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ory of Mind-Natur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7초

수학적 인식에서 '활동'이 갖는 의미에 대한 고찰 (On the Meaning of 'Activity' in Mathematical Cognition)

  • 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151-165
    • /
    • 1999
  • In this study, I consider the meaning of activity as the source of mathematical knowledge. Mind-body dualism of Descartes which understands that knowledge precedes activity is somewhat overcomed by Ryle who understands that knowledge and activity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But his discussion cannot offer the explanation about the foundation of rightness or the development of rules which can be expressed propriety of activity or rationality. Contrary to these views, Piaget solve this problem by the reasonability of 'the whole system of activity'. The theory of Dewey can be evaluated as an origin of activism of Piaget. Piaget considers knowledge as the system of activity itself, whereas Dewey considers knowledge as 'the result of activity'. This view of Dewey is related to the view of pragmatism which considers 'practice' is more important than 'theory'. The nature of 'activity' in this study has to be understanded as the interaction o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f we understand activity like this, we can explain that the whole structure of activity has the 'wholeness' that cannot be simply restored to the sum total of 'parts' and the new structure is a self-regulative transformation system which includes former structure continuously.

  • PDF

정신분석학과 조형에서의 무의식 욕구 분석 - 현대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 (Psychoanalytic approach and unconscious human desires in art and design - A focus on its application to contemporary space design -)

  • 이정민;홍의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83-94
    • /
    • 2005
  • 20th century was the age of Modernism which was based on rational side of human mind. However, with the fall of Modernism, also came the fall of rationalism's dictatorship. Now, we see the pursuit and quest of irrational thinking as a new possibility of human expression which actually was already begun by Dada and Surrealism in early 20th century. It was facilitated by re-evaluation of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at the end of 20th century. This paper researches psychoanalytic approach applied to the analyses of unconscious human desires in art and design, especially its application to contemporary space design. These designs represent, without making any ethical evaluation, the fact that those unconscious desires are part of inborn human nature and the fact that 21st century is heading toward open society which embraces diverse values and possibilities. By analyzing irrational tendencies in contemporary space designs, this paper aims at proving the meaning and value for one of new directions in 21st century space design.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Second chapter studies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Third chapter examines the psychoanalytic methodologies with which unconscious desires are expressed in art and design. Fourth chapter classifies the types of subconscious desires expressed in contemporary space designs and analyzes their case studies. Fifth chapter is the conclusion.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 변천과정과 '경(敬)'공부론(工夫論)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he Theory of Jing(敬))

  • 서근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225-252
    • /
    • 2012
  • 본 논문은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후대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주자(朱子)는 중화구설(中和舊說)의 단계에서 도남학파(道南學派)로 내려오는 이동(李?)의 학설을 무시하고, 장식(張?)을 만나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을 따르게 된다. 그는 이동(李?)으로부터 수양법(修養法)을 배웠지만 장식(張?)과 만나 토론하면서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의 방법론(方法論)에 매료되게 된다. 이는 미발(未發)은 없고 모든 것이 발(發)한 이발(已發)의 때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중화신설(中和新說)의 단계에서는 중화구설(中和舊說) 때의 잘못을 깨닫고 다시 미발(未發)의 때를 중시하게 된다. 심(心) 성(性) 정(情)의 관계도 심통성정(心統性情)이라는 것으로 적립하게 된다. 또한 호굉(胡宏)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으로부터 벗어나 '경(敬)'의 수양법(修養法)을 내세운다. 이러한 수양(修養) 방법은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이발(已發)위주의 수양법(修養法)에서 도남학파(道南學派)의 미발(未發)위주의 수양법(修養法)으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완벽해 보이는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은 조선(朝鮮)에 들어와서 16세기 율곡(栗谷)과 우계(牛溪)의 논쟁을 통해, 17세기 우암(尤庵)과 우헌(寓軒)의 논쟁을 통해, 18세기 남당(南塘)과 외암(巍巖)의 호락논쟁(湖洛論爭)을 통해 다시 논의된다.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은 미비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논쟁을 겪게 된 것이다. 이러한 논쟁은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이 미비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벌어진 논쟁이다.

