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oth enamel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6초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법랑질 및 상아질 와동 형성시의 치수내 온도변화 (Intrapulpal Temperature Change during Cavity Preparation on the Enamel and Dentin with an Er:YAG Laser)

  • 양희영;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57-46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과 상아질에서 와동을 형성하는 동안 치수벽에서 발생하는 온도변화를 관찰하여 치수 손상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조사반복율의 차이에 따른 영향도 함께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건전 대구치에 access cavity를 형성하고 레진 block에 식립한 다음, 온도측정센서를 레이저가 조사될 치수벽에 위치시켰다. 레이저를 조사하는 동안 분사되는 물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진을 이용하여 occlusal cap을 만들고 가운데 작은 구멍을 내어 온도측정센서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치아의 내부는 생리식염수로 채웠다. 치아표본은 법랑질실험군과 상아질 실험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치아표본수는 5개로 하였다. 상아질군에서는 모든 표본의 상아질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고속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상아질 두께가 2 mm가 되도록 삭제하여 사용하였다. $3\;mm{\times}2\;mm$의 일정한 면적을 치면에 표시한 다음 와동을 형성하였는데, 법랑질군에서는 상아질 이 노출되는 순간까지, 상아질군에서는 상아질벽이 천공되는 순간까지 온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방식은 접촉식(contact mode)으로 하였으며 레이저가 한번 조사되는 시간을 3초 이하로 유지하면서 와동을 형성하였다. 300 mJ의 펄스 에너지, 10, 15, 20 Hz의 조사반복율, 1.6 ml/min의 물분사량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레이저 조사측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Er:YAG 레이저 조사시 적절한 양의 물분사가 이루어질 때, 즉 1.6 ml/min의 물분사량과 300 mJ의 펄스에너지의 조건에서 법랑질에서 와동형성시 10, 15, 20 Hz 의 조사반복율 모두에서 온도상승이 미미하여 치수손상을 야기할 만한 온도상승이 이루어 지지 않았고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도 존재하지 않았다(p=0.358). 상아질에서의 와동형성시에는 조사반복율이 증가할수록 온도상승이 컸지만(p=0.001), 실제 온도상승은 여전히 치수손상을 야기 하지 않는 안전한 범위에 있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양의 물이 레이저 조사면에 적절하게 분사되기만 하면 법랑질이나 상아질에 서의 와동형성은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접착강화제 도포후 인공타액에 오염된 표면의 처리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번연누출과 전단결합강도 (MARGINAL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S OF ARTIFICIAL SALIVA-CONTAMINATED SURFACE AFTER PRIMING)

  • 조영곤;고기종;이석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1호
    • /
    • pp.46-55
    • /
    • 2000
  • During bonding procedure of composite resin, the prepared cavity can be contaminated by saliva. In this study, marginal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of a composite resin to primed enamel and dentin treated with artificial saliva(Taliva$^{(R)}$) were evaluated. For the marginal microleakage test,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in the buccal surfaces of fifty molars. The sample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5 groups with 10 samples in each group. Control group was applied with a bonding system (Scotchbond$^{TM}$ Multi-Purpose plus) according to manufacture's directions without saliva contamination.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contaminated with artificial saliva for 30 seconds after priming: Experimental 1 group ; artificial saliva was dried with compressed air only, Experimental 2 group ; artificial saliva was rinsed and dried. Experimental 3 group ; cavities were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after rinsing and drying artificial saliva. Experimental 4 group ; cavities were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and primer was reapplied after rinsing and drying artificial saliva. All the cavities were applied a bonding agent and filled with a composite resin (Z-100$^{TM}$). Specimens were immersed in 0.5% basic fuschin dye for 24 hours and embedded in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sectioned buccolingually with diamond wheel saw. Four sections were obtained from one specimen. Degree of marginal leakage was scored under stereomicroscope and their scores were averaged from four sec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Kruscal-Wallis test and Fisher's LSD. For the shear bond strength test, the buccal or occlusal surfaces of one hundred molar teeth were ground to expose enamel(n=50) or dentin(n=50) using diamond wheel saw and its surface was smoothed with Lapping and Polishing Machine(South Bay Technology Co., U.S.A.). Samples were divided into 5 groups. Treatment of saliva-contaminated enamel and dentin surfaces was same as the marginal microleakage test and composite resin was bonded via a gelatin capsule.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48 hours.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AGS-1000 4D, Shimaduzu Co., Japan) with a crosshead speed of 5 mm/minute. Failure mode of fracture sites was examined under stereomicroscope.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Tukey's studentized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Enamel marginal microleak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2. Dentinal marginal microleakages of control, experimental 2 and 4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experimental 1 and 3 groups (p<0.05). 3. The shear bond strength to enamel was the highest value in control group (20.03${\pm}$4.47MPa) and the lowest value in experimental 1 group (13.28${\pm}$6.52MP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1 group and other groups (p<0.05). 4. The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was higher in control group (17.87${\pm}$4.02MPa) and experimental 4 group (16.38${\pm}$3.23MPa) than in other groups, its value was low in experimental 1 group (3.95${\pm}$2.51 MPa) and experimental 2 group (6.72${\pm}$2.26MPa)(p<0.05). 5. Failure mode of fractured site on the enamel showed mostly adhesive failures in experimental 1 and 3 groups. 6. Failure mode of fractured site on the dentin did not show adhesive failures in control group, but showed mostly adhesive failure in experimental groups. As a summary of above results, if the primed tooth surface was contaminated with artificial saliva, primer should be reapplied after re-etching it.

