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mato wilt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1초

비병원성 Fusarium oxysporum 구조를 이용한 시금치 시들음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lt of Spinach by Nonpathogenic Isolates of Fusarium oxysporum)

  • 신동범;죽원이명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5-149
    • /
    • 1998
  • Four nonpathogenic isolates of Fusarium oxysporum isolated from spinach showed suppressive effect on the occurrence of the Fusarium wilt of spinach caused by F. oxysporum f. sp. sprinaciae, among which NF01 controlled the disease most effectively. And NF01 was not pathogenic to tomato, cucumber, radish and spinach. This isolate was further tested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disease. The isolate was not inhibitory to the growth of the pathogen on potato sucrose agar medium, however the Fusarium wilt disease occurred less by drenching spore suspension of the nonpathogenic isolate. The control effect of the isolate was higher at lower inoculum level of the pathogen than at the higher inoculum level, and in the pretreatments than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the isolate with the pathogen inoculation. The nit mutants of the isolate were easily formed on chlorate containing media, and was reisolated selectively as nit mutant from infected soil and plants. The reisolation rate of the isolate as opposed to pathogen was high at preinoculated soil and plants relative to the simultaneous inoculation of the isolate with the pathogen.

  • PDF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Wilt Pathogen(Fusarium oxysporum f. sp.) using Plasma in Tomato Hydroponic Cultivation)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23-332
    • /
    • 2024
  •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soil and water pollution problems caused by discharge of fertilizer components because the nutrient solution is reused. However, cyclic hydroponic cultivation has a low biological buffering capacity and can cause outbreaks of infectious root pathog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or disinfection systems to control them. This study use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which generates various persistent oxidants, to treat Fusarium oxysporum f. sp., a pathogen that causes wilt disease. Batch and intermittent continuous inactiv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residual oxidant was persistent in intermittent plasma treatment at intervals of 2-3 days, and F. oxysporum was treated efficiently. Intermittent plasma treatmen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tomatoes.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creening System for Resistance of Tomato Cultivars to Ralstonia solanacearum)

  • 이지현;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90-296
    • /
    • 2015
  •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해 발생하는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고자 감수성 및 저항성 토마토 9개 품종의 접종 방법, 토마토의 생육시기, 접종 농도 및 접종 후 재배 온도에 따른 풋마름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상처없이 풋마름병균 현탁액을 관주하여 접종한 토마토는 뿌리에 scalpel로 인위적인 상처를 내고 접종한 토마토보다 감수성과 저항성 반응이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저항성 토마토인 'Hwaii7996'은 실험한 모든 조건 즉 접종하는 토마토의 생육 시기(3, 6, 8, 10엽기), 접종 농도($OD_{600}=0.1-0.4$), 접종 후 재배온도(25, 30, $35^{\circ}C$)에서 고도의 저항성을 보였다. 그러나 감수성 품종들은 6엽기와 8엽기 토마토는 각각 3.7과 3.9의 높은 발병도를 보였으나, 3엽기와 10엽기 토마토는 각각 2.1과 0.5로 풋마름병 발생이 낮았다. 그리고 풋마름병균을 접종하고 25, 30, $35^{\circ}C$에 재배하였을 때, 감수성 품종들은 $25^{\circ}C$에서는 0.5 이하의 낮은 발병도를 보였으나 30와 $35^{\circ}C$에서는 각각 3.1과 2.9 이상의 높은 발병도를 나타냈다. 한편, 실험한 감수성 토마토 품종들은 접종원 농도($OD_{600}=0.1-0.4$)와 관계없이 높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으로 접종 1주일 전에 이식하여 재배한 8엽기 토마토 유묘를 사용하여 뿌리에 상처를 내지 않고 풋마름병균 현탁액($OD_{600}=0.4$)을 토양 리터 당 50 ml씩 관주하여 접종하고, $30^{\circ}C$ 생육상에서 하루 12시간씩 광을 조사하면서 12-13일 동안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자마커를 이용한 토마토 시들음병 race 3 저항성 토마토 유전자원 탐색 (Screening for Resistance to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Race 3 Using Molecular Marker in Tomato Germplasm)

  • 허온숙;노나영;고호철;김상규;이주희;곽재균;오세종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4-309
    • /
    • 2012
  • 세 개의 race가 보고되어 있는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는 전 세계적으로 그 피해가 막대한 토마토 시들음병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토마토 유전자원 1,906 자원을 대상으로 토마토 시들음병 race 3 저항성 유전자 I-3의 유전형을 high resolution melting 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97점의 자원에서 homozygous resistant 피크가 확인되었으며, 8점은 이형접합성, 1,801점은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저항성 자원 97점의 종 분포는 S. lycopersicum var. lycopersicum가 65점, S. lycopersicum var. cerasiforme가 13점, 12종의 야생근연종 중에서 저항성 자원은 S. pimpinellifolium 8점, S. habrochaites 3점, S. corneliomulleri 3점, S. galapagense 1점, S. peruvianum 3점, S. chilense 1점으로 총 19점이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한 시들음병 저항성 평가를 위하여 추후에 race 1과 2에 대한 유전분석과 생물검정이 필요하다.