황윤석 시조의 교술적 성격과 작가 의식 (A study of the didactic character of Huang Yunseok's sijo and it's implications for his poetic intentions)

  • 전재강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19권1호
    • /
    • pp.207-234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사대부 시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황윤석 시조의 성격과 그 작품에 나타난 작가 의식을 논의했다. 사실을 제시하거나 교훈을 내리는 내용을 표현함으로써 황윤석 시조는 교술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사실의 중심 내용은 군주의 격려, 군주의 생일과 기일, 벼슬 제수 등 군은 관련 사항과 선산의 풍수적 빼어남, 선조의 훌륭한 행적, 가문의 아름다운 전통, 작가의 출생지, 태몽 등 집안 관련 사항들로 되어 있다. 교훈의 중심 내용은 유교 학문의 목적, 성선설의 입장, 인간 심성의 특성, 심성 수양의 방법 등 심성 수양 관련 사항과 오륜, 부부유별, 남녀유별 등 유교 실천 윤리 관련 사항들로 되어 있다. 황윤석은 시조에서 정치, 경제적으로 상승하려는 의식과 이념을 지향하는 의식을 표현했다. 정치적 참여의 기회를 부여한 군주에 대한 절대적 충성을 보이거나 치국이나 평천하의 준비를 갖춘 가문에 대한 자랑을 하는 과정에서 상승 지향적 의식을 드러냈고, 주로 유교 윤리의 철저한 실천이나 전통 성리학의 고수, 인물성동논의 주장으로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데서 이념 지향 의식을 드러냈다. 정치ㆍ경제적 상승과 이념 지향적 작자 의식의 작용으로 작품은 교술적 성격을 상당 부분 가지게 되었고, 사실의 전달과 가르침의 제시라는 교술적 효과를 높이려는 과정에서 직설적 표현의 방법을 선택했다.

  • PDF

맹자의 사단설과 생물학적 유비 논증 (Ethical Implications of Mengzi's Biological Analogies of Four Sprouts)

  • 정용환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339-36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맹자가 사단설(四端說)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생물학적 유비 논증의 윤리학적 함의를 분석한다. 타고난 도덕 감정을 근거로 삼는 맹자의 자연주의 윤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제시하는 유비 논증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맹자는 자신의 윤리적 관점을 정당화할 때에 귀납이나 연역보다 비유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이다. 맹자는 사단설을 주장할 때 타고난 도덕 감정의 비유적 예시로서 신체, 씨앗, 싹 등을 제시하는 생물학적 유비 논증을 사용한다. 맹자는 동물이 신체를 타고나고 식물이 씨앗으로부터 발아하여 성장하는 것과 유사하게, 인간이 사단이라는 도덕적 경향성을 타고난다고 주장한다. 맹자는 생물학적 유비논증을 통해 도덕성의 선천적 지평, 도덕적 욕구, 마음과 몸의 유기적 통합(심신일원론), 도덕적 본성의 배양 가능성 등을 주장하면서 자연주의 윤리학을 지지한다.

퇴계(退溪)의 도학(道學)과 경세론(經世論) (Toegye's Tao-hsueh and the Theory of Governance)

