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name of a thing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장서각 소장 『국풍』에 나타나는 물명 고찰 (Consideration of the name of a thing appearing in the Jangseogak Archives "Gugpung(국풍)")

  • 이현주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325-347
    • /
    • 2017
  • 본고에서는 "국풍"에 나타나는 물명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 보다 앞서 17세기 초에 간행된 "시경언해"의 물명과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시경언해"와 "국풍"의 물명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두 문헌의 편찬목적의 차이"와 "국어사적 변화의 반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시경언해"는 식물이나 동물의 총칭어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동식물명에 대해서는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국풍"에서는 이에 대해서도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麥), 모(茅), 도(稻), 서(黍), 샹(桑)'에 대해 고유어 물명 '보리, ?, 벼, 기쟝, ?'이라는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고, 동물명의 경우에도 '안(?), 어(魚), 호(狐), 셔(鼠), 고(羔), 고양(羔羊)'에 대해 '기럭이, 고기, 여이, ?, 염소, 염소와 양'과 같은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국풍"의 편찬 목적에서 찾았다. "국풍"은 여성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책이다. "국풍"은 그 내용 뿐만 아니라, 내용 안에 포함된 한자를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시경언해"와 달리 대부분의 물명 한자에 대해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국풍"과 "시경언해"의 고유어 물명은 서로 일치하는 어휘들도 보이지만,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다수 발견되었다. 이들은 "시경언해"가 간행된 17세기 초와 "국풍"이 필사된 19세기 초의 국어사적 변화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시경언해"의 '(荇)'-말암, 도악이, 번(?)-, (柏)-, 뎌(?)-열, 뎌(樗)-개듕나무, 구(?)-염규, 창경(倉庚)-아리새'에 대해 "국풍"에 나타나는 '믈나믈, ?, 삼, 가?나무, 부초, '는 19세 초의 현실언어를 반영한 것이다.

대약진 운동기 중국의 토지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 Operating System in the Great Leap Periods in China)

  • 이종수;김재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2호
    • /
    • pp.161-174
    • /
    • 2004
  •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China's land operating system in the great leap perio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or one thing, though the landownership in China was basically performed in public, a portion of private management was allowed. The more this kind of private management allowed, the more the life standard of farmers enhanced. For another thing, the conversion from agricultural cooperatives to people's commune happened swiftly, and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conversion arose instantly, which made the operation system changed partially. The last, but not the least, even in the point of the rapid communistic movement, private management was locally accepted in the name of three self and one private management. Besides, as we can recognize from the case study of Daichai village, the operation of a large working group and a small working group was done in political context.

  • PDF

사물주소 부여대상 확대 방안 연구 (A Study on Extending of the Addressable Object of Address of Things)

  • 양성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75-87
    • /
    • 2024
  • 사물주소는 공법 상 주소가 아니라는 점에서 행정력 측면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위치표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도로명주소와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더 유연하고 세밀하게 위치표현이 가능하므로 도로명주소와 함께 전 국토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부여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기존 도로명주소법, 건축법, 주소정보기본도작성·관리규정 등의 관련 법령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로명주소와 사물주소를 비교한 결과 사물주소체계가 가진 근원적인 한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제도척 측면과 부여대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물주소 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주소부여대상이라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함께 통일을 통해 상하위 법령의 개선이 필요하고, 둘째 건축법 상건물 중 거주에 사용되지 않는 시설물에는 사물주소로 통일하여 부여하며, 셋째 사물주소 부여대상을 지형지물의 유형별로 주소정보기본도의 등록사항을 구분함으로써 이종의 공공데이터와 연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부여대상 측면에서는, 첫째 특정 시설물에는 모두 사물주소가 부여되어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도록 해당 범주의 모든 시설물에 부여해야 하고, 둘째 아무런 시설물이 없어도 다수가 이용하는 장소에는 사물주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문화콘텐츠 캐릭터의 네이밍 개발을 위한 방법 연구 (Research on How to Develop the Character Naming in Cultural Contents)

  • 박경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193-206
    • /
    • 2009
  • 이 논문은 게임, 동화, 만화, 애니메이션, 팬시 등에 필요한 캐릭터 이름을 작명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재까지의 브랜드네이밍으로 치중된 연구에서 벗어나 문화콘텐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캐릭터의 네이밍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브랜드네이밍이란 형태로 상품 등을 작명하기 위한 책들은 다수 있지만 캐릭터의 관점에서 캐릭터 네이밍을 연구한 책이나 논문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브랜드가 타 상품 등과의 구별을 위한 대표성을 가진다면 캐릭터는 생명력이 부여된 개별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름을 작명함에 있어서도 적용하는 기준이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이 논문은 캐릭터네이밍을 위한 이해와 방법에 대한 연구를 주된 목적으로 하며, 캐릭터를 필요로 하는 문화콘텐츠 개발자 및 관계자에게 캐릭터네이밍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통해 캐릭터모양, 성격, 역할, 스토리텔링의 목적에 맞게 작명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 PDF

상표소(桑螵蛸)는 무엇인가? (약명(藥名), 이명(異名), 채집(採集), 수치(修治)에 관하여) (What is the Mantidis Oothea?)

