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ic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mental and reproductive toxicity assessment in rats with KGC-HJ3, Korean Red Ginseng with Angelica gigas and Deer antlers

  • Lee, Jinsoo;Jeong, Ji-Seong;Cho, Kyung-Jin;Moon, Kyeong-Nang;Kim, Sang Yun;Han, Byungcheol;Kim, Yong-Soon;Jeong, Eun Ju;Chung, Moon-Koo;Yu, Wook-J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42-251
    • /
    • 2019
  • Background: Korean Red Ginseng has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 a prolonged period, and its pharmacological effects hav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In addition, Angelica gigas and deer antlers were also used as a tonic medicine with Korean Red Ginseng as the oriental herbal therap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toxicological effect of KGC-HJ3, Korean Red Ginseng with angelica gigas and deer antlers, o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functions including fertility, early embryonic development, maternal function, and embryo-fetal development. KGC-HJ3 was administered by oral gavage to Sprague-Dawley rats (22 animals per sex per group) at dose levels of 0 mg/kg (control), 500 mg/kg, 1000 mg/kg, and 2000 mg/kg to evaluate the potential toxicological effect on fertility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In addition, KGC-HJ3 was also administered by oral gavage to mating-proven Sprague-Dawley rats (22 females per group) during the major organogenesis period at dose levels of 0 mg/kg (control), 500 mg/kg, 1000 mg/kg, and 2000 mg/kg to evaluate the potential toxicological effect on maternal function and embryo-fetal development. Results and conclusion: No test item-related changes in parameters for fertility, early embryonic development, maternal function, and embryo-fetal development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KGC-HJ3 did not have toxicological potential on developmental and reproductive functions. Therefor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s of KGC-HJ3 for fertility, early embryonic development, maternal function, and embryo-fetal development is considered to be at least 2000 mg/kg/day.

TLC, HPTLC FINGERPRINTING AND ACUTE ORAL TOXICITY EVALUATION OF HABB-E-AZARAQI: A NUX-VOMICA-BASED TRADITIONAL UNANI FORMULATION

  • Ara, Shabnam Anjum;Viquar, Uzma;Zakir, Mohammed;Husain, Gulam Mohammed;Naikodi, Mohammed Abdul Rasheed;Urooj, Mohd;Kazmi, Munawwar Husain
    • 셀메드
    • /
    • 제11권3호
    • /
    • pp.13.1-13.9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Nux-vomica based traditional Unani formulation, Habb-e-Azaraqi (HAZ) is an important drug used by Unani physicians since several decades. It possesses Muqawwi-i-A'sab (nervine tonic), Muharrik-i-A'sab (nervine stimulant) properties and i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diseases like Laqwa (facial palsy), Falij (paralysis), Niqris (gout) and Waja'al-Mafasil (arthritis) etc. The aim of the study is to access and provide information of HAZ for its TLC, HPTLC Fingerprinting defining its clear qualitative perspective and acute oral toxicity evaluation for its safety assessment which was not done earlier, thus contributing in the field of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The chief ingredient, nux-vomica was detoxified as per method mentioned in Unani Pharmacopeia before its use in formulation. TLC and HPTLC was developed under four detection system i.e., UV 366nm, UV 254nm, exposure to iodine vapours and after derivatization with anisaldehyde sulphuric acid. Acute toxicity studies were performed as per OECD Guidelines 425 at a limit dose of 2000 mg/kg. Observations were done for signs of toxicity, body weight, and feed consumption at regular intervals followed by haematological and biochemistry evaluation. Results: The generated data proved the authenticity and established the TLC and HPTLC profile of the formulation. Acute toxicit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Z-treated animals with respect to body weight gain, feed consumption, haematology, clinical biochemistry evaluation. No significant gross pathological observation was noticed in necropsy. Conclusion: Data of the present study is substantial and scientific proof of HAZ in terms of standardization and toxicity study that can be utilize in future research activities.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유래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 of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and Decursinol Derived from Angelica gigas Nakai)

