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2초

학생 중심의 학습법을 적용한 한방 안이비인후과학 수업의 성과 (The Result of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Class Applying Student-Oriented Teaching & Learning Method)

  • 임규상;이장천;박영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3-173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needs of oriental medical students about the existing teaching methods and to investigate satisfaction of student-oriented teaching & learning method on the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class. Methods : 1.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were studied by student-oriented teaching method with 36 persons( 4th grad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2. The satisfaction of school lesson was surveyed with questioning paper before & after applying student-oriented teaching & learning method. Results : 1. 88.9% students replied that the general teaching method is a lecture at school of oriental medicine. 2. They replied that Problem based learning(36.1%) & Team based learning(22.2%) are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n lecture(19.4)%). 3. 66.6% students replied about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major subject's teaching method. Conclusions : 1. The interest & understanding degree were improved compare with other class by lecture. 2. It was positive about the interaction with professor and students(64.8%). 3. It was positive ab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in the future(64.7%). 4. It was negative about the present national examination(67.6%). 5. Meditation was helpful at classwork(64.7%).

IPA 분석법을 활용한 비대면 동영상 강의 만족도 제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Video Lectures Using IPA Analysis)

  • 정대현;김진성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4호
    • /
    • pp.45-56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fficient e-learning education through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urvey of learners of non-face-to-face video lectures. Therefore, by grasp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importance ratio through the IPA analysis method, we try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insufficient education methods. Design/methodology/approach For IPA analys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four universities and analyzed 154 samples.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and through the wordcloud analysis method of R, the suggestions for the non-face-to-face lecture method felt by learners were analyz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indings As a result of the overall satisfaction survey for the entire non-face-to-face class, the factors with the greatest dissatisfaction are listed as follows. Complaints about the adequacy of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quiz, discussion, assignments, etc.), Complaints about how to use the produced content, and complaints about announcements about class management (lecture schedule, lecture method) were identified in order. The factors of dissatisfaction were clear in the non-face-to-face class where interactive communication was impossible or insufficient. In addition to the lack of quick Q&A, there seems to have been a phenomenon of some neglect.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수업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las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flip learning)

  • 주현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11-225
    • /
    • 2021
  •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진행한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행동적 참여도, 인지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행동적 참여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주도적 참여도, 과제가치, 정서적 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학습만족도를 86% 설명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는 행동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를 통한 학습만족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적이 중상위권(B+이상) 집단과 중하위권(B이하)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주도적 참여도와 학습만족도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수준과 학업관심도에 따라 학습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과 개인별 맞춤형 학습적응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러닝 운영실태 및 만족도 조사 -부산지역 인력양성기관을 중심으로- (Operating Practices and Satisfaction on e-Learning -Focused on Human Resources Nourishing Institutions in Busan-)

  • 정주영;박철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9-57
    • /
    • 2007
  •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의 교육패러다임은 단순한 지식습득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지식창출교육으로 전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가장 효과적,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 이러닝일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인력양성기관 70개소와 부산지역 이러닝 학습 유경험자 758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닝 교육기관의 운영실태와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학습환경 개선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먼저 이러닝 운영실태는 학습자 대상의 요구 및 직무분석 실시 여부, 프로그램 개발 시 현장전문가의 참여여부, 학습성취도 및 효과성 측정여부, 프로그램 중도탈락의 주된 원인, 이러닝을 위한 효과적 방안 등의 측면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러닝 만족도는 가장 도움이 되었던 컨텐츠 분야, 컨텐츠의 내용 및 수준에 관한 의견, 교육비용에 관한 의견, 학습기간 및 학습관리에 관한 의견 등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이러닝 운영 및 만족도 수준에서 상당한 긍정적인 인식을 발견할 수 있었지만, 대학(교)과 직업훈련기관(평생교육기관 포함)간의 운영중점의 차이, 50대 이상 연령층의 이러닝 환경에 대한 낮은 이해와 접근도 등에서 개선과제가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학부과정 약물치료학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의 도입 (Problem-based Learning Experience in Undergraduate Pharmacotherapy Course)

  • 민보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1-299
    • /
    • 2013
  • Purpose: Problem-based learning (PBL) has been adopted to foster 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enhanc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many health-care academic disciplines in Korea. Interest in PBL has rapidly grown with a 6 year pharmacy degree program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easibility of PBL, stud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with a self-assessment survey questionnaire. Method: Six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BL for pharmacotherapy course. Average scores from student self-assessmen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were $3.85{\pm}0.55$, $2.94{\pm}1.04$, $3.09{\pm}0.91$ out of 5 point lickert scale (1-do not agree at all, 5-agree completely), respectively. Results & Conclusi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 in academic performance (correlation coefficient 0.27, p=0.037). In the quality analysis of the cases provided for PBL, students who participated more in the PBL greatly agreed the cases given were appropriate to learn fundamental knowledge for each disease state. The students disagreed that PBL was fun. The students stated that PBL was good to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and clinical context beforehand but too time-consuming to devote and too demanding to commit. Lack of facilitator and insight on active learning should be rectified for successful launch of PBL in Korean pharmacy education.

