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ssue cultures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2초

안면부에 발생한 비특이성 염증 (NONSPECIFIC INFLAMMATION IN THE FACE)

  • 현영민;박래정;정환석;최순철;박태원;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273-281
    • /
    • 1997
  • Patient with complaints of swelling, pain in the maxillaly region and discomfort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August last year. Clinical examination and diagnostic imagings implied he was suffered from fungal hyphal infection but no causative fungus was found by the histopathologic and microbiologic investigation. Therefore he was diagnosed with nonspecific inflammation. But as yet, we do think this case is very similar to some kinds of mucormycosis. So we presented this case for more thorough discussion.Followings are founded in the examination. 1. Patient had suffered from Diabetes mellitus and complained of stuffness, headache, swelling in buccal cheeks and paresthesia And we found more maxillary bony destruction and ulcer with elevated margin in the palate by clinical examination. 2. In the first visit, Plain films revealed general bony destruction of the maxilla, radiopaqueness in the sinonasal cavities. or and MRI showed soft tissue mass filled in the paranasal sinus except frontal sinus and bony destruction in involved bones. 3. No causative bacteria and fungus was found in the biopsy and microbiologic cultures. 4. Caldwell-Luc operation and curettage were carried and antJbiotics were taken for 4 months. But now he was worse than in the past 5. In the second visit, involvement of orbit, parapharyngeal sinus, clivus, cavernous sinus and middle cranial fossa were seen clearly in the or and MRI.

  • PDF

Establishment of Highly Tumorigenic Human Gastric Carcinoma Cell Lines from Xenograft Tumors in Mice

  • Song, Kyung-A;Park, Jihyun;Kim, Ha-Jung;Kang, Myung Soo;Kim, Sun 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8-250
    • /
    • 2017
  • Patient's primary tumor-derived tumor cell lines likely represent ideal tools for human tumor biology in vitro and in vivo. Here, we describe eight human gastric carcinoma cell lines derived from established tumors in vivo upon subcutaneous transplantation of primary gastric carcinoma specimens in BALB/c nude mice. These xenografted gastric tumor cell lines (GTX) displayed close similarity with primary gastric tumor tissues in their in vivo growth pattern and genomic alterations. GTX-085 cells were resistant to cisplatin, while GTX-087 was the most sensitive cell line. GTX-085 was the only cell line showing a metastatic potential. 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EPCAM) expression was especially strong in all tissue samples, as well as in cell cultures. GTX-139, the largest tumor graft obtained after injection, displayed distinct expression of CD44v6,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2 (FGFR2), and prominin 1 (PROM1, also known as CD133). In summary, we established eight xenograft gastric cancer cell lines from gastric cancer patient tissues, with their histological and molecular features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primary tumors. The established GTX cell lines will enable future studies of their responses to various treatments for gastric cancer.

소리쟁이 (Rumex crispus)의 부정근과 모상근 배양에 의한 Anthraquinone 생산성 (Anthraquinone Productivity by the Cultures of Adventitious Roots and Hairy Roots from Curled Dock (Rumex crispus))

  • 장석원;김인현;한태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4
    • /
    • 1999
  • 형질전환된 소리쟁이 모상근의 기내 배양시 그 생장 특성과 anthraquinone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소리쟁이의 모상근을 Agrobacterium rhirogenes strain $A_4$ 접종에 의하여 잎 절편으로부터 유기하여 부정근과 비교하였다. 잎 절편에서의 부정근 형성은 5 $\mu$M NAA를 첨가한 MS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Paper electrophoresis를 통한 opine분석 결과 모상근에서만 mannopine이 검출되고 부정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부정근과 모상근 모두에서 2차근인 측근 근단은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신장만 할 뿐 분지하지 않았으나, 1차근인 주근의 근단은 많은 측지를 내며 빠르게 생장하였다. Anthraquinone 함량 증대에 따른 부정근과 모상근의 생장에는 MS기본 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부정근과 모상근 배양시 생장량과 anthraquinone함량은 5% sucrose를 포함한 0.05 $\mu$M NAA와 0.1 $\mu$M kinetin으로 조성된 MS 액체 배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상근의 anthraquinone함량은 배양 일수에 따라 증가하다가 배양 25일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 PDF

국화의 엽절편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Segment Cultures of Chrysanthemum(Dendranthema grandiflora grandiflora Tzvelev))