대목의 종류와 질소비요의 시용량이 접목 토마토의 생장, 과실의 품질 및 뿌리썩음시들음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stocks and Nitrogen Levels on Plant Growth, Fruit Quality and Infection of Root Rot Fusarium Wilt Disease in the Grafted-Tomato Plant)

  • 정희돈;윤선주;최영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1-158
    • /
    • 1997
  • 토마토‘Sunroad’품종을‘Anchor-T’, ‘Kagemushia’,‘Joint’및 Vulcan’등 4가지 다른 대목에 접목하여 뿌리썩음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Schl. f. sp. jycopersici Snyder et Hansen, race J$_3$)이 만연한 포장에 재배하여 이병율, 수량 및 과실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질소비료의 시용수준(10, 20 및 30kg.ha$^{-1}$)에 따른 생장, 과실의 성분 및 식물체의 무기성분함량의 변화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접목묘는 무접목에 비하여 제 1번 화방의 개화가 촉진되었다. 접목은 초장을 증가시켰고 질소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초장과 줄기 직경은 더욱 증가하였다. 접목한 토마토는 이병 되지 않았으나 ‘Anchor-T’ 대목에 접한 것은 64.7%의 이병율을 나타내었다. 접목한 토마토는 기형과, 발육불량과 및 잿빛곰팡이병과의 발생비율이 무접목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접목과 무접목 사이에 있어서 가욕성고형물, 당함량, ascorbic acid 및 organic acid의 함량차이는 없었다. 질소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변화도 없었으나 ascorbic acid는 질소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잎과 줄기의 무기성분함량은 대목의 종류 및 질소 사용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질소 105당 30kg 시용구에서는 접목한 것이 잎의 N, Ca 및 Mg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 PDF

토마토시들음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토착길항세균 Bacillus thuringiensis BK4의 선발과 길항기작 (Selection and Antagonistic Mechanism of Bacillus thuringiensis BK4 against Fusarium Wilt Disease of Tomato)

  • 정희경;김진락;김보금;유대식;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4-199
    • /
    • 2005
  • 토마토시들음병의 원인균인 Fusarium oxysporum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경북지역의 저병해경작지로부터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성 길항미생물인 BK4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길항균주 BK4의 16S rDNA 분석 및 생화학적 특성 조사 후 최종적으로 Biolog사 동정시스템인 $MicroLog^{TM}$ 3.0을 이용하여 선발 길항균주 BK4를 Bacillus thuringiensis BK4로 동정하였다. B. thuringiensis BK4는 pH 9.0로 적정한 Nutrient broth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배양할 경우 항생물질의 생산은 최대였다. B. thuringiensis BK4가 생산하는 항생물질은 $121^{\circ}C$에서 열처리시에도 $80{\%}$ 잔존활성을 유지한 내열성 항생물질이었으며, pH $3.0{\~}12.0$의 범위에서 활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산성보다는 알칼리성에서 다소 안정적이였으나 pH 3.0에서도 $50{\%}$ 이상의 잔존 활성을 가지고 있다. B. thuringiensis BK4는 F. oxysporun에 의한 토마토시들음병에 대하여 in vivo pot상에서도 충분한 방제력을 나타내었으므로 토마토시들음병을 위시한 Fusarium속 균주가 원인이 되는 질병을 방제할 수 있는 미생물제제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Outbreak of Cucumber mosaic virus and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Bell Pepper Grown in Jeonnam Province in Korea

  • Mun, Hye-Yeon;Park, Mi-Ri;Lee, Hyang-Burm;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93-96
    • /
    • 2008
  • In August 2006, a severe disease incidence showing mosaic and/or necrotic symptoms on two bell pepper varieties including red-colored 'Special' and yellow-colored 'Fiesta' was observed in a greenhouse located in Gwangyang, Jeonnam province, Korea. To identify causal viruses, total RNAs were extracted from 11 fruit samples with and without symptoms. 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for Cucumber mosaic virus (CMV), Pepper mottle virus (PepMoV),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and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were designed based on the sequences available on GenBank. Database comparisons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each sequence produced 100% and 98% matches with nucleocapsid protein gene of TSWV (Acc. No. ABE11605) and coat protein gene of CMV (Acc. No. DQ018289),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ymptoms on bell pepper fruits might be caused by the infection of CMV and TSWV.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necrotic as well as mosaic virus disease on bell pepper fruits by the infection of CMV and TSWV in Jeonnam province, Korea.

