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lder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1초

지속농업을 위한 벼 재배 농민의 병해충 종합관리사업에 관한 KAP 수준 (A Study on the Korean Rice Farmer's KAP of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jec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Korea)

  • 김상남;정지웅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4권1호
    • /
    • pp.245-255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degree of rice farm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of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2) to determine the related variables for decisions on pest control, and (3) to indicate desirable direction for IPM farmers' field training.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questionnaire method and sane interviewing survey of 300 rice farmers by the IPM trainers who participated in IPM training in 1994 or 1995.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KAP and relate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KAP score of the farmers concerning IPM were 71 for knowledge, 76.2 for attitude and 74 for practice on average. 2. The KAP score was higher for farmers cultivating larger land size and for those with more participation in IPM training. Also the KAP was higher for the members of the Rural Leaders Association and Future Farmers Association than any other groups. 3. The IPM farmers had stro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resistant rice varieties. However, the practical pest control rate of the IPM farmers was low for conservation of natural enemies, timely control following occurrence and plant compensation what few pest were presence in the paddy field. 4. The KAP Score on the economic threshold level and safe pesticide use was relatively low for elder farmers and for those with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Most farmers preferred calendar spraying methods for preventive pest control to any other method of pest control. Knowledge was relatively low on pesticide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5. Decision making on pest control depends on the extension officer and rural leader's opinion. The survey method for pest occurrence by directly counting pest in the field was only 22.9% among the farmers of this study. 6. Most farmers used pesticide for preventive pest occurrence even when pest didn't occur in their field. The average number of pesticide applications per cropping season in rice field was 3.7 times, and the number of mixed pesticides per application was 4.3 kinds of pesticides. Also 6 recommendations were made in this study for improvement of IPM farmer's training.

  • PDF

지능정보사회의 노인교육: 승조(僧肇)의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을 중심으로 (The elderly education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centered on "Pan-jo wu-chih lun" of Seng-Zhao)

  • 한지윤;강선보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261-285
    • /
    • 2017
  • 본 연구는 승조의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에 나타난 지혜를 토대로, 지능정보사회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지능정보사회에서 예상되는 노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지혜의 쇠퇴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시간적 여유가 많을 수 있으며,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경제적으로 취약해지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지능정보사회에서도 노인은 죽음을 회피할 수 없고, 아집으로 인해 존재를 있는 그대로 통찰하기 어려우며, 기존의 것에만 집착하는 태도를 지니기 쉽다. 이러한 노인의 삶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인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사고(生死苦)가 일시적인 것임을 알기 위한 학습'을 통해 특정한 대상에 대해 나오는 마음과 사라지는 마음이 일시적이고 공(空)하다는 것을 깨닫는 일이다. 둘째, '아집을 없애면서 존재하기 위한 학습'을 통해 아(我)가 있다고 믿는 왜곡된 독단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다. 셋째, '집착을 끊고자 행동하기 위한 학습'을 통해 기대한 바에 따른 결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주관적인 견해를 각성으로 끊으며 행위의 전환을 불러일으키는 일이다.

유동공 체조가 노인의 신체기능과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Yu-Dong-Kong on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State in Elderly)

  • 유지수;한신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507-521
    • /
    • 1999
  • Yu-Dong-Kong exercise is to produce heat from rubbing hands and is composed of 10 different types of exercise using warmed hand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Yu-Dong-Kong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state in elderly. The design of research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is Yu-Dong-Kong exercis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state. Subjects are 18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elderly in control group. All of them are above 60 year old and live in 1-city, Kyonggi-do. The exercise period was 4 week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August in 1998. The exercise frequency was once a day. The exercise duration was from 10 to 20 minutes. The measurement tools are modified 1) Cornell Medical Index-Health questionnaire and 2) Geriatric Depression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paired t-test based on the purposes of research using SPSS-Window packag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exercise physical function between two groups (t=-.95, p=.35). 2. The hypothesis that 'physical fun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y t-test(t=-.925, p=.362). However. the physical fun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improvement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3. The hypothesis that 'emotional st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y t-test(t=-1.715, p=.096). However, the emotional st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improvement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4. The hypothesis that 'physical function will be improved in the post-exercise compared to pre-exercise' was not supported by paired t-test(t=.302, p=.766) However, a slight improvement in the physical function was found. For the further study, it is recommended to reevaluate the effect of Yu-Dong-Kong exercise through large number of subjects and long-term study. Also, a separate study with different type of subjects is recommended. In addition, continuation and compliance this strategy for exercise should be developed.

