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factor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4초

하천 지형인자의 확률론적 산정 방식 연구 (A Research on the Probabilistic Calculation Method of River Topographic Factors)

  • 추연문;마윤한;박상호;서종철;김윤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09-516
    • /
    • 2020
  • 1960년대 이후 경제발전을 위한 하천 개수사업, 도시화에 따른 소하천의 복개 등으로 많은 하천이 오염되고 파괴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측량된 하천 지형인자를 이용해 하천을 분석한 연구가 많았으나, 홍수 시와 같이 유량이 급격히 변하는 경우에는 측량이 쉽지 않다. 또한, 이전까지의 연구는 주로 하천의 횡단면에 대한 연구가 많아 하천 종단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하여 하천 유역에 대한 평균 하천 경사, 하천 경사, 하천 종단고도를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였으며, 충청북도 지방하천 기본계획에서 얻은 달천 유역과 부산 온천천, 동천 기본계획에서 얻은 하천 특성인자 실측 자료와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엔트로피 이론에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해 매개변수를 산정한 후 하천별 종단고도 엔트로피식을 산정하였으며, 평균 하천 경사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식의 적용성을 R2로 분석한 결과, R2가 모두 0.96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하천 특성인자를 산정하는데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Mechanism of the Marine Terraces Formation on the Southeastern Coast in Korea)

  • 윤순옥;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38
    • /
    • 2000
  • The marine terraces often offer come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the topographic development during the Quaternary and the present landforms in korea. We examined the mechanism of the marine terraces formation along the coast from Samjung-Ri(community), Guryongpo-Eup(county) to Haseo-Ri, Yangnam-Myun(county), Gyungju-Si(city). Among the various but unique factors of the given coastal environment, which should contribute to the marine terraces formation together, we focused on five possible factors for the present stydy. Geologic difference in bedrocks, protrusion degree of coastiline, topological relief of sea-bottom, fluvial characteristics on land, and pattern of the waves appeared to act cooperatibely on the terrace formation of Southeastem coast in korea, while the fluvial characteristics seemed play a significant but localized role in it. Wide distribution of middle surfaces on the coast of Samjungri-Janggilri could be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high waves and the weakness of the Tertiary volcanic rocks. For the sporadic distribution of the terraces on the coast of Gupungri-Gyewonri, it seemed attributable to the erosion -susceptible weak bedrock, the coastline of inner bay, shallow sea-bottom with the gentle relief, and other fluvial characteristics with the low divides. Together with the geologic difference in bedrock, other factors including protrusion degree of coast, topological relief of sea-bottom, and the transportation loads by the stream Daejongchon are believed to act cooperatively on the mechanism of the marine terraces formation on the coast of Duwonri-Upchonri.

  • PDF

작부체계를 고려한 새만금유역의 토양유실량 추정 (Estimating Soil Losses from Saemangeum Watershed based on Cropping Systems)

  • 이은정;조영경;박승우;김학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6호
    • /
    • pp.101-112
    • /
    • 2006
  •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as developed to estimate basin-wide soil losses using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It was applied to estimate the annual average soil losses from the Saemangeum watershed. The USLE factors for each subarea of uniform land use and treatments were estimated from the GIS routines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land cover and detailed soil maps. A routine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averaged cropping management factors (C) of USLE for multi-cropping farmlands, based on cropping system records from the district offices. The resulting C factors ranged from 0.28 to 0.35 for multi-cropping areas.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soil loss was approximately 2.9 million tonnes. Typical soil losses from different land uses were 0.8 t/ha at paddies, 33.7 t/ha at uplands and 1.1 t/ha from forested mountains. It was also found that 6.0% of the arable land of the watershed possessed high risks of soil losses, and conservation measures were needed to reduce soil losses.

