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cience process skills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4초

탐구 화학 실험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cience Achievement Faculties Improvements in High School Inquiry Chemistry Experiments)

  • 홍춘표;김용연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87-494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탐구화학실험을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정도를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기능, 실험 태도, 수공적 기능, 탐구과정 기능 등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남녀 고등학교 2개교의 5개조 150명을 대상으로 하여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기능의 지필평가와 탐구과정 기능의 보고서평가, 실험태도, 수공적 기능의 실험관찰 평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탐구과정기능과 실험 태도, 수공적 기능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나 탐구과정 기능을 제외 한 나머지의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탐구화학실험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때 학습자의 과학 성취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과학 탐구 기능을 강화한 수업이 중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lasses with Enhanced Science Process Skills on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현리;손준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5
    • /
    • 2022
  • COVID-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원격 수업이 도입되고 수업 시수 경감 등의 이유로 성취기준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과학 탐구 기능에 관한 내용을 제대로 학습하지 않고 중학생이 된 학습자들은 탐구 기능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여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탐구 기능을 강화한 학습지를 개발하고, 이를 온·오프라인으로 체계적인 연계를 강조한 학생 참여형 배움 중심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결과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과학 수업 시간에 과학 교과의 기초가 되는 탐구 기능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탐구 기능 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배움 중심 수업이 확산하길 기대해 본다.

과학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 그리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Drawing Program to Improve Science Process Skills)

  • 박미진;이용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186-1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Science Drawing Program to improve Science Process Skills and examining the effect of it. For this study two classes (missed classes with boys and girls) of 3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subject of the instruction was domain of Air and Wea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Draw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cience process skill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ience Drawing Program brought positive effects especially on the observation, measurement, reasoning power. Second, student showed positive recognition on the Science Drawing Program. Many students showed interests and want to use it in class. And they thought Drawing Program helpful in their learning. Therefore the Science Drawing Program is very effective method in science education.

  • PDF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ree Inquiry Activit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종호;김재영;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271-28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ree inquiry activities affects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5th and 6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265 elementary students from 5th and 6th grade in Seoul were selected. In comparison group 130 students were implemented and to the experimental group 135 students who did not the free inquiry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uriosity was the most affective factor that motivate free inquiry activities and made them select their topics. Most of the students invested for the inquiry activity in less than 3 weeks. They had some help in every stages.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free inquiry activities because they learned new facts and enjoyed doing experiments and they wanted to continue for the same reasons. Second, free inquiry activities had little effect on th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Third, free inquiry activities had considerable effect on the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Fourth, the result of the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free inquiry activities had no effect on scientific attitudes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In conclusion, free inquiry activities will be much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than in developing basic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 PDF

실험 평가를 통한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와 인지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evels and Achie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by Practical Assessment)

  • 민혜영;백성혜;강대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6-265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 평가를 이용하여 탐구과정 기능을 측정하고, 인지 수준과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지 수준과 지역을 유층으로 하여 중학교 2학년 162명을 표집하였다. 실험 평가는 SISS에서 사용한 실험 과정기능검사 문항을 수정 보완한 산 염기, 밀도, 염화코발트의 성질에 관한 3가지 과제를 이용하여 순환 실험 형식으로 수행하였다. 탐구과정 기능은 D(계획), P(수행), R(추론) 등의 하위 기능을 포함한다. 실험 평가의 채점은 학생용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5명의 평가자가 채점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인지 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탐구과정 기능의 전체 점수와 하위 기능인 D(계획), P(수행), R(추론)의 성취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 수준을 통제하고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지역간에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 차이와 남녀간에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험 평가를 통한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는 인지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탐구과정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다.

  • PDF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 이석희;김은진;장현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89-60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instruction based on Tolumin's structure of argument, on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In the instruction, unstructured problems were selected with issues to be argued, in which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re stressed. This research involved 58 students of 5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and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with 29 and a control group with 29. The former was treated with instruction using argumentation as SWH, while the latter with conventional ways of instructi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within each of the groups. The results implied that science instruction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그래프를 이용한 과학 탐구 능력 검사 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Using Line Graphs)

  • 문충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5-555
    • /
    • 1998
  • 과학 탐구 능력의 향상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되어왔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과학 교육 과정, 탐구 수업 방법, 교육 환경의 개선이 중요하다.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은 과학 탐구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 동안 과학 탐구 능력 검사 도구는 우리 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은 문장으로 주어진 상황에서 각 탐구 요소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어서 각 검사 도구에서의 독특한 특징을 발견할 수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 그래프를 이용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과학 탐구 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 등을 통하여 선 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과학 탐구 요소 6가지(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환, 예상, 추리, 결론 도출)를 선정하고, 예비 검사와 현장 검사를 통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4지 선다형의 19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검사 도구의 내용 타당도는 78%, 신뢰도 (KR-20)는 0.82, 평균 변별도 지수는 0.57, 그리고 평균 난이도 지수는 0.47이었다. 이 결과는 좋은 검사 문항의 기준에 합당하므로 본 검사 도구는 과학 탐구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 도구라고 할 수 있다.

  • PDF

지구과학 탐구에서 통합 탐구 기능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탐색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Integrated Process Skills in Earth Science Inquiry)

  • 이기영;박재용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2-238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탐구에서 통합 탐구 기능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발달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 탐구 기능 발달과정 관련 문헌의 조사를 통해 '탐구 설계', '자료 수집', '자료 해석', 그리고 '결론 도출'을 발달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각에 대한 가설적 학습발달과정(HLP)을 4개 수준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통합 탐구 기능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발달과정을 조사하기 위한 도구로 3가지 지구과학 탐구 과제를 개발하였는데, 이들은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결론 도출에 이르기까지의 통합 탐구 기능을 포함하는 가설-연역적 탐구이다.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총 126명을 대상으로 각각 개발된 지구과학 탐구 과제를 수행하게 한 후 HLP를 토대로 개별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을 요소별로 평가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평가 자료를 Rasch 모델에 적용하여 HLP에 대한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근거로 HLP를 수정 보완하여 경험적 학습발달과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지구과학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스캐폴딩 방안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구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PCK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Trend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 우종옥;김범기;허명;김찬종;양일호;최관순;김태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에 대한 종단적 추이를 분석하였다. 1997년에는 우종옥 등(1998)이 개발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1999년에는 이를 일부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성별, 지역별 등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각각 횡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 종단적 추이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은 유의미한차이가 없었으나,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과학 교육의 질을 과학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의 달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국가수준에서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부진의 원인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계속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과제 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ask-Bas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난주;이은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41-148
    • /
    • 2007
  • This study proposed task-based teaming strategies as a means of fulfilling the demands and goal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ask-based learning is based on the use of a series of activities whereby a teacher presents students with tasks related to daily lift and the students solve the tasks by themselves using various methods and thought processes and then present and discuss their results with each other. The tasks are selected from the 6-grade science textbook, are reconstructed and are then given to the classes. The tasks include whole class activities as well as individual activities related to the interests, abilities, and concerns of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ask-based learning class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applied to 6th grade students. For this, the task-based learning activities were appli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expository teaching was applied to the comparison group. Both groups were given a pre-post test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ask-based loaming is very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