  • PDF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Sociological Understandings of Elderly Suicide and Its Primary Prevention)

  • 김형수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167-187
    • /
    • 2000
  • 우리사회에서 노인 자살자의 수와 자살율이 지난 십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노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경제적 불안정, 조기퇴직, 건강악화, 가족부양체계의 약화, 정서적 고립 등)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자살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노인자살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자살의 배후에 있는 노인문제 혹은 생활조건을 확인하여 노인복지 차원에서 일차적 예방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자살위험이 높은 특정 노인인구집단을 중심으로 자살예방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 나라 노인문제의 구조적 상황과 노인자살과의 관련성을 사회학적 시각(교환이론과 사회통합이론)으로 조망해 본 후 이를 기초로 노인자살을 유도하는 노인생활의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노인복지과제를 제시하여 한국노인의 자살율 증가를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 PDF

한국노년학의 복지 분야 연구동향 - 1980년(창간호)부터 2008년(28권 제2호)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n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검미혜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733-75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 한국노년학 창간 이래 2008년 현재까지 한국노년학에 실린 복지 분야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노인복지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핌으로써 추후 한국노년학에서 복지 분야 연구가 담당할 역할과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08년까지 출간된 복지 분야의 논문 215편을 분석하였으며, 시기상의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1980년대는 한국사회의 노인복지 분야가 도입기에 접어드는 시점이므로 연구 수 자체가 매우 한정된 가운데 주로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정책의 실태를 밝히거나 국내외의 제도를 소개하는데 주력한 시기였다. 둘째, 1990년대는 노인복지사업이 다양화한 시기로서 연구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구주제나 연구방법상의 발전이 있었고, 제도와 정책 외에 사회서비스 및 실천(방법론)에 관한 논의도 크게 증가한 시기였다. 셋째, 2000년~2004년에는 연구 수, 연구 주제, 및 연구방법이 더욱 세분화하고 질적으로 풍부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노인학대와 노인장기요양제도가 새로운 주제로 부상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이후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고려하기 시작하여 성공적 노후,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복지감 등의 주제가 큰 관심을 받고 연구되었다. 하지만 한국노년학에서 복지 분야의 연구는 노인복지의 제도도입과 정책의 형성에 시기적절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서구의 이론과 모델을 적용하거나 단순 소개한 연구가 많았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향후 노인복지 연구가 명확한 학문적 정체성을 갖고 한국적인 노년학 연구를 확립하려면 고령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과학 지식과 이론 연구에 박차를 가해 장기적인 노인복지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하악 제3대구치의 존재여부 및 매복양상이 하악 우각부 골절과 과두 골절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presence and aspect of mandibular third molars to the mandibular angle and condyle fractures)

  • 이영주;송윤정;홍순민;채상식;강현우;최동주;박준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9호
    • /
    • pp.566-573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the presence and aspect of mandibular third molars to the mandible angle fracture or condyle fractures in Korean.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for patients attending the divis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for treatment of mandibular fracture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10. The primary variable was the presence of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secondary variable was the aspects of third molar impaction. Mandibular third molars were classified by the impaction depth and the available space as Pell & Gregory system. Outcome variables were the presence of mandibular angle fracture or condyle fracture. Also the source of trauma, age, sex were studied. Hospital charts, radiographs were used for study. Statistic analysis was don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X2-test, linear-by-linear association. P value under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statistically. Results : The number of involved patients was 86.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about 9:1 for angle fracture and 7:3 for condyle fracture. The most common source of trauma was assault for angle fracture and fall down for condyle fracture. The presence of mandibular third molar increased frequency of angle fracture and decreased condyle fracture with larger impaction depth. But available space of mandibular third molar did not show high association with angle or condyle fractures. Conclusion: Preventive extrac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high risk of angle fracture. Male patients at their third decade or martial artists, police officer could be the case. But it is not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low risk of angle fracture and high risk of condyle fracture relatively. Elder female patients without any symptom on their third molar could be the case.

대소변 가리기 훈련과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ilet training and influencing factors)

  • 김은옥;윤상현;장영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778-784
    • /
    • 2009
  • 목 적 : 대소변 훈련 시기와 기간 및 부작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 등을 살펴보고, 부모들에게 적절한 교육이 되는 자료를 살펴보고자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2009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전주예수병원과 전주, 익산, 군산지역 소아청소년과 의원에 방문하는, 만 2-6세 아기 1,370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성별, 주거 지역, 가족 관계, 기저귀 종류, 훈련 시작 시기, 낮과 밤에 각각 대소변 가린 시기, 부작용, 엄마의 교육 정도, 맞벌이 여부, 경제 수준 등에 대해서 설문조사하였으며, 대소변 훈련 시작 시기와 기간, 완료 시기 및 영향을 주는 인자와 부작용을 분석하였다. 결 과 : 훈련 시작 시기와 완료 시기는 남녀 차이가 없었으며, 군 지역 거주, 위에 형제 자매가 있는 경우, 천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 맞벌이, 경제 수준이 낮은 경우에 빨랐다. 낮에 대변 가리기, 낮 소변 가리기, 밤 소변 가리기 완료 시기는 각각 23.7개월, 24.8개월, 32.7개월이었으며, 훈련에 필요한 기간은 각각 4.8개월, 5.9개월, 14.0개월이었다. 훈련 완료 시기는 훈련을 18개월 이전에 시킨 경우에는 22.9개월로 18-24개월의 25.9개월, 25개월 이상의 31.0개월보다 일찍 훈련을 마칠 수는 있었으나, 기간은 18개월 이전에 시킨 경우가 8.4개월로 18-24개월의 5.6개월, 25개월 이상의 3.8개월보다 더 걸렸다. 부작용은 유분증, 변비, 거부 반응, 숨기 순이었으며, 18개월 이전에 훈련을 시킨 경우가 그 이후에 시킨 경우보다 유분증과 거부 반응이 많았다. 결 론 : 대소변 훈련 시기는 최소한 18개월 이후에 아기의 발달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에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우리나라의 적절한 권고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호흡기병원감염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in Critical Care Nurses)

