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ing N fertilize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Yield and Nitrogen Uptake under Reduced Nitrogen Fertilizer during Early Growth of Rice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 Seo, Jong-Ho;Cho, Hyeon-Suk;Kim, Chung-Guk;Lee, Jin-Mo;Park, Se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6
    • /
    • 2004
  • N fertilizer required by rice could be reduced greatly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than in the rice single cropping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much of the N fertilizer during the early stage of rice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could be saved compared to that in the rice single cropping system.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the paddy field of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in Suwon, Korea during three years from 1999 to 2001. Amounts of soil mineral nitrogen (SMN) and SPAD values of rice leaf during rice growing season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rice single cropping system under the same amount of N application during two years. Yield and N uptakes of rice at harvesting time were also higher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than in the rice single cropping system during two years. Yield and N uptake of rice in the rice single cropping system were decreased when basal N fertilizer was omitted, but those reductions were not found by either omitting basal N fertilizer or omitting N fertilizer at tillering stage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during 2000 and 2001. But yield and N uptakes of rice were decreased by 70 kg/10a and 2kgN/10a by the omission of both N application at basal and tillering stages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in 2002. It was concluded that N fertilizer as much as tillering N fertilizer could be saved in the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수도(水稻)에 대(對)한 분얼비(分蘖肥)와 수비량(穗肥量) 결정(結定)에 관(關)한 연구 (Study on Determine the Amount of Nitrogen to be Applied at Tillering and Reproductive Stages of Rice)

  • 오왕근;박준규;김웅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5-159
    • /
    • 1971
  • 1. 수도품종(水稻品種), 진흥(振興)을 써서 1969년(年)에 한 농가(農家)포장에서 실시(實施)한 비료시험결과(肥料試驗結果)에 입각(立脚)하여 유효분얼기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시비(施肥)할 질소비료량(窒素肥料量)을 결정(決定)하는 한 방법(方法)이 연구(硏究)되었다. 본시험(本試驗)에서는 0.1 ha 당(當) 4kg 상당(相當)의 질소(窒素)가 기비(基肥)로 각처리구(各處理區)에 시비(施肥) 되었다. 2.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시비(施肥)한 질소(窒素)는 수량(收量)을 현저히 증가시켰고 또 분얼기(分蘖期)에 시비(施肥)해야 할 질소량(窒素量)을 절하(切下)하고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0.1 ha 당(當) 6.82kg의 질소(窒素)를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收量) 670kg/0.1ha은 분얼기(分蘖期)에 8kg 이상(以上)의 질소(窒素)를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收量) 644kg/0.1ha 보다 높았다. 이러한 사실(事實)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주는 추비(追肥)가 얼마나 중요(重要)한 것인가를 시조(施調)해 주는 것이다. 3. 분얼기(分蘖期)과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주어야 할 질소량(窒素量)은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에 따라 다른 것이기 때문에 이 양생육기(兩生育期)에 주어야 하는 질소량(窒素量)과 토양분석치(土壤分析値)와의 상관연구(相關硏究)는 필요(必要)한 것으로 그 시행(施行)을 제안(提案)한다. 4. 합리적(合理的) 시비법(施肥法)의 수립을 위하여 각생육기(各生育期)에 시비(施肥) 해야 하는 비료량(肥料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는 필요(必要)한 것으로 간주된다.

  • PDF

벼 2모작 논에서 보릿짚 시용이 토양이화학성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rley Straw Application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ent Uptake in Rice Paddy Field of Double Cropping)

  • 류철현;양창휴;강승원;한상수;김성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0-116
    • /
    • 2001
  • 벼 2모작 재배시 보릿짚시용후 질소시용량별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와 수도체의 양분흡수량, 질소이용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2년간('97~'98) 전북통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릿짚시용으로 경도, 용적밀도, 고상율이 낮아졌고 공극율과 기상율이 증가하여 토양의 물리성이 개선되었다. 보릿짚시용으로 벼 재배후 토양의 pH, OM, T-C, $SiO_2$, K, CEC가 증가한 반면 $P_2O_5$이 감소되었다. 보릿짚시용후 벼 재배시 토양중 $Fe^{+{+}}$함량은 분얼기~유수형성기까지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출수기에는 낮아졌고 $Mn^{+{+}}$함량은 증가되었다. 보릿짚시용시 수도체로의 시비질소 흡수량은 질소시용량 $126kg\;ha^{-1}$ 시용구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질소 $144kg\;ha^{-1}$ 시용구에서는 감소되었다. 또 질소시용량이 적을수록 보릿짚시용구에서 무시용구보다 시비질소 흡수기간이 길었다. 수도체로의 질소이용율은 분얼기에는 1% 전후였지만 최고분얼기부터 크게 증가하였고 보릿짚시용구에서 낮았다. 수도체로의 인산흡수량은 보릿짚시용구에서 질소시용량에 관계없이 모두 높았으나 칼리함량은 낮았다.

