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constructive reading of Makoto Shinkai's : Stories of things that cannot meet without their names

해체로 읽는 신카이 마코토의 <너의 이름은. 군(君)の명(名)は.> : 이름 없이는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물들에 대해

  • 안윤경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학과) ;
  • 김현석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 Received : 2018.02.01
  • Accepted : 2018.03.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Makoto Shinkai, an animated film maker in Japan, has been featured as a one-person production system and as a 'writer of light', but his 2016 release of "Your Name" was a departure from the elements that characterize his existing works. At the same time,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musubi(むすび) story, ending these, it was a big hit due to its rich narratives and attraction of open interpretation possibility. As it can be guessed from the title of this work, this work shows the encounter between the Japanese ancient language and the modern language in relation to the 'name', and presents the image that the role of the name(language) is repeatedly emphasized with various variations in events for the perfect 'encounter'. In this work, the interpretations of $Signifi\acute{e}$ for characters and objects are extended and reserved as a metaphorical role of the similarity,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subject which they touch.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e of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is an epoch-making ideological discovery of modern times revealed through F. Saussure.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this and that from the notion of Saussure, Derrida dismissed logocentrism, rationalism that fully obeyed the order of Logos. Likewise, dismissing the center, or dismissing the owner had emerged after the exclusive and closed principle of metaphysics in the west was dismissed. Derrida's definition of 'deconstruction' is a philosophical strategy that starts with the insight on the nature of language. 'Dissemination,' a metaphor that he used as a methodological concept to read texts acts as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r play), but does not pursue an ultimate interpretation. His 'undecidability' does not start with infinity, but ends with infinity. The researcher testifies himself and identifies that we can't be an interpreter of the world because we, as a human are not the subject of language but a user. Derrida also interpreted the world of things composed of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as open tex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d to read Makoto's works telling about the meeting of a thing and a thing with name as a guide, based on Derrida's frame of 'deconstruction' and 'dissemination.' This study intends to re-consider which relationship the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have with human beings who live in modern time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objects presented in this work through Jacques Derrida's destruction and dissemination concepts, and recognize that we are merely a part of Signifiant and $Signifi\acute{e}$. Just as Taki and Mitsuha confirm the existence by asking each other, we are in the world of things, expecting musubi that a world of names calls me.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는 1인 제작 시스템과 '빛의 작가' 로 주목 받으며 등장했으나 그의 2016년 개봉작 <너의 이름은.>은 그러한 기존의 그의 작품을 특징지은 요소들로부터 상당부분 스스로 탈피한 모습을 보임과 동시에 일본 전통적 인연설인 무스비 테제의 결합으로 내러티브의 풍부함과 열린 해석 가능성의 매력으로 흥행은 물론 앞으로의 작품에 대한 기대감까지 한껏 고조시켰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 '이름'에 관한 일본 고대 언어관과 현대 언어관의 만남이 나타나며 온전한 '만남' 을 위해 이름(언어)의 역할이 사건 속에서 다양한 변주로 반복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작품에서는 인물들도, 사물들도 접촉하는 주체의 뜻에 따라 그 기의가 유사성의 은유적 역할로 해석이 확장, 유보된다. 기표와 기의라는 구조를 통해 분석된 말과 사물의 관계는 소쉬르를 통해 나타난 현대의 획기적인 사상적 발견이다. 데리다는 소쉬르의 이 개념에서 사물을 비로소 존재하게 하는 '차이' 에 주목하며, 로고스의 명령에 충실해 온 서구의 로고스 중심주의, 이성 중심주의를 해체한다. 이처럼 서구 형이상학의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원리가 해체된 이후 대두되게 된 것은 중심의 해체, 주체의 해체이다. 데리다는 이처럼 해체주의를 표방하며 그 동안의 이성 중심주의에 의해 배제되어왔던 수많은 약소자들 및 타자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어떻게 타자들의 부름에 응답하고 그들을 환대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데리다의 '해체'개념은 언어의 본성에 대한 통찰을 출발점으로 하는 철학적 전략이다. 그가 텍스트를 읽는 방법적 개념으로 등장시킨 은유인 '산종(dissemination, 散種)'은 해석 실천(혹은 유희의 방법)으로 작용하며, 어떤 종국적인 해석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의 '결정 불가능성'은 그 출발은 무한성이 아니지만 귀결되는 종착지는 무한성이다. 연구자는 인간이 언어의 주체가 아닌 언어의 사용자의 입장이기에, 데리다 역시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사물의 세계를 열린 텍스트로 해석함으로써 우리 역시 세계의 해석자가 될 수 없음을 스스로 증언했다고 파악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의 프레임을 통해 사물과 이름의 이야기, 이름을 통한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는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을 읽어보고자 한다. 또한 기표와 기의의 구조가 이 작품 속에서,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인간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제고하며. 데리다의 해체와 산종 개념을 통해 작품에 나타난 말과 사물의 관계를 살펴보며, 기표와 기의로 세계를 파악하는 우리 역시도 곧 기표와 기의의 일부에 다름없음을 확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뉴턴 가버, 이승종,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동연, 2010, pp.91.
  2. 디터 메르쉬, 문화학연구회 옮김, 매체이론,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p.39.
  3. 박기수, 애니메이션 서사 구조와 전략, 논형, 2004. pp.306-307.
  4. 이광래,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교보, 1989. pp.252
  5. Spencer-Brown, George. Laws of form, Bohmeier Velag, 2011.
  6. 위키피디아, Your Name https://en.wikipedia.org/wiki/Your_Name, 2017. 8. 7.
  7. 위키피디아, Japanese box office record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D%BC%EB%B3%B8%EC%9D%98_%EC%98%81%ED%99%94_%ED%9D%A5%ED%96%89_%EA%B8%B0%EB%A1%9D&oldid=17528931, 2017. 8. 11.
  8. BIFF 인터뷰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5211026&memberNo=15205863, 2017. 8. 17.
  9.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千と千尋の神隱し, 2001)
  10. <너의 이름은.> (君の名は..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