  • 박명재;서영배
    • 혜화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63
    • /
    • 2016
  • Objectives : Since the Korean pronunciation of the Mantidis Oothea is not unified, it is necessary to unify pronunciation of this particular herb. According to ancient herbal literature, genuine Mantidis Oothea has been regarded as the product which is attached to mulberry tree. However, all forms of Mantidis Oothea need to be used as a medicinal ingredient. Methods : The current study explores pronunciations of the herbal medicinal names, Collection, and the herbal processes of the Mantidis Oothea. There are approximately about 30 herbal manuals dealing with the Mantidis Oothea after Shen Nong's herbal manual(神農本草經) was published. Results & Conclusions : 1. Sangbicho, Sangpyeojo, Sangpyeocho, and other names have been used as a name of medicinal ingredient for the Mantidis Oothea. 2. The Other names of medicinal ingredient for the Mantidis Oothea were Sik woo, Danglangja(螳螂子), Danglanglan(螳螂卵), Danglangso(螳螂巢), Danglangwa(螳螂窩), Danglanggag(螳螂殼), etc.. 3. The name of medicinal ingredient for the Mantidis Oothea should not be pronounced as Sangpyoso but Sangpyocho. 4. The name of medicinal ingredient for the Mantidis Oothea was originated from a type of the egg case, eating habit, therapy of the Mantidis Oothea and so on. 5. Collecting real thing of The Mantidis Oothea does not really matter whether it is attached to the mulberry tree or not. 6. The herbal processes of the Mantidis Oothea is to kill the eggs, so typical methods were to steam, roast, boil with vinegar and so on. In addition, the main effect seemed to be protection from the diarrhea.

한의학의 종양에 대한 인식론 (A Study on Epistemology of Tumor in Oriental Medicine)

  • 박종현;신상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67-872
    • /
    • 2002
  •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have not only their own views of disease but also their own practical approach to disease. So, We should not identify the thing which is expressed as ‘ai’(癌)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with the thing which is expressed as ‘cancer’ in western medicine.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he name of malignant tumor is also designated by it's sign and symptom as same as different disease. So it is difficult to compare directly ‘ai’(癌) with cancer. However, when we analysed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disease, we can find many instances which is related to the things which is called as cancer by western medicine. So at first, we analysed the meaning of word, ai(癌). Secondly, through the searching many instances which are mentioned above, we classified four groups and investigated these. Four group is following like, First, the cases that ai(癌) is used in. Second, the case that is recognized as mass. Third, the case that has different shape with ai. Fourth, the case that has similar sign and symptom with cancer.

해체로 읽는 신카이 마코토의 <너의 이름은. 군(君)の명(名)は.> : 이름 없이는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 (Deconstructive reading of Makoto Shinkai's : Stories of things that cannot meet without their names)

  • 안윤경;김현석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75-99
    • /
    • 2018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는 1인 제작 시스템과 '빛의 작가' 로 주목 받으며 등장했으나 그의 2016년 개봉작 <너의 이름은.>은 그러한 기존의 그의 작품을 특징지은 요소들로부터 상당부분 스스로 탈피한 모습을 보임과 동시에 일본 전통적 인연설인 무스비 테제의 결합으로 내러티브의 풍부함과 열린 해석 가능성의 매력으로 흥행은 물론 앞으로의 작품에 대한 기대감까지 한껏 고조시켰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 '이름'에 관한 일본 고대 언어관과 현대 언어관의 만남이 나타나며 온전한 '만남' 을 위해 이름(언어)의 역할이 사건 속에서 다양한 변주로 반복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작품에서는 인물들도, 사물들도 접촉하는 주체의 뜻에 따라 그 기의가 유사성의 은유적 역할로 해석이 확장, 유보된다. 기표와 기의라는 구조를 통해 분석된 말과 사물의 관계는 소쉬르를 통해 나타난 현대의 획기적인 사상적 발견이다. 데리다는 소쉬르의 이 개념에서 사물을 비로소 존재하게 하는 '차이' 에 주목하며, 로고스의 명령에 충실해 온 서구의 로고스 중심주의, 이성 중심주의를 해체한다. 이처럼 서구 형이상학의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원리가 해체된 이후 대두되게 된 것은 중심의 해체, 주체의 해체이다. 데리다는 이처럼 해체주의를 표방하며 그 동안의 이성 중심주의에 의해 배제되어왔던 수많은 약소자들 및 타자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어떻게 타자들의 부름에 응답하고 그들을 환대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데리다의 '해체'개념은 언어의 본성에 대한 통찰을 출발점으로 하는 철학적 전략이다. 그가 텍스트를 읽는 방법적 개념으로 등장시킨 은유인 '산종(dissemination, 散種)'은 해석 실천(혹은 유희의 방법)으로 작용하며, 어떤 종국적인 해석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의 '결정 불가능성'은 그 출발은 무한성이 아니지만 귀결되는 종착지는 무한성이다. 연구자는 인간이 언어의 주체가 아닌 언어의 사용자의 입장이기에, 데리다 역시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사물의 세계를 열린 텍스트로 해석함으로써 우리 역시 세계의 해석자가 될 수 없음을 스스로 증언했다고 파악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의 프레임을 통해 사물과 이름의 이야기, 이름을 통한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는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을 읽어보고자 한다. 또한 기표와 기의의 구조가 이 작품 속에서,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인간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제고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 개념을 통해 작품에 나타난 말과 사물의 관계를 살펴보며, 기표와 기의로 세계를 파악하는 우리 역시도 곧 기표와 기의의 일부에 다름없음을 확인한다.