  • 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8-1141
    • /
    • 2021
  • 당귀는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 지역에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 중 하나인데 주로 조혈, 혈행 개선 기능을 바탕으로 한 여성 건강관리 외에도 진정, 진통 그리고 강장 효과를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 특히, 다른 국가에서 재배 생산되는 당귀에서는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와 같은 피라노쿠마린 계열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적지만,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함유량이 많아 약효 등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학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항암제투여 부작용으로서의 호중구감소증 예방을 포함하는 항종양 효과를 비롯하여 고지질혈증, 당뇨, 생리 불순, 신장기능 장애 등에 대한 대사 순환계 개선, 천식 등에 대한 호흡기계 개선, 인지 개선, 항염증 작용, 항산화 작용, 적혈구 및 혈소판 등 혈구세포의 수준 증가, 임신율 개선 효과 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다양한 식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일정 수준 정제되지 않았거나 섭취 용량에 제한이 없는 식품류의 개발에 대해서는 이들 성분의 과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과 같은 안전성 프로파일에 대한 부분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참당귀에 함유된 피라노쿠마린계 물질의 약리학적 효과와 함께 잠재적인 독성 등과 같은 특성을 요약하여 앞으로의 천연물 기반 제품의 개발 방향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당귀 등의 소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물성 신약 등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histidine decarboxylase 발현에 미치는 석곡(Dendrobium monilifrme)의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endrobium moniliforme on Degranulation and Histidine Decarboxylase Expression in RBL-2H3 Cells)

  • 이영지;마디 이스칸데르;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6-182
    • /
    • 2023
  • 석곡의 줄기는 전통 동양의학에서 위를 보하고, 진액을 보충하며, 열을 내리는 것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RBL-2H3 세포에서 비만세포 탈과립과 TNF-α, IL-4, histidine decarboxylase (HDC) 발현에 미치는 석곡 열수추출물(DM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DME는 PMA와 Calcium ionophore 병행처리(PMACI)에 의해 유도되는 β-hexosaminidase 분비와 TNF-α, IL-4, HDC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또한 PMACI에 의해 유도되는 NF-κB, AP-1 활성과 p38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과 c-Jun N-terminal kinase (JNK)의 인산화가 DME 전처리에 의해 저해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DME가 비만세포 탈과립을 억제하고, MAPKs/NF-κB/AP-1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TNF-α, IL-4, HDC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들로 보아 DME는 과민반응과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로 개발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 및 생약재의 가공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 특성 및 향미 효과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r Effect According to Processing Method of Red ginseng and Herbal Medicine)

  • 김현경;김호태;이필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007-10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삼 및 생약류의 전통적 건조 가공방법 대비 증숙 가열건조 과정을 거쳐 홍삼화로 기능성 성분 함량 및 활성 증대로 홍삼 및 생약류에 다량 함유된 polyphenols 및 flavonoids 등 기능성 물질이 항산화활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향미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사전 열처리 과정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DPPH 라디컬 소거능, polyphenols 및 flavonoids 등 항산화성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수삼을 증숙 가열건조 홍삼 제조과정 중에 amino-carbonyl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갈색도가 증가되고 구수한 향미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홍삼에 함유된 주효 약효성분인 ginsenosides의 함량은 쓰고 텁텁한 맛의 주된 요인이 되었다. 또한 홍삼의 로스팅 처리 후 분말 제조로 쓰고 텁텁한 맛이 상당히 개선되었으나 한편 한방에서 십전대보탕 및 사물탕 등 자양강장 처방에 주요 약재로 사용되는 당귀, 천궁, 작약은 생약 특이의 향미가 매우 강하고 쓰고 텁텁한 맛이 매우 강하여 즉석 추출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조과정에서 증숙가열 제조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Mass spectrometry-based ginsenoside profiling: Recent applications, limitations, and perspectives

  • Hyun Woo Kim;Dae Hyun Kim;Byeol Ryu;You Jin Chung;Kyungha Lee;Young Chang Kim;Jung Woo Lee;Dong Hwi Kim;Woojong Jang;Woohyeon Cho;Hyeonah Shim;Sang Hyun Sung;Tae-Jin Yang;Kyo Bin K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149-162
    • /
    • 2024
  • Ginseng, the roots of Panax species, is an important medicinal herb used as a tonic. As ginsenosides are key bioactive components of ginseng, holistic chemical profiling of them has provided many insights into understanding ginseng. Mass spectrometry has been a major methodology for profiling, which has been applied to realize numerous goals in ginseng research, such as the discrimination of different species, geographical origins, and ages, and the monitoring of processing and biotransformation. This review summarizes the various applications of ginsenoside profiling in ginseng research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at have contributed to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ginseng. However, we also note that most of the studies overlooked a crucial factor that influences the levels of ginsenosides: genetic variation. To highlight the effects of genetic variation on the chemical contents, we present our results of untargeted and targeted ginsenoside profiling of different genotypes cultivat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in addition to data regarding genome-level genetic diversity. Additionally, we analyze the other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such as imperfect variable control, deficient metadata, and lack of additional effort to validate causation. We conclude that the values of ginsenoside profiling studies can be enhanced by overcoming such limitations, as well as by integrating with other -omics techniques.