The 2021 Australian/New Zealand Standard, AS/NZS 1170.2:2021

  • John D. Holmes;Richard G.J. Flay;John D. Ginger;Matthew Mason;Antonios Rofail;Graeme S. Wood
    • Wind and Structures
    • /
    • 제37권2호
    • /
    • pp.95-104
    • /
    • 2023
  • The latest revision of AS/NZS 1170.2 incorporates some new research and knowledge on strong winds, climate change, and shape factors for new structures of interest such as solar panels. Unlike most other jurisdictions, Australia and New Zealand covers a vast area of land, a latitude range from 11° to 47°S climatic zones from tropical to cold temperate, and virtually every type of extreme wind event. The latter includes gales from synoptic-scale depressions, severe convectively-driven downdrafts from thunderstorms, tropical cyclones, downslope winds, and tornadoes. All except tornadoes are now covered within AS/NZS 1170.2. The paper describes the main features of the 2021 edition with emphasis on the new content, including the changes in the regional boundaries, regional wind speeds, terrain-height, topographic and direction multipliers. A new 'climate change multiplier' has been included, and the gust and turbulence profiles for over-water winds have been revised. Amongst the changes to the provisions for shape factors, values are provided for ground-mounted solar panels, and new data are provided for curved roofs. New methods have been given for dynamic response factors for poles and masts, and advice given for acceleration calculations for high-rise buildings and other dynamically wind-sensitive structures.

농촌다운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네트워크 분석과 AHP 분석 활용 - (Development and importance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for formation of future-oriented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network analysis and AHP analysis)

  • 이차희;임정언;이상문;윤상헌
    • 농촌계획
    • /
    • 제25권2호
    • /
    • pp.89-9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factors for formation of the future - oriented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this evaluation factors. The main research methods are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AHP analysis and importance analysis for exper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 factors for evaluation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environmental-sustainability, communality, self-reliance, aesthetic, enjoyment, settlement), 3 sub-factors of each factors, and key physical facilities(10 for rural center and 28 for rural villages) were derived by literature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on it. Second, key priority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physical formation of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was deducted by AHP analysis. Improving accessibility of living services in the settlement factor, improvement of garbage collec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round the residential area, and ensuring topographic continuity in the environmental-sustainability factor was derived as a priority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facilities in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cultural welfare facilities in common. However, when compared with the villages where the harmony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iving environment is emphasized, convenience of living and accessibility of transportation were important in the rural cen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lving the qualitative conditions as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help to attract new popul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by suggesting strategic priority items when carrying out projects related to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creation in the future.

지형학적 인자를 이용한 광역 홍수범람 위험지역 분석 (Analysis of large-scale flood inundation area using optimal topographic factors)

  • 이경상;이대업;정성호;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6호
    • /
    • pp.481-490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한 홍수재해의 시 공간적 패턴의 변화가 복잡해짐에 따라 홍수범람 예측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으로 홍수위험등급 및 범람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홍수위험지도의 작성이 필요하다. 실제로 고정밀도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지형, 지질, 토지피복, 기상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강우-유출-범람해석을 통해 침수면적 및 침수깊이 등 범람 정보를 획득해야 되며, 2차적으로 피해액 산정을 위해 사회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DB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자료가 부족하고, 일부지역에서는 자료자체를 획득할 수가 없어 홍수위험지도 제작이 불가능하거나 그 정확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STER 또는 SRTM과 같은 범용 지형자료로부터 주요 지형학적 인자를 선정하고, 선형이진분류법(Liner binary classifiers)과 ROC분석(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을 사용하여 실제 홍수유역을 유사하게 모의하는 최적 지형학적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역 홍수범람지도를 작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북한(2007), 방글라데시(2007), 인도네시아(2010), 태국(2011), 미얀마(2015) 5개국의 대규모 홍수범람에 대해 적용하였다. 실제 홍수범람 영상정보에서 획득된 침수면적과의 공간적 비교 검토 결과, 최저(38%, 방글라데시), 최고(78%)으로 평균적으로 약 60%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형학적 인자 기반의 홍수범람지도 작성방법은 미계측유역에 대해서도 DEM만을 사용하여 홍수위험 지역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1 2차원 범람해석 모형의 적용이 어려운 대유역에 대해 홍수범람 우려지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형과 산불피해도와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form and Forest Fire Severity)