  • 최지연;박경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97-413
    • /
    • 1999
  •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event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after understand the Correlation about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ritic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Critical Nurses 300 persons who has worked in 14 Subsidary Hospitals of University in Seoul and the collection periode is from Nov. 1st, 1997 to Jul. 14th. 1998. There are 40 questions and constructed by 6 Domains which Hand Washing, Suction Management, Airway Management, Respiratory Instrument. Ventilation and Respiratory Intervention. Also, the Data were analized with SPSS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Mean of Recognition for Prevention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is 4.649 and by Domains, Respiratory Intervention(4.758), Suction Management (4.669), Airway Management(4.660), Hand Washing(4.651), Ventilation(4.605) and Respiratory Instrument(4.561) according to the Mean. (2) The Mean of Performance for Prevention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is 3.991 and by Domains, Respiratory Intervention(4.498), Airway Management (4.107), Hand Washing(4.084), Suction Management(3.898), Respiratory Instrument(3.860) and Ventilation(3.690) according to the Mean. (3) In the Correlation of Recognition and Performance for the Prevention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Hand Washing(r=0.755, p=0.000), Airway Management(r=0.724, p=0.000), Respiratory Intervention(r=0.693, p=0.000) are mentioned significant correlation level. The Performance is good whenever the Recognition is high for Respiratory Instrument(r=0.143, p=0.054) but it's not significant level and Suction Management and Ventilation has no Correlation. (4) In Normal Properties, The Recognition is good(p<.05) when Nurses has plenty Clinical Career, Attendance of the Education and Exclusive Nurse for the Respiratory Infection is in Hospital. The Age i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level statistically but represent a little correlation. The Performance is good(p<.05) when Elder Age, Attendance of the Education and the plenty Clinical Career i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level statistically but represent a little correlation. Another properties has no menas. According to the results, Suggestion is as follows ; (1) Required Education to adva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about Prevention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for a little clinical career of Nursing and younger Nurses. (2) It needs to analyze Performance about Prevention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by observation of research worker.

  • PDF

노인교통안전교육의 효과평가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to Seniors)

  • 어지영;김도경;김영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63-72
    • /
    • 2012
  • 우리나라의 교통사고건수 및 사망자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 비중은 2001년 19.5%에서 2009년에는 31.3%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교통안전교육의 효과평가를 분석하여 노인 스스로 교통사고의 위험을 인식하고 안전수칙 등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하여 실질적인 노인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의 경로당과 사회복지관의 노인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을 진행하는 동안에 노인의 개선된 교통안전지식의 변화된 정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노인교통안전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효과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이용한 효과평가 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사전조사와 비교할 때 사후조사의 값이 2가지 항목을 제외하고는 95%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교통안전교육을 제공받지 못한 대조군에서는 교육 전 후의 교통안전행동 점수가 변화되지 않았음을 증명해주는 결과이다. 한편, 실험군의 경우 교육 전 후의 점수를 비교할 때 상당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5% 신뢰수준에서 모든 문항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험군이 교통안전교육 후 교통안전행동 점수가 모두 상승한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한다.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The Research of Ability to Use Internet, Interpersonal Skill, and Social Activity among the 50's and 60's in Seoul: Latent Mean Analysis)

  • 김동배;김상범;김세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733-74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장·노년층 세대 내 정보화격차를 고려하여 50대와 60대 간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사회활동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시복지재단에서 실시한 2008년 서울시복지패널조사이며, 50대 644명과 60대 297명이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특성, 집단 간 평균비교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기술 분석, t-test,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매개모형의 검증과 50대와 60대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 결과 50대는 인터넷활용능력이 높으며 60대는 사회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은 노년기 사회활동을 증대할 수 있는 인터넷커뮤니케이션 활용기술과 관련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세대 내 인터넷활용능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