자하거약침액과 산삼약침액의 C2C12 근아세포에서의 AMPK/SIRT1 신호전달을 통한 근 분화 유도 및 에너지 대사 증진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harmacopuncture Extracts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an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on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through Regulation of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 황지혜;정효원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0-6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Hominis placenta (Jahage, J) and wild ginseng (SanSam, S) pharmacopuncture drugs on muscle differentiation and energy metabolism regulation in C2C12 myotubes. Methods: The C2C12 myoblasts were differentiated into myotubes for 5 days by replacing in medium containing 2% horse serum and then treated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24 hr. The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and energy metabolism-regulating factors, myosin heavy chain (MHC), nuclear respiratory factor-1 (NRF-1), and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 alpha (PGC-1α) were determined in C2C12 myotubes by western blot. Additionally,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mitochondrial biogenesis, including sirtuin 1 (SIRT1) were determined in the myotubes. Results: As a result, treatment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0.1 and 1 mg/mL increased the MHC expression in C2C12 myotubes compared with non-treated cells, but only S pharmacopuncture was shown a significant and distinct increase in the expression. Expression of TFAM and NRF-1 was also shown significant increases in S and J pharmacopuncture in C2C12 myotubes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PGC-1α and SIRT1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S and J pharmacopuncture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effect of low-dose of J pharmacopuncture on the phosphorylate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PGC-1α expression was greater than that of S pharmacopuncture. Conclusions: In conclusion, both J and S pharmacopuncture promote muscle differentiation in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and energy metabolism through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This indicates that the pharmacopuncture with tonic herbal medicines can help to improve skeletal muscle function.

소아 간질 환자에서 oxcarbazepine의 효용성과 안전성 (Efficacy and safety of oxcarbazepine in epileptic children)

  • 신혜경;이윤;이지연;최욱선;은소희;은백린;홍영숙;이주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62-169
    • /
    • 2008
  • 목 적 : Oxcarbazepine(OXC)은 대표적인 부분간질의 치료제로 2001년 미국 식약청으로 부터 승인을 받았으며 1970년대 말부터 임상 보고가 시작되었고 소아를 대상으로 OXC의 효용성 및 안전성에 대한 다수의 보고가 있다. 국내에는 1999년부터 임상적 적용이 시작되었으나 국내 소아 대상의 연구 보고가 제한적이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6년간 고려대학교 의료원 구로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OXC 투약을 시행하였던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해 효용성과 안전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OXC 투약 6개월 후 회복군은 77명(53.5%, n=144), 호전군은 48명(33.3%), 유지군은 14명(9.7%), 그리고 악화군은 5명(3.5%)이었고, 치료 12개월 후에는 회복군은 88명(61.1%, n=133), 호전군은 27명(18.8%), 유지군은 8명(5.6%), 그리고 악화군은 8명(5.6%)이었다. 단일요법 군의 회복군은 6개월 치료 후에 63명(66.3%, n=95), 12개월 치료 후에는 86명(90.5%, n=95)였으며 복합요법 군에서 6개월 투약 후에 회복군은 14명(28.6%, n=49), 치료 12개월 후에는 45명(91.8%, n=49)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XC 투약 기간동안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는 73명으로, 그 중 졸림(20.1%), 두통(12.5%), 어지러움(9.7%), 발진(8.3%), 피로함(4.2%) 등이 관찰되었으며 나이, 성별 및 약물 용량과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었다. 혈액 검사상 저나트륨혈증이 관찰된 경우는 총 24명(16.7%)이며 그 외 투약 후 검사 상 이상소견은 유의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투약 이후 빈혈의 빈도가 감소하였는데 혈색소와 체중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OXC 의 효용성은 국외 보고와 비교하여 우수하거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위중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다. 소아 간질 환자의 OXC 치료 시 참고가 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흰쥐 장관에 있어 칼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에 대한 Cyclobuxine E의 영향 (Effects of Cyclobuxine E on Two Distinct Types of Potassium-Activated Calcium Channels in an Intestinal Smooth Muscle)