  • 이윤경;권영주;이규민;형남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9-63
    • /
    • 1999
  • 국화 '남전'의 기내배양된 엽절편으로부터 신초 기관형성을 통한 효율적인 식물체 재생 체계를 확립하였다. 엽절편으로부터의 부정지 형성은 생장조절제 조성, 잎의 연령, 광조건, 배양용기당 절편체 수 및 치상방향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부정지 형성을 위해서는 MS배지에 생장조절제 BA 0.5 ㎎/L 와 NAA 2.0 ㎎/L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엽절편체는 완전히 전개된 신초 상부의 1∼2번째 잎을 채취하여 4면을 절단한 다음 잎의 향축면이 배지에 닿도록 하여 Petri-dish당 8개의 엽절편을 치상하여 배양초기 1주간 암조건에서 배양하다가 명조건으로 옮겨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엽절편체로부터 신초 재생률 100%, 절편체당 신초수 13.7개의 양호한 재생 이 이루어졌다. 재생된 신초는 NAA 0.1 ㎎/L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근이 이루어져 소식물체가 얻어졌다. 엽절편체로부터 얻어진 소식물체를 인공토양 (Vermiculite: Perlite=1:1)에서 활착시켜 온실에서 재배하였는데, 외견상 정상적으로 개화하였다.

  • PDF

갯기름나물의 체세포배 분화와 기관 분화를 통한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via Somatic Embryogenesis and Organogenesis from Peucedanum japonicum $T_HUNB$)

  • 김옥태;김광수;안준철;황백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4
    • /
    • 2001
  •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갯기름나물의 기내배양을 통한 재분화율을 조사하였다. 캘러스는 잎과 엽병의 절편체에서 발생하였고 0∼5 mg/L의 NAA와 0∼10 mg/L BA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하여 암배양 결과 자발적인 배 분화와 기관 분화를 보여주었으며 2.5 mg/L NAA와 10 mg/L BA의 조건에서 재분화율이 가장 높았다. 체세포 배의 발생양상은 구형, 심장형, 어뢰형을 거쳐 자엽 단계로 발달하여 전형적인 접합자 배의 모습으로 발달하였다. 배 발생한 일차 체세포배를 0.2 mg/L의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이차 체세포배가 발생하였으며 주로 일차 체세포배의 배축과 하배축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으로 자엽이나 뿌리 부분에서 발생하였다.

  • PDF

Petunia hybrida 세포내로의 rolC 유전자의 도입 (Introduction of rolC gene into Petunia hybrida)

  • 정재동;김경민;남윤연;김창길;정원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26
    • /
    • 1999
  • 쌍떡잎식물체 형질전환에 널리 쓰이는 Agrobacterium의 binary vector를 이용하여 왜화성을 나타내는 pGA643-rolC gene을 엽절편 transformation방법으로 petunia에 도입하였다. Petunia hybrida의 재분화에 있어 엽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효과는 0.1mg/L NAA와 1.0mg/L BA의 조합에서 높았고 재분화된 식물체도 양호하였다. 식물체 형질전환 선발배지에 에틸렌 억제제인 AgNO$_3$와 KMnO$_4$의 첨가시 형질전환체 재분화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AgNO$_3$에 비해 KMnO$_4$처리구에서 보다 많은 식물체 재분화율을 나타내었으나 AgNO$_3$와 KMnO$_4$의 고농도 첨가시 다소의 유리화 현상이 발생하였으므로 3mg/L KMnO$_4$ 첨가가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항생제 200mg/L kanamycin, 500mg/L carbenicylin 과 1.0 mg/L BA, 0.1mg/L NAA가 첨가된 형질전환 선발배지에서 엽절편으로 부터 형질전환 된 것으로 추정되는 식물체들을 일차 선발하였고 기외로 이식한 후 genomic DNA를 분리하여 Southern blot analysis법으로 분석한 결과 외래 유전자가 식물체의 genomic DNA내로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actors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in tissue cultures of Indian mustard (Brassica juncea L.)

