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mmunity child center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9초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례관리 수행과 영향요인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and Influential Factors)

  • 김현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4호
    • /
    • pp.51-65
    • /
    • 2015
  • Case manag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at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sed the performance level of case management at each stag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at each stag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obtained from about 181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Model 1 which represents the category of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 factors, three factors namely gender, experience in case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and they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21.5%. Under the category of organizational factors in Model 2, four factor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experience in case management, interpersonal skills, availability of case management guidelines, and holding case conferences. These factors account for 33% explanatory power, 11.5% higher than that of Model 1. In Model 3 which represents the third category of community network literacy, three factors namely interpersonal skills, availability of case management guidelines, and ability to utilize networks were found to influence case management at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y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43.4%, 10.4% higher than that of Model 2. For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se findings have the implication that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need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skills by cultivating communication skill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nflict-management skills, and other relevant skill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case management, to have regular case conferences, to establish a community network, and to reinforce cooperation and mutual support among institutions within the network.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개발의 가능성 - 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Healthy Families Center - Focused on the Community Organization -)

  • 송혜림;김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2호
    • /
    • pp.1-18
    • /
    • 2006
  •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possibilities for th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Focused on the community organization this study analized 3 cases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the analized case studies this study concluded some scheme as follows : 1. For the effective community organization the Healthy Families Center has to give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rete objects, the system of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2. The professionals of the Healthy Families Center have to possess the knowlegement of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this point porposed the necessities for enlargemen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PDF

지역아동센터 이용 어린이의 비만관리의 한계점과 모바일폰의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 어린이와 보호자 대상의 질적 연구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Potential Possibility of Utilizing Mobile Phones: A Qualitative Study for Children and Caregivers)

  • 이보영;박미영;김기랑;심재은;황지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203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for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caregivers (parents and teachers working in the Centers). Further,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tailored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children's obesity management. Method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0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or children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12 teachers working at the Center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five parents of children using the Centers. Data were analyzed with a thematic approach categorizing themes and sub-themes based on the transcripts. Results: The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of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were lack of self-directed motivation regarding obesity management (chronic obesity-induced lifestyles and reduced self-confidence due to stigma) and lack of support from households and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latchkey child, inconsistency in dietary guidance between the Center and household, repetitive pressure to eat, and absence of regular nutrition education). Mobile phone applications may have potential to overcome the current barriers by providing handy and interesting obesity management based on visual media (real-time tracking of lifestyles using behavior records and social support using gamification), environmental support (supplementation of parental care and network-based education betwee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nd household),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encouragement of tailored and gradual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ailored goal setting). It is predicted that the real-time mobile phone program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nutritional knowledge and behavioral skills as well as lead to sustainable children's coping strategies regarding obesity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may be improved by network-based education betwee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household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s, which are free from space and time constraints. Conclusions: The tailored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based on mobile phones may prevent and reduce childhood obesity by overcoming the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for children, providing environmental and individualized support to promote healthy lifestyles and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청소년정