Functional Analysis of the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NSm Protein by Using Immunoblotting and Immunogold Labelling Assay

  • Choi, Tae-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6호
    • /
    • pp.468-473
    • /
    • 1996
  • The genome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is composed of three RNA segments, S, M, and L RNA and the 5.0 kb M RNA encodes two glycoproteins Gl, G2 and NSm protein of unknown function.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the NSm protein, antibody was raised against NSm fusion protein over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is antibody was used to detect the NSm protein by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fter immunogold labelling. For the cloning of the NSm gene, total RNA extracted from a TSWV infected plant was used for cDNA synthesi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stead of going through time-consuming virus purification. A protein band specifically reacting to the NSm antibody was detected from TSWV inoculated plants. The NSm protein was detected in the cell wall fraction and in pellet from low speed centrifugation when the infected plant tissue was fractionated into 4 fractions. In the immuno-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gold particles were found around the plasmodesmata of infected plant tiss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Sm protein of TSWV plays some role in cell-to-cell movement of this virus.

  • PDF

Evaluation of the Weeds around Capsicum annuum (CA) Cultivation Fields as Potential Habitats of CA-Infecting Viruses

  • Min-Kyung Cho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374-383
    • /
    • 2023
  • Capsicum annuum (CA) is grown outdoors across fields in Jeollabuk-do, South Korea. The weeds surrounding these fields were investigated regarding the infection of 11 viruses infecting CA during the year 2014-2018. In th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diagnosis, 546 out of 821 CA samples (66.5%) were infected by nine viruses, and 190 out of 918 weed samples (20.7%) were infected by eight viruse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utual influence of the viruses infecting CA and weeds during these 5 years showed that five viruse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nfection in both CA and weeds. Over the study period, the weeds infected by cucumber mosaic virus (CMV) in the previous yea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CMV infection in CA in the current year, although the correlation was lower for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compared to CMV. The CMV infection percent was 14.0% in summer annuals, 11.4% in perennials, and 7.8% in winter annuals. However, considering the overwintering period without CA, the infection percent was 5.2% higher in winter annuals and perennials than that in summer annuals, indicating that winter annual and perennial weeds served as the main habitats for insect vectors. The TSWV infection percent in weeds was 10.4% in summer annuals, 6.4% in winter annuals, and 6.2% in perennials. The weeds surrounding CA fields, acting as the intermediate hosts, were found to be the potent sources of infection, influencing the spread and diversity of CA-infecting viru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event viral infection in agricultural fields.

2015-2017 철원군 시설재배 과채류(토마토와 파프리카)의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및 감염경로 조사 (Survey of the Routes and Incidence of Viral Infection of Tomato and Paprika Growing in Greenhouses in Cherwon Province, Korea During 2015-2017)

  • 길형배;강민지;최원석;김중일;미사 보 판;임지희;김미경;박미리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145-152
    • /
    • 2018
  • 철원지역의 주요 과채류인 토마토와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바이러스병에 대한 방제를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시설 하우스를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5년-2016년에는 7-9월에 채집을 진행하였고, 채집시료는 시설 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잎과 과실이었다. 파프리카와 토마토를 포함하는 가지과 작물에 주요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는 5종의 바이러스인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Cucumber mosaic virus (CMV), Pepper mottle virus (PepMoV), Broad bean wilt virus 2 (BBWV2),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에 대하여 유전자 진단법을 이용하여 채집시료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PMMoV, CMV, 그리고 TSWV가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CMV와 TSWV에 의한 바이러스병이 대부분(2015년에 파프리카에서 CMV 검정률 50.0%, TSWV 12.2%, 토마토에서 CMV 25.5%, TSWV 38.3% 이고, 2016년에 파프리카에서 CMV 45.9%, TSWV 45.5%, 토마토에서 CMV 23.8%, TSWV 47.6%)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두 바이러스의 조기예방을 위한 발생 경로를 추적하기 위하여 2017년에는 작기별(육묘, 정식중기, 정식후기)로 채칩 시기를 나누어 바이러스 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TSWV는 육묘에 감염되어 외부에서 철원군내에 유입되어 초기 병발생율이 높았고, CMV는 철원군내 농가에 토착화되어 작기가 중반으로 넘어갈수록 병발생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7년도 작기별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조사 결과, TSWV에 의한 바이러스병 발생율이 육묘에서 검출 이후 점점 감소하는 현상은 본 연구를 통해 육묘때 조기진단으로 인한 바이러스 검출 농가의 조기 대응 및 지속적인 관찰이 바이러스병의 확산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결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