  • PDF

산성음료가 치아색 수복재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idic drinks on the surface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 방석윤;김은정;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69-481
    • /
    • 2006
  • 법랑질 침식의 병인 중에서 식이습관은 많은 관심을 받아왔고 특히 산성음료의 음용이 많은 주의를 끌어왔다. 산성음료의 급속한 소비량 증가는 치아뿐만 아니라 치아색 수복재료의 표면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일상적으로 접하는 산성음료 중 가장 보편화된 3종을 선택하여 치아색 수복재료의 노출시간에 따른 표면의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Resin-modified glass-ionomer, polyacid-modified composite resin, composite resin을 0.9% NaCl, 콜라, 오렌지 쥬스, 스포츠 음료의 각 4개 군으로 나누어 저장하였다. 저장 전과 저장 후 1일, 1-,2-,3-,4-주에 표면강도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성음료에 저장했을 경우 composite resin을 제외한 치아색 수복재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표면강도와 표면조도의 변화를 보였다(p<0.05). 2. 표면강도 및 표면조도의 변화는 resin-modified glass-ionomer, polyacid-modified composite resin composite resin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3. 콜라나 오렌지 쥬스보다 스포츠 음료에서 표면변화는 더 크게 나타났다. 4. 산성음료에 저장한 군의 SEM 촬영에서 resin-modified glass-ionomer, polyacid-modified composite resin의 경우 충전제의 상실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resin-modified glass-ionomer의 경우 심한 균열이 관찰되었다.

  • PDF

함치성 낭의 임상 방사선학적 연구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OF DENTIGEROUS CYSTS)

  • 이강숙;최갑식
    • 치과방사선
    • /
    • 제25권2호
    • /
    • pp.399-408
    • /
    • 1995
  • 악골의 매복치아와 관련된 단방성의 치관부 방사선투과상을 나타내는 병소들 중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함치성 낭으로 진단된 233증례들의 임상, 방사선학적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함치성 낭은 10대(38.2%)에서 가장 호발되었으며, 남성(67.4%)에서 더 많았다. 2. 주소는 무통성의 종창(33.9%)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외과적으로 치료되었으며 적출술(76.6%) 또는 조대술(23.4%)이 사용되었다. 3. 병소는 중심형(72.5%)이 대부분이었으며, 병소의 크기는 2~2.9cm인 경우(33.0%)가 가장 많았다. 4. 병소는 상악에서는 전치부(32.6%), 하악에서는 구치부(22.7%)에서 호발되었으며, 원인치아는 상악 과잉치(34.3%)에서 가장 많았다. 5. 주변 정상 골조직과의 경계는 과골성의 분명한 골경화로 나타난 경우(49.8%)가 가장 많았으며, 병소의 변연형태가 평활한 경우(73.4%)와 병소 내부의 방사선투과상이 균일한 경우(79.4%)가 대부분이었다. 6. 병소와 관련된 피질골의 비박과 팽융이 대부분의 경우(82.0%)에서 나타났으며, 그 방향은 협측인 경우(64.0%)가 가장 많았다. 7. 병소가 발생된 치아의 전위(41.2%)와 치관발육의 지연(19.3%)이 나타났으며, 원인치아의 백악ㆍ법랑 경계부와 치아부착부 사이의 거리는 2mm미만인 경우(79.6%)가 가장 많았다. 8. 병소와 관련된 치아의 치조백선 소실(66.8%), 치근 흡수(33.9%), 치아 전위(31.5%)가 관찰되었으며, 하악관의 전위(46.5%)와 상악동 또는 비강의 전위(72.2%)가 관찰되었다.