  • 강희복
    • 한국철학논집
    • /
    • 제41호
    • /
    • pp.71-92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유학(儒學)과 도학(道學)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수기(修己)'의 문제와 관련되는 퇴계(退溪)의 도학(道學)과 '안인(安人)'의 문제와 관련되는 퇴계(退溪)의 경세론(經世論)을 함께 다루어보았는데, 이런 연구는 퇴계의 사상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퇴계는 16세기의 조선(朝鮮)의 사화(士禍)라고 하는 시대적 비극과 사회적 혼란 속에서 무척 괴로워하고 절망하였으며, 원칙과 기준이 무너지고 방향조차 상실된 상황에서 사회와 역사의 주체로서의 인간의 본성과 선악(善惡)의 문제에 관하여 깊게 반성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퇴계의 문제는 "사회와 역사의 주체로서의 인간(心)이 어떻게 현실(氣) 속에서 원칙과 기준(理)을 세우고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가, 그리고 어떻게 이성으로서 욕구(欲)와 감정(情)을 잘 조절할 수 있는가?"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퇴계의 사상적인 체계 속에서는 '이(理)'에 대한 강조(이발(理發) 이동(理動) 이도(理到))와 '알인욕(?人欲) 존천리(存天理)'를 핵심으로 하는 '심학(心學)'이 경(敬)의 공부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있다. 퇴계는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에서 인주(人主)가 사친(事親)의 마음으로 사천(事天)의 도(道)를 다하여야 한다고 하면서, 법과 제도가 시대에 맞지 않으면 변통(變通)해야하지만 좋은 법과 제도까지도 모두 고치려고 해서는 않되며, 너무 보수적인(수구(守舊) 순상(循常)) 사람에게만 의지하면 지치(至治)를 이루기가 어렵고 너무 진보적인(신진(新進) 희사(喜事)) 사람에게만 맡기면 많은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퇴계의 견해는 오늘날 개혁 및 인사의 문제와 관련하여 깊게 음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돈이와 권근의 천인합일사상 비교 - 『태극도설』과 『입학도설』을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of 'Oneness between Heaven and Man(天人合一)' thoughts between Zhoudunyi(周敦頤) and Kwonkun(權近) - Focusing on "Taijirushuo (太極圖說)" and "Ip-Hak-Do-Seol(入學圖說)")

  • 허광호
    • 동양고전연구
    • /
    • 제66호
    • /
    • pp.251-276
    • /
    • 2017
  • 이 논문은 주돈이가 "태극도설"에서 제시한 천인합일사상과 권근이 "입학도설"에서 제시한 천인심성합일사상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 시도이다. 수양론 중심의 실천적인 사상으로 발전해 온 천인합일사상은 송대 주돈이가 "태극도설"에서 형이상학적 우주론과 인성론으로 정리하면서 철학적 깊이와 논리적 체계를 갖추게 된다. 그는 천(天)에 상응하는 무극(無極)의 개념을 세워 무극-태극-음양-오행-인간-만물의 일원적 우주론을 제시한다. 그의 우주론은 만물의 창조자인 천(天)은 피조자인 인간과 명(命)과 성(性)을 매개로하여 결부되는 합일의 관계라는 인식이다. 따라서 본성을 회복하여 자기의 본성이 천명(天命)임을 알면 곧 천인합일이 실현되고 성인도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주돈이의 사상은 약 120년 뒤 주희에게 와서 이기론 으로 융합된 주자학으로 집대성 된다. 이에 따라 주돈이는 주자학의 시조로 후대에 평가된다. 고려 말 권근은 그의 "입학도설"에서 천인심성합일사상을 제시한다. 권근의 천인심성합일사상은 그의 스승인 이색의 천인무간사상에 주자학적 요소를 가미하여 내 마음의 작용과 리(理)가 일체라고 정리함으로써 논리적 정합성을 이룬다. 주돈이가 주로 우주와 만물의 생성원리에 대해 관심을 기진 것에 반해 권근은 주로 심성론적 관점에서 천(天), 인(人), 심(心), 성(性)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또한 경(敬)중심의 수양으로 천인심성합일을 이룰 수 있다고 제시한다. 권근의 이런 사상은 조선조 주자학이 심성론 중심으로 발전하는 단초가 되었다. 그의 사상은 약 150년후 퇴계 이황에게 와서 사단칠정론과 경(敬)사상으로 집대성 된다. 그러나 주돈이와 달리 권근은 그의 학문적 업적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