플립드 러닝 기반 컴퓨터 활용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Learning Effect Analysis for Flipped Learning based Computer Use Instruction)

  • 허서정;손동철;김창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55-162
    • /
    • 2017
  • 본 논문은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활용 수업의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전통적 컴퓨터 활용 수업은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여 충분한 실습 및 협력적 수업이 어려웠다. 그러나 플립드 러닝 방식의 수업 방식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KOCW(Korea Open Courseware)을 디딤 영상으로 활용하여 강의실에 들어오기전에 미리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상호 토론을 기반으로 협력적 실습수업을 수행하였다. 수업을 진행 한 후 학습동기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성별, 학년별, 전공별로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의 학습동기에서 주의 집중 인식 정도, 수업 관련성에 대한 인식 정도, 학습만족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매우 만족'과 '만족'이 90%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기술.가정 교과 '수송기술' 단원에서 수업 자료의 제시 방법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Method of the Multimedia Materials for 'Transportation Technology'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 김성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7-160
    • /
    • 2012
  • 본 연구는 기술 가정교과 '수송기술' 단원의 수업시 강의식 수업인 통제집단과 교사가 멀티미디어 자료로 수업한 실험집단 1, 멀티미디어 자료에 내레이션을 넣어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교실에서 보는 수업을 하는 실험집단 2 간의 수업 자료의 제시 방법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학습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기술교과를 수업하는 93명 여고생들이며, 6개 질문에 대한 응답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응답 평균(M)은 교사가 멀티미디어 자료로 진행한 수업(실험집단 1)이 4.14로 가장 높고, 멀티미디어 자료에 내레이션을 넣은 동영상을 교실에서 보는 수업(실험집단 2)이 3.16, 강의식 수업(통제집단)이 보통보다 약간 아래 수준인 2.63으로 나와 멀티미디어 자료로 교사가 수업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 수업임을 보여준다. 둘째, 문항간 상관계수에서 보면 흥미있는 수업에서는 기억도와 내용 이해도가 높지만, 집중도가 떨어지면 기억도도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업 성취도는 실험집단 1이 가장 높았으며, 실험집단 2는 통제집단과 유사한 수준이다.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의식 수업에서는 흥미를 높여야 하며, 내레이션을 포함한 동영상을 보는 교실수업에서는 수업 집중도를 높이는 방안이 요청된다.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 만족도 조사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Fraud Prevention Education about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정선정;이은혜;이문수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25-53
    • /
    • 2018
  • 이 연구는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이하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집합교육과 이러닝으로 실시하는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5,939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4,263명). 최종적으로 회수된 유효 응답자료(4,237명)를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훈련기관 관계자가 인식한 교육서비스 품질(4.42)과 만족도(4.44), 이해도(4.44) 및 도움도(4.45)는 모두 매우 높고, 교육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도 4점 이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방법별 교육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이해도 및 도움도는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으로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인식도가 모든 변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방교육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모두는 집합교육과 이러닝에서 각각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교육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중에서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합교육에서는 교육내용이, 이러닝에서는 자료구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방교육에서 추가적으로 희망하는 교육내용은 부정훈련 사례(70.7%), 처분규정(47.9%), NCS과정 운영 유의사항(32.8%), 훈련운영 우수사례(3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가 요구사항에서도 심화과정 개설, 훈련생 대상 부정 예방교육 콘텐츠 제공, 이러닝에서 집중할 수 있는 화면전환 및 시스템 안정성 등이 추가적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의 만족도 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반영하여, 예방교육 이러닝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방교육 만족도와 이해도 및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고, 희망사항 및 기타의견에서도 교육내용에 대한 보완이 제시되고 있어, 예방교육 내용을 다양화 하여 보다 풍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합교육에서 교육내용 다음으로 만족도 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달방법과 교육장소로 나타난 바, 전달력이 뛰어난 강사 배정과 편의성 등을 고려한 교육장소 마련이 필요가 있다. 넷째, 이러닝에서 자료구성 다음으로 이해도와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영자지원으로 나타난 바, 보다 활발한 운영자 지원활동이 요구된다. 다섯째,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생을 대상으로 한 부정훈련 예방활동도 요구되며, 여섯째, 예방교육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교육 요구도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러닝 효과성 메타분석 연구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Smart-Learning)

  • 한상준;김화성;허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8-1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By using meta analysis method, twenty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6 to 2013 were analyzed and 10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 Smart learning turned out to be more statistically effective comparing to traditional education.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886 and the value of U3 was 66.53%. (b) All effect size of sub dependent variables(i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were also effective by adapting smart learning. (c) The moderated variables likes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content, and interaction had high effect sizes. Operation system variable had a low effect size but it was not significant.

Factor Struct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acher Satisfaction Scale (TSS) In Distance-Learning During Covid-19 Crisis: Invariance Across Some Teachers' Characteristics

  • Almaleki, Deyab A.;Bushnaq, Afrah A.;Altayyari, Basmah A.;Alshumrani, Amenah N.;Aloufi, Ebtesam H.;Alharshan, Najah A.;Almarwani, Ashwaq D.;Al-yami, Abeer A.;Alotaibi, Abeer A.;Alhazmi, Nada A.;Al-Boqami, Haya R.;ALhasani, Tahani 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17-3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teacher satisfaction scale (TSS) with distance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affirming the (Factorial Invariance) according to gender variable. It also aimed at identify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om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ampl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all teachers in public education and faculty members in higher education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The (TSS) was applied to a random sample representing the study population consisting of (2399)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cale consists of five main factors, with a reliability value of (0.94). The scale also showed a high degree of construct validity through fit indice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have shown a gradual consistency of the measure's invariance that reaches the third level (Scalar-invariance)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the gender variabl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average response of the study sample on the scale reached (3.74) with a degree of satisfaction, as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s of the study sample responses with respect to the gender variable. Whi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of the educational level in favor of the middle schoo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s attributed to the years of experience variable in favor of those whose experience is less than (5)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