  • 이병두;원명수;장광민;이명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8-67
    • /
    • 2008
  • 지형은 연료의 구성과 기상 및 산불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의 흐름에 영향을 미쳐 산불행동에 관여하는 인자이다. 따라서 지형에 따른 산불피해도를 정략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산불위험도 작성 및 진화대원 안전 확보에 있어 기초 자료로 응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삼척(2000년 발생), 청양(2002년 발생), 양양(2005년 발생) 산불을 대상으로 산불피해도를 분석하고 지형을 구분한 다음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두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산불피해도는 산불 전후 Landsat TM 영상에서 추출한 정규탄화지수(Normalized Burn Ratio)의 차이를 이용하였다. 지형은 지형위치지수(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이용해 Weiss(2001)가 제시한 10개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산지수로, 능선, 산복사면 등의 지형에서 산불피해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곡저구릉, 평탄곡지, 평지 등의 지형은 산불피해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임상별로 세분해 보면 산불피해도는 침엽수림에서 활엽수림에 비해 지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TER 스테레오 영상의 폐색영역 보정에 의한 DEM 생성 (Generation of DEM by Correcting Blockage Areas on ASTER Stereo Images)

  • 이진덕;박진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5-163
    • /
    • 2010
  • NASA의 Terra 위성에 탑재된 ASTER는 기선고도비 0.6, 15m 해상도의 along-track 디지털 스테레오 영상자료를 제공한다. $43km{\times}50km $ 지역에 대한 ASTER 스테레오영상으로부터 ENVI 4.1 소프트웨어의 자동 스테레오 상관처리과정을 실행하여 $15m{\times}15m$의 DEM을 추출하였다. ASTER DEM의 정확도를 1:25,000축척의 수치지형도로부터 얻은 DEM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높이에서 RMSE ${\pm}7{\sim}{\pm}20m$를 나타냈다. RMSE ${\pm}10m$를 초과하게 하는 요인들로서 구름지역, 수역, 건물지역들을 제외한 지역들의 DEM 정확도는 5.789m의 RMSE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름지역과 그림자 지역을 토지피복 분류에 의해 검출하여 추출된 ASRER DEM(엄밀히 말해서 DSM) 상에서 그 부분들을 제거한 다음, 밴드간 연산기법을 이용하여 이 부분을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한 DEM으로 대치함으로써 지형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2차원 수리해석에 의한 하천 제방 위험도 평가분석 (Hazard Evaluation of Levee by Two-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 박준형;김태형;한건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7
    • /
    • 2016
  •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방의 안전도 평가는 여러 가지 붕괴원인 중 하나의 요인에 대해서만 평가를 하거나 주로 제방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한 1차원 수리분석을 통한 평가에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기법들은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없으며, 정확한 지형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지형정보를 반영한 2차원 수리해석을 결과를 이용하여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인 월류, 침투, 침식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제방 위험도 지수를 제안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주요 합류부에 대해 하천준설사업 전 후의 지형 변화를 고려하여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수리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제방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하천의 형상을 반영한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한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제방위험도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리산 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 오구균;권태호;이규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8-78
    • /
    • 1991
  • 지리산 국립공원지역에서 주연부식생구조 및 출현수종을 밝히기 위하여 1991년 8~10월 사이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대 북동사면의 주연부로부터 삼림내부로의 거리 증가에 따라 하층수종의 상대우점치가 변화하였다. 주연부로부터 30m까지 식생구조의 변화가 있었으며, 주연부의 깊이는 15~20m 이었다. 고도, 지형적위치 및 방위요인이 주연부 수종과 출현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연부식생은 능선과 산록부간의 지형적 위치와 중복부 이상에서의 남향과 북향의 방위간에 심한 차이를 나타냈다. 남.북사면간의 하층식생구조를 비교해 볼 때, 개체수와 피도는 북사면에서, 반대로 수종 수, 종다양도 및 조릿대 피도는 남사면에서 더 많거나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