교육공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메타포 분석을 활용하여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bout Educational Technology through metaphor)

  • 홍광표;안영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91-10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teachers about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technology that is embodied at school was the form of "systemic structure" whose components are complex and exert close mutual influence on one another, rather than of "systemic assembly" that relationship of components were well controlled. A qualitative epistemological method was used to look into educational technology instead of existing empirical ones. Metaphor analysis was utilized among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find out what elementary teachers thought of educational technology. Six elementary teachers were asked to draw a picture to describe what came into their mind when they heard term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y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check what their pictures meant. As a result, elementary teachers expressed their point of views about educational technology as "a scientific, technical and systemized instrument to stir up the learning interest and joy of students," "an action to mechanically fit together every part of education(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an integrated and overall system." This finding seemed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media theory,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and system theory that have been used in educational technology. This study was expected to be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way of looking at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field, and confirm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finall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ontological nature and epistemological method of educational technology.

R. Sternberg 지능 이론의 발달: 의의, 국내 연구 및 과제 (Development of R. Sternberg's Theory of Intelligence: Contributions, Researches in Korea, and Future Tasks)

  • 하대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1호
    • /
    • pp.157-180
    • /
    • 2005
  • R. Sternberg가 1977년에 처음으로 제안한 유추의 요소 이론으로부터 오늘날의 성공 지능이론에 이르기까지 그의 이론은 IQ의 대안적인 새로운 지능 이론으로서 지능의 정의 및 본질, 측정, 교육 및 산업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4반세기가 지난 현재 시점에서 그의 이론이 그동안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그 변화된 이론들은 지능 이론과 연구 분야에 각각 어떻게 기여했는지, 이론과 관련해 우리나라에서 어떤 연구들이 수행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가 무엇인지를 폭넓게 개관하는 일은 시의 적절하고 필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R. Sternberg의 지능 이론이 발달되어 온 과정을 크게 요소이론, 삼위일체 이론, 성공 지능이론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그의 지능 이론과 연구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고, 다음에 그의 지능 이론과 관련하여 그간에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들을 주제별로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며, 마지막으로 그의 이론 발달을 위한 몇 가지 연구 과제를 제언한다.

  • PDF

한국인의 건강개념에 대한 탐색연구 : Q-방법론 적용 (A Study on Health Concepts of Korean)

  • 심형화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8-119
    • /
    • 2002
  • This paper as the basic study aiming the establishment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is made to reveal the types of recognition about concepts of health immanent in Korean who have the health view, completely mixed with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nd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Shamanism and european scientific medicine, etc. This paper is using the Q-method, which is greatly effective in measuring the individual subjectivity, to collect rightly the concepts of health of objects. This analysis shows us the 4 types of recognition about concepts of health immanent in Korean as follows. Type Ⅰ: modern self-searching type(現代的 自己 追求型), Type Ⅱ: nature-sharing type(自然 共有型), Type Ⅲ: meaning-intentional altruism(意味 指向的 他者 中心型), Type Ⅳ: oriental adaptational type(東洋的 順應型). The men belonging to type Ⅰ have positive and self-searching view of health. They are not only interpreting the concept of health scientifically, but also positively accepting the oriental concept of health. The men belonging to type Ⅱ have strong tendency of down-to-earth. They not only have the naturalistic view of health as Taoist, but also carry the weight in the family and neighbour and regard co-sharing as excellent virtue. The men belonging to type Ⅲ are positive altruists, pursuing the meaning of life and at the same time setting the importance to the good value system. Naturally they care more the family and neighbour than themselves. The men belonging to type Ⅳ have oriental view of the world characterized by nature-adaptation. They positively agree to the Shaman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Oriental concept of health. In conclusion, in all types we can see that Korean understand the harmony of man and nature as fundamental principle of heath and carry the more importance to the mind(心) than body(身) and at the same time esteem more the family-centric, oriental and organic community than individual. All above facts is immersed in the concepts of health of Korean as a common denomin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