  • Bhuiyan, Mohammed Shafi Ullah;Min, Sung-Ran;Choi, Kwan-Sam;Lim, Yong-Pyo;Liu, Jang-Ryo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37-143
    • /
    • 2009
  • An efficient system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investigating various factors such as plant growth regulator combinations, explant types and ages, and addition of $AgNO_3$ influenced on shoot regeneration in Brassica juncea L. cv. BARI sarisha-10.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1-naphthaleneacetic acid) and 1 mg/L BA (6-benzyladenine) showed the maximum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56.67%) among the different combinations of NAA and BA. Explant type, explant age, and addition of $AgNO_3$ also significantly affected shoot regeneration. Of the four type of explants (cotyledon, hypocotyl, root, and leaf explants)- cotyledon explants produced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and hypocotyls explants produced the highest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whereas root explants did not produce any shoot. The cotyledonary explants from Four-day-old seedlings showed the maximum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and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ding $AgNO_3$ to the medium. Two mg/L $AgNO_3$ appeared to be the best for shoot regeneration with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86.67%) and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7.5 shoots). Considerable variation in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ay explants was observed within the B. juncea L. genotypes. The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ranged from 47.78% for cv. Shambol to 91.11% for cv. Rai-5. In terms of the number of shoots produced per explant, B. juncea L. cv. Daulot showed the maximum efficiency.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rooting. The regenerated plantlets were transferred to pot soil and grown to maturity in the greenhouse. All plants were fertile and morphologically identical with the source plants.

장줄기세포 조절 연구를 위한 초파리 장세포의 일차배양 (Primary Cultures of Drosophila melanogaster Gut Cells for Studies of Intestinal Stem Cell Regulation)

  • 윤영일;황재삼;구태원;한명세;안미영;윤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1-626
    • /
    • 2012
  • 초파리는 발생과 질병연구를 위한 모델 곤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초파리를 모델곤충으로 한 장질환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병원균 감염 및 장질환 유발시 어떻게 장줄기세포가 작용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초파리 장세포의 일차배양 방법을 확립하였다. 초파리 성충으로부터 장을 해부하고 다양한 효소를 처리하여 장세포를 분리한 후 배양하였다. 배양세포의 생존여부는 현미경 검경 및 MTS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배양 후 9일째 최대 증식되었고 14일까지 생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줄기세포 및 장내분비세포의 존재도 immunostaining에 의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축된 초파리 일차배양 장세포는 다양한 유전자에 의한 장줄기 세포 조절연구뿐만 아니라 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는 도구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모상근의 Betalain 및 Phytolaccosides 생성에 미치는 배지 및 Elicitor 영향 (Effects of Media and Elicitor on Betalain and Phytolaccosides Production in Hairy Root Cultures of 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 양덕조;김용해;윤길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07-514
    • /
    • 1998
  • 자리공 엽절편에 Agrobacterium tumefaciens $A_4$T을 접종하여 암상태에서 초기 접종량의 139배로 분지능이 높고 성장률이 우수한 모상근 세포주인 PEH2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모상근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인 Phytolaccoside G 및 D2를 IR, Mass, NMR등으로 동정하였다. 모상근 PEH2의 성장은 SH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암상태 보다 광상태에서 배양하였을 때 40%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betalain의 생성은 white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배지별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은 MS배지에서 암상태로 배양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SH 및 . White 배지에서는 암상태보다 광상태에서 높은 생성을 나타내어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은 광에너지에 의하여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자리공 모상근에서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처리한 elicitor 을 처리하였던 바, 모상근의 성장은 억제되었으나, chitosan 및, yeast extract에 의하여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성이 촉진되어 적절한 elicitor와 광의 조합처리는 자리공 모상근으로부터 betalain 및 Phytolaccoside G와 D2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멜론(Cucumis melo L.) 유묘 절편으로부터 고빈도의 체세포배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Seedling Explant Cultures of Melon (Cucumis melo L.))

  • 최필선;소웅영;조덕이;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1994
  • 멜론의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와 식물체 재분화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서 자엽과 배축의 절편을 여러 농도의 2,4-D 와 BA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하여 관찰한 결과, 초기배양에서는 4 mg/L 2,4-D와 1 mg/L BA 그리고 2 mg/L 2,4-D+O.1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연한 노란색의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고, 위의 조건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배발생 캘러스는 0.5와 1 mg/L 2,4-D가 첨가된 동일배지에서 약 75%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기본배지에서 대부분의 체세포배는 식물체로 재분화되었으며, 두개의 자엽을 갖춘 정상적인 체세포배보다 비정상적인 나팔형의 자엽을 가진 것이 3배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체세포배들은 MS 기본배지에서 식물체로 발아되었으며 생육상에서 생장하여 견실한 열매를 맺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