  • PDF

과일 및 미백치약으로 처리한 치아의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with Fruit and Whitening Toothpaste)

  • 공민지;김세원;김솔지;안현주;채우리;홍승지;남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27-1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치아미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과일들을 이용한 천연 치아미백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20개의 소구치를 4개씩 5 그룹으로 딸기(A), 레몬(B), 바나나 껍질(C), 베이킹소다(D), 미백치약(E)을 법랑질 표면에 칫솔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치아의 표면에 아침, 점심, 저녁 3분씩 동일한 시간에 칫솔을 이용하여 처리 후 멸균증류수로 세척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가 보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총 4주 동안 반복하였으며, 1주 간격으로 치아의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4주간 치아에 적용한 결과, 3주후부터 치아의 색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 중에서도 딸기와 레몬은 미백치약보다 높은 색의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딸기와 레몬은 미백치약보다 높은 미백효과를 가져다주며 미백치약에 함유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성분을 대신하여 딸기와 레몬을 사용해 보다 안전한 천연미백술로 미백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도폐쇄증 환아의 치과치료 : 증례보고 (DENTAL MANAGEMENT OF THE PATIENT WITH BILIARY ATRESIA : A CASE REPORT)

  • 백병주;양연미;이승익;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0-76
    • /
    • 2000
  • Intra- & extra-hepatic duct system의 경화를 야기하는 Biliary atresia는 출생시 1 : 10,000의 발생빈도를 보이며, 5년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이다. 담도폐쇄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소나 발육성 원인으로 믿고 있다. 임상적 특징으로 두드러진 황달, 간비증대, 가려움증, 지방변, 황색종, 성장지연, 문맥압항진증, 출혈, 골연하증, 복수 그리고 호흡기계 감염 등을 나타낸다. 구강내 소견으로 녹색을 띄는 변색치아, 유치의 확장된 치수강과 치근관, 치아맹출지연, 법랑질 형성부전, 그리고 심한 치아 우식 등이다. 담도폐쇄증은 조기진단과 수술에 의해 사망률이 감소되고, 성장과 발달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생존율도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그 원인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저자는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2명의 담도폐쇄증환아에 대해 임상, 방사선학적 특징 및 적합한 처치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치아에서의 DNA 분석에 의한 개인식별 (Individual Identification by Analysis of DNA from the Teeth)

  • Chang-Lyuk Yoon;Chong-Youl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1호
    • /
    • pp.229-246
    • /
    • 1995
  • The deoxyribonucleic acid(DNA) was isolated from the pulp, dentin and enamel of the 4 fresh teeth and the 7 teeth left in room temperature for 10 years. Then it was examed to find out the usefulness for forensic dental medicine. Samples of the tooth-derived DNA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electrophosed for sex determination by detection of X-Y homologous amelogenin gene and D1S80 locus detection.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achieved. DNA extraction was possible in pulp and dentin of the fresh teeth, so it could be applicatable to detection of X-Y homologous amelogenin gene for sex determination, amplification of D1S80 locus by PCR. Sex determination was possible in pulp and dentin of the teeth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0 years. Also, possible the detection fo AMP-FLPs to increase PCR cycling up to 40. DNA was isolated from all pulp of the fresh teeth and the teeth left in room temperature for 10 years, and also isolated from the dentin of the fresh teeth, partially isolated(3/7) from the dentin of the teeth left in room temperature for 10 years, but DNA was not isolated from enamel. From the above investigation, DNA extraction, sex determination, amplification of D1S80 locus were successfully accomplished even though the teeth were left for 10 years at room temperature. Therefore, teeth, especially pulp, are highly reliable and applicable as molecular biological sample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 PDF