경관적 측면에서 조명한 주요사찰 내 암자의 창건, 연대, 건물의 형태, 주불 및 암자 명칭적 성격 (A Study on Foundation Year, Building Form, Main Buddha and the name of hermitages of Principal Buddhism Temples)

  • 배정관;심재성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1-128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theory of hermitage ever built from buddhist belief. Directing to hermitages within temples of Korea Jogye Order, we focused on the layout correspondence relationship among them. and 161 hermitages were the first object of the investigation.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research purpose, the general epitome and spatial specification through various literature studies, on-the-spot survey and personal communications with a lot of priests were made. As one of the basic surveys, the foundation year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followed by the form of building, main buddha and hermitage nam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orty five hermitages which are equivalent to twenty eight percent of total hermitages within the parish-level temples of Korea Jogye Order, were built in shilla Dynasty and twenty hermitages that are 12.4 percent of the total were constructed in Koryo Dynasty and thirty seven percent of the total were founded during both of dynasties. This fact makes us to consider that many of hermitages in those days were constructed with the simultaneity of principal temple foundation which means hermitage had responded the spirit of the times. Every hermitage has its main Buddha and this thing happened that each hermitage enshrines its main Buddha according to the thought which was developed with the Buddhism expansion and sutra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intention. .Basically a capital temple has differed in its central sanctum in accordance with resourceful sutra, and, at the same time, twenty seven in avatamsk sectenshrine for Sakyamuni as their sanction and eight for the Merciful Goddess and 42.7 percent for Chajang's hermitages. The name of hermitage not only represents its symbol but comprises the characteristic meaning of ascetic practice. 31.7 percent of the hermitages studies was found to have the names of relating to 'ascetic practice' or 'thought' followed by the 'nature' or 'environment' to 21.7 percent.

  • PDF

Measuring hand kinematics in handball's game: A multi-physics simulation

  • Kun, Qian;Sanaa, Al-Kikani;H. Elhosiny, Al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3권6호
    • /
    • pp.535-547
    • /
    • 2022
  • Handball sport, as its name postulates, is a team sport which highly physical workout. During a handball play, several ball impacts are applied on the hands resulting vibration in the forearm, upper arm, shoulders and in general in whole body. Hand has important role in the handball's game. So, understanding about the dynamics and some issues that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hand is important in the sport engineering field. Ulna and radius are two parallel bones in lower arm of human hand which their ends are located in elbow and wrist joint. The type of the joint provides the capability of rotation of the lower arm. These two bones with their ends conditions in the joints constructs a 4-link frame. The ulna is slightly thinner than radius. So, understanding about hand kinematics in handball's game is an important thing in the engineering field. So, in the current work with the aid of a multi-physics simulation, dynamic stability analysis of the ulna and radius bones will be presented in detail.

The Method Research for Analyzing Contemporary Fashion Phenomena - Focused on Mass Culture Theory -

  • Kim, Seo-Youn;Park, Kil-Soon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4권3호
    • /
    • pp.195-202
    • /
    • 2001
  • 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framework to analyze the contemporary fashion phenomena taking on aspect as above by grafting the mass culture theory onto the study for fashion phenomena. The contemporary culture phenomena look like a same thing apparently, but various individual characters appeared in them. And all cultures are mixed in the name of mass culture, but the subordinate concepts which can classify the culture are still in existence. And this equally appear in the contemporary fashion, one of culture phenomena.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mass culture can be explained with the taste culture, Cans' theory indicated, divided into highbrow culture, middlebrow culture, and lowbrow culture. And the phenomena of the contemporary mass culture also can be explained with globalization that came down to homogenization, regionalization hybrid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