  • PDF

Improvement of Nitrogen Efficiency by N Application at Early Tillering Stage in Direct-Seeded Rice

  • Seo Jun-Han;Lee Ho-Jin;Lee Seung-H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6-2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laborate nitrogen fertilization method to enhance N use efficiency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The nitrogen uptake by rice plants was insignificant until 25 days after seeding, and increased gradually thereafter. During this early growth stage, rice plants absorbed only the $4\%$ of basal applied N, while the $45\%$ of N fertilizer remained in the paddy soil. The absorption of basal N by rice plants was almost completed at 46 days after application. Nitrogen top-dressed at 5-leaf stage was well matched to crop nutrient demand, so it could be absorbed so actively in 8days after application. As a result, we could cut down the amount of N fertilizer to $36\%$ of the basal N level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Plant recoveries of fertilizer $^{15}N$ applied with different application timings were $7.8\%$ for basal, $9.4\%$ for 5-leaf stage, $17.1\%$ for tillering stage, and $23.4\%$ for panicle initiation stage, respectively. When urea was applied with nitrogen fertilization practice based on basal incorporation (BN), plant recovery of $^{15}N$ at harvest was $31.0\%$, which was originated from $13.7\%$ for grain, and $21.3\%$ of the fertilizer $^{15}N$ remained in the soil, and the rest could be uncounted. Plant recovery of fertilizer $^{15}N$ applied with nitrogen fertilization practice based on topdressing at 5-leaf stage (TN), where N rate was reduced by $18\%$ compared with BN, was $35.1\%$ (grain $15.6\%$), and $19.9\%$ of the fertilizer $^{15}N$ remained in the soil, and the rest could be uncounted. TN showed a higher $^{15}N$ recovery than BN because it was to apply N fertilizer at a time to well meet the demand of rice plant direct-seeded on flooded paddy. We concluded that TN would be the nitrogen fertilization method to enhance N use efficiency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벼 품종의 상위절 분얼 발생양상 (Occurrence of Upper Node Tiller in the Rice Varities)

  • 박경배;이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
    • /
    • 1987
  • 벼 상위절 분얼발생양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1983년에는 벼 생태형 및 품종별로 조사하였고, 1984년에는 다수계품종을 공시하여 시비수준에 따른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상위절 분얼양상은 사위 제 2절 제 3절 그리고 제2, 3절에서 동시 발생하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벼 생태형 및 품종에 따른 상위절분얼 정도는 다수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보다 높았고, 조생종품종이 중만생종 품종보다 높았다. 3 벼 상위절 분얼 경율과 본답 이앙으로부터 출수까지 일수와는 부의 유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제2절의 병각회와도 부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었다. 4. 시비수준에 따른 벼 상위별 분얼 발생정도는 무비재배조건이 보비(N -P$_2$O$_{5}$ -K$_2$O=15-11-13kg/10a) 및 다비(N-P$_2$O$_{5}$ -K$_2$O=25-15-18kg/10a) 조건보다 높았다.높았다.

