microbial safety while maintaining excellent protein digestibility.

Comparison of Meat Quality Traits in Salami Added by Nitrate-free Salts or Nitrate Pickling Salt during Ripening

  • Yim, Dong-Gyun;Ali, Mahabbat;Nam, Ki-Ch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20
    • /
    • 2020
  • The intent of this study was to scrutinize the consequence of salt type [sundried salt, refined salt, baked salt, or nitrate pickling salt (NP)]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features of salami formulated by soaking with Aspergillus spp. before ripening. The effects of nitrate-free salts added were not significant. Nitrate pickling salt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tein level, whereas those were lower in fat level during ripening (p<0.05). The pH of salamis treated with N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alt treatments, while weight losses of those was lower (p<0.05). During the ripening and drying, NP produced lower extent of volatile basic nitrogen and lipid oxidation than those with other salts (p<0.05). The total aerobic population counts of NP samples revealed low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over the ripening time. The addition of NP in salamis produced redder sausages. The salamis containing NP found to be better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ttributes than the other salt types.

Microbi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Broccoli with Different Sanitizers and Contact Times

  • Das, Basanta Kumar;Kim, Ji-G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63-36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and contact times on storage quality and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broccoli. Fresh broccoli samples were cut into small pieces, washed each for 90 s and 180 s in normal tap water (TW), $100\;{\mu}/l$ chlorinated water (CL, pH 7), electrolyzed water (EW, pH 7.2) containing $100\;{\mu}/l$ free chlorine, or $2\;{\mu}/l$ ozonated water ($O_3$). Then, samples were packaged in 30-${\mu}m$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5^{\circ}C$ for 9 day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as composition and color parameters ($L^*$, $a^*$, $b^*$, and hue angle) among different sanitizers with contact times. No off-odor was detected during the storage. A longer contact time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except with $O_3$ washing. $O_3$ with 90 s was not much effective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compared with Cl or EW. However, samples washed with $O_3$ for 180 s observed the lowest numbers of total aerobic and coliform plate counts. The result suggested that, a longer contact time of ozone can be used as a potential sanitizer to maintain the microbi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broccoli.

시판 음식의 조리 단계별 HACCP 설정을 위한 연구 (I) 탕류(갈비탕, 설렁탕, 장국)의 위해분석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of Korean Soups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Hazard Analysis of Tang (Galbitang, Sullungtang, Jangkuk))

  • 계승희;문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44
    • /
    • 1995
  • A hazard analysis which included watching operations, measuring temperatures of foods throughout preparation and display, and sampling and testing for microorganisms of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bacteria was conducted in various phases of product flow of Korean soups (Galbitang, Sullungtang, Jangkuk)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Cooked foods were sometimes held at room temperature long enough to permit multiplication of bacteria that might have been present. This was confirmed by the finding of large numbers of aerobic mesophilic colonies ($10^6$) in samples of such foods after handling and holding for several hours before served. These bacteria decreased down to $10^1{\sim}10^2$ while the contaminated Tang were served. And internal temperature of Tang served was approximately $70^{\circ}C$. Critical control points identified were, pre-preparation, handling after cooking and holding on display. Guidelines were suggested for effective quality control of Tang (Korean soups) production. Handlers of these foods need to be informed of the hazards and appropriate preventive meas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