The effects of dentin bonding agent formulas on their polymerization quality, and together with tooth tissues on their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an explorative 3-step experiment

  • Erfan, Mohmmad;Jafarzadeh-Kashi, Tahereh Sadat;Ghadiri, Malihe;Rakhshan, Vahid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5호
    • /
    • pp.333-345
    • /
    • 2014
  • PURPOSE. Bonding agents (BA) are the crucial weak link of composite restorations. Since the commercial materials' compositions are not disclosed, studies to formulize the optimum ratios of different components are of val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 proper formula of BAs. MATERIALS AND METHODS. This explorative experimental in vitro study was composed of 4 different sets of extensive experiments. A commercial BA and 7 experimental formulas were compared in terms of degree of conversion (5 experimental formulas), shear bond strength, mode of failure, and microleakage (3 experimental formula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lpha}$=.05). The DC of selected formula was tested one year later. RESULTS. The two-way ANOVA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two tissues (dentin vs. enamel, P=.0001) in a way that dentinal bonds were weak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four materials (P=.283). The adhesive mode of failure was predominant in all groups. No differences between the microleakage of the four materials at occlusal (P=.788) or gingival (P=.508) sites were detected (Kruskal-Wallis). The Mann-Whitney U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croleakage of all materials (3 experimental formulas and a commercial material) together at the occlusal site versus the gingival site (P=.041). CONCLUSION. A formula with 62% 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Bis-GMA), 37% hydroxy ethyl methacrylate (HEMA), 0.3% camphorquinone (CQ), and 0.7% dimethyl-para-toluidine (DMPT) seems a proper formula for mass production. The microleakage and SBS might be respectively higher and lower on dentin compared to enamel.

담도폐쇄증 환아의 내인성 착색치아에 대한 증례보고 (CASE REPORT OF THE INTRINSIC STAINED TEETH OF PATIENTS WITH BILIARY ATRESIA)

  • 이창희;이상대;김영재;김정욱;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0-405
    • /
    • 2004
  • 담도폐쇄증은 간장외 담관의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파괴 또는 부재로 인한 담즙흐름의 완전한 폐쇄로 정의된다. 이 질환은 대략 10,000명당 1명 정도 비율로 발생하며 여성에서 약간높은 빈도를 보인다. 원인인자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증상은 과빌리루빈혈증과 함께 황달, 점토색변, 지방설사, 어두운 갈색뇨, 간비대 등을 보인다. 최근의 담도폐쇄증의 치료는 간문장문합술 단독 혹은 간이식술을 병행하는 경향이다. 본 증례의 환자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치아변색을 보였으며 색상은 노란색에서부터 짙은 초록색까지 다양했다. 법랑질의 저형성증이 모든 치아에 나타났고 구강위생이 좋지 않았으며 다발성 우식증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정 전류원을 이용한 치수 검사기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lectric Pulp Tester with Constant Current Source)

  • 김재성;남기창;김수찬;이승종;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2호
    • /
    • pp.61-68
    • /
    • 2004
  • 전기를 이용한 치아의 자극은 치수의 생활력 평가의 한 방법이다. 전기 치수 검사의 기본원리는 치아 내의 치수에 전류 자극을 가하여 유발되는 통증 유무로 치수의 생활력을 평가한다. 그러나 치아의 에나멜질의 임피던스가 크고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기 때문에 치아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자극을 제어하기가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치수검사기가 전압 자극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개인에 따라 자극 역치 값이 크게 변화한다 그러므로 치아 에나멜질의 두께 차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 전류 치수 검사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치아 임피던스에 관계없이 넓은 전류 범위를 갖는 치수 검사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류 안정 회로를 사용하여 최대 150 uA의 전류와 통증을 완화하는 버스트 파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정 전류원 치수 검사기를 개발하고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