  • PDF

이앙직전 벼 육묘상자 살포용 완효성 비료의 처리 효과 (Effect of the Slow-releasing Fertilizer Applied Directly to Rice Seedling Tray Before Transplanting and Practical Test at Field)

  • 지정현;최병열;조광래;김순재;박경열;권오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8-14
    • /
    • 2013
  • 벼 재배시 본답의 기비와 분얼비를 대체하여 묘판에 1회 시비하는 용출제어형 입상배합(Bulk Blending) 피복비료를 시용 후 벼 생육과 수량, 품질, 경제성 등 완효성비료의 처리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육묘상비료의 T-N용출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고 온도에 관계 없이 분얼비 시용 시점인 14일경부터 높아져 21일경 최고에 달했다. 2. 이앙 후 60일에서 질소흡수이용율은 표준시비 28.6%에 비하여 개발된 육묘상 비료가 높았으며 200 g시비구에서 73.1%, 300 g시비구에서 66.1%로 나타났다. 3. 생육단계별(최고분얼기, 유슈형성기 등) 초장, 경수, SPAD값 생육상황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 시비에서 표준과 대등하였다. 4. 성숙기에도 간장, 수장, 단위면적당 수수는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 표준과 같거나 많았다. 5. 10a당 백미수량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시비량별로 보면 표준시비 528 kg 대비 개발된 육묘상 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 525~552 kg으로 대등하거나 많았다. 6. 백미 품질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 수록 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완전미율, 아밀로스함량, 백도, 투명도는 비료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7. 따라서 표준시비량 이상의 수량과 품질 및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개발된 육묘상 비료의 적정 시비량은 300 g/상자(실비. 9 kg/10 a)이었다. 8. 시비량은 육묘상비료가 표준시비에 비해 49.3% 절감되었고, 시비노동력도 49.2% 절감되었다.

벼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에 따른 쌀 단백질함량의 수비 질소 반응 (Response of Grain Protein Content to Nitrogen Topdress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under Different Growth and Plant Nitrogen Status of Rice)

  • 김민호;이규종;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04-111
    • /
    • 2007
  •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쌀의 품질과 식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질소시비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비 및 분얼비 시용량을 달리하여 수비 시기인 유수분화기에 벼의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를 다양하게 조성한 상태에서 수비 시용량을 달리하였을 때의 백미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고품질 쌀 생산에 맞는 질소 시비체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1.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6{\sim}9%$로서 기비+분얼비 및 수비 시용량비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는데, 기비+분얼비 시용량이 20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1.8 kgN/10a 이하일 경우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7% 이하였으며. 기비+분얼비 보다는 수비에 의한 단백질 함량 증가폭이 더 컸다. 2. 수확기 지상부 질소함량과 백미의 질소함량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직선회귀 관계를 보였는데, 수확기 총 질소흡수량 중에서 58.3%와 46.5%가 각각 이삭과 백미로 전이되었고, 연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유수형성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유수분화기 이후 수확기까지의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2차곡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후자의 영향이 컸다. 유수분화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이 8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이후의 질소집적량이 3 kgN/10a미만일 경우에는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7% 미만이었다. 4. 수확기까지 총 질소 집적량이 같더라도 단위면적 당 영화수에 영향이 큰 유수분화기까지의 질소 집적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그리고 등숙기 기상환경이 좋아 sink의 충진에 유리한 해에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N-K복비(複肥)의 추비시험(追肥試驗) (Effect of potash top dressing and NK Compound Fertilizer on paddy)

  • 오왕근;김우진;이강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2
    • /
    • 1978
  • 수도추비용시제복합비료(水稻追肥用試製複合肥料) (조선비료공업주식회사(朝鮮肥料工業株式會社) 제품(製品)) 17-0-17과 17-0-14의 비효를 밝히기 위(爲)하여 수도(水稻)아끼바레를 표식작물(標識作物)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정조(正租)의 수량(收量)과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의 흡수량(吸收量)으로 보아 시제복합비료(試製複合肥料)의 비효는 단비요소(單肥尿素) 염화가리(鹽和加里)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2. 복합비료(複合肥料) 17-0-17 입제(粒製)는 비효가 완만하여 수비용(穗肥用)보다는 유효분벽기비용으로 가(可)할 것 같다. 3. N K 복비(複肥)의 추비(追肥)는 수량(收量)과 양분(養分)의 흡수량(吸收量)을 증가(增加)하고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치환성가중함량(置煥性加里含量)을 증가(增加)한다는 점(點)으로 보아 시제복비(試製複肥)와 같은 비료(肥料)의 개발(開發)에 관(關)하여 적극적(積極的)인 고려(考慮)가 필요(必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새만금 간척예정지 수도작 지대에서 수질시료중 화학성분의 함량변화 (Chemical Components of Water Samples at Rice Paddy Field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조재영;최진규;손재권;구자웅;한강완;송재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19-622
    • /
    • 2003
  •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in precipitation increased slightly from May to June and did not change afterwards. Regarding irrigation water, the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early stage of rice growth but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mid-June to mid-July. The concentration of Tot-N in runoff water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of fertilizer application (basal, tillering, and panicle fertilization) and then de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Tot-N in runoff water ranged from 0.4 to 39.8mg/L (average of 5.9mg/L). The concentration of Tot-P in runoff water ranged from 0.0004 to 0.2084mg/L (average of 0.055mg/L). The Tot-P concentrations were high only at the early stage of rice growth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did not change afterwards.