  • 이종화;권준택;조병헌;최규홍;김유재;김종배;김천숙;차영덕;김영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3-58
    • /
    • 1989
  • 본 연구실에는 최근 수년동안 말라리아, 성병등에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온 회양목(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으로 부터 다수의 물질을 분리하여 그 약리작용을 경색하여왔다. Coumarin의 유도체인 buxuletin은 이뇨 작용이 있음이 인정되었으며, steroid 성 alkaloid인 Cyclobuxine $D(C_{25}H_{42}ON_2)$는 항염증작용, 흰쥐에서 심박동수 감소작용 및 적출 평활근 이완 작용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회양목에서 Cyclobuxine D의 유도체인 Cyclobuxine $E(C_{24}H_{38}ON_2)$를 분리하여 그 구조를 이화학적인 방법으로 규명하였으며 흰쥐의 십이지장 평활근에서 acetylcholine에 의해 유도되는 수축 작용에 대한 영향과 높은 칼륨 이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에 대한 Cyclobuxine E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Cyclobuxine E는 적출 십이지장 평활근에서 acetylcholine의 수축작용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Calcium-depleted potassium-depolarizing 용액에 담근 후 $CaCl_2$를 가함으로써 나타나는 이중적인 수축작용을 용량적으로 차단하였다. 이상의 십이지장 평활근에 대한 Cyclobuxine E의 작용은 Cyclobuxine E가 칼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 (아마,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을 통한 칼슘의 세포막 통과를 차단하므로 인해 나타남을 시사한다.

  • PDF

영아에서 경련을 동반한 저칼슘혈증에 관한 연구 (Hypocalcemic Convulsion in Formula Feeding Young Infants)

  • 김미정;고철우;구자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1호
    • /
    • pp.14-19
    • /
    • 1998
  • 목적 : 최근 6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저칼슘혈증의 임상 경험의 예가 증가하여 이의 원인, 증세, 치료 및 임상 경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4년 2월 부터 1991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경련을 주소로 내원하였던 환아 중 그 원인이 저칼슘혈증으로 확인되었던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6개월 이하였으며 평균 $2.2{\pm}1.1$개월이었다. 이들 환아의 병력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각종 검사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이 환아들의 저칼슘혈증의 원인으로는 비타민 D 결핍이 8예였고, 무기인의 과다한 섭취가 3예였다. 경련의 양상은 전신성 간-근대성이 9예였고 부분 근대성이 2례였다. 경련의 지속시간은 30초에서 20분까지 다양하였으며, 경련의 횟수는 평균 6.5회였다. $Bonky^{(R)}$, 칼슘 단독 또는 병합 요법 후 혈청 칼슘은 치료 전 $6.3{\pm}0.9$ mg/dL서 치료 후 $9.9{\pm}1.7$ mg/dL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P=0.0008), 혈청 ALP는 치료 전 $1,418{\pm}864$ U/L에서 치료후 $772{\pm}503$ UL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112). 입원 당시 iPTH은 $176.7{\pm}129$ pg/mL로 증가되어 있었고 3명의 환아에서 치료 이후 추후 검사상 정상 범위로 회복 되었다. 모든 환아에서 치료 전$25(OH)D_3$는 감소되어 있었으며 평균 $3.9{\pm}2.7$ ng/mL였고, 치료 후 1예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1,25(OH)_{2}D_{3}$는 6예 중 2예에서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 최근 비타민 D가 보강된 것으로 알려진 조제 분유 영양아에서 발생된 경련을 동반한 저칼슘혈증의 원인은 상당수에서 비타민 D 결핍이었으며 $1,25(OH)_{2}D_{3}$의 단기간 투여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으며, 조제 분유 영양아에서도 저칼슘혈증의 원인으로 비타민 D 결핍을 반드시 생각해야 한다고 사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