  • PDF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심층추비시용(深層追肥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Deep Layer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on the Growth of Rice Plant)

  • 맹도원;김원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147-155
    • /
    • 1977
  • 본도(本稻)에 심층추비(深層追肥)를 하여 초기무효분벽(初期無效分蘗)을 억제(抑制)하고 유효경비율(有效莖比率)을 높여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 지속적(持續的)인 질소공급(窒素供給)으로 수량증수(收量增收)를 위하여 품종(品種)은 동일(統一)과 진흥(振興), 토양(土壤)은 식양토(埴壤土)와 사양토(砂壤土), 배수조건(排水條件)은 무배수(無排水) 배수(排水)로 구분(區分)하여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를 표준시비(표층추비)標準施肥(表層追肥)와 대비(對比)하여 추비비율(追肥比率)을 50%액비(液肥), 50%단자비(團子肥) 80%단자비(團子肥)로 하여 출수(出穗) 35일전(日前) 12cm의 토양(土壤)깊이로 심층추비(深層追肥)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경수변화(莖數變化)를 보면 진흥(振興)은 표층추비(表層追肥)에서 경수(莖數)가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다가 감소경향(減少傾向)도 심(甚)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낮으며 심층추비(深層追肥)에서는 경수(莖數)의 증감(增減)이 완만(緩慢)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현저(顯著)하게 높았다 나) 통일(統一)에서는 진흥(振興)처럼 표층추비(表層追肥)와 심층추비간(深層追肥間)의 경수증감(莖數增減)의 폭(幅)이 크지않으나 80%단자심층추비(團子深層追肥)는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83{\sim}93%$로 가장 높았다. 다) 진흥(振興)에서 80%단자심층추비(團子深層追肥)는 시비량(施肥量)이 많은 것 같다. 라)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은 통일(統一)보다 진흥(振興)이 높은 경향(傾向)이다. 2. 주당총립수(株當總粒數)는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입수(粒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등숙비율(登熟比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다. 3. 진흥(振興)에서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지엽(止葉)의 길이가 길며 수량(收量)과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4. 심층추비(深層追認)는 수확기(收穫期) 고(藁)중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을 증가(增加) 시켰으며 수량(收量)과도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조고비율(粗藁比率)이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증가(增加)하였으며 통일(統一)보다 진흥(振興)이 높았다. 6.정조(精粗收量)은 80%단자심추(團子深追)>50%단자심추(團子深追)>50%액심추(液深秋)>표층추비(表層追肥)의 순(順)으로 심층추비(深層追肥)의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증수요인(增收要因)으로는 표층추비(表層追肥)에 비(比)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의 증가(增加) 및 수수증가(穗數增加)와 진당총립수(振當總粒數)의 증가(增加)로 본다. 7. 토양별(土壤別) 심층추비효과(深層追肥效果)는 통일(統一)은 사양토(砂壤土)에서 진흥(振興)은 식양토(埴壤土)에서 증수(增收)하였다. 8. 통일(統一), 진흥(振與) 다같이 식양토(壇壞土)에서는 80%단자심층추비(鬪子深層追肥)를 제외(除外)하고는 무배수(無排水)에서 증수(增收)하였다. 9. 본(本) 실험실시중(試驗實施中) 출수기(出穗期) 등숙기(登熟期)에 저온(低溫)이 계속(繼續)되어 통일(統一)에서 등숙비율(等熟比率)이 낮았으나 표층추비(表層追肥)에 대(對)한 증수효과(增收效果)는 진흥(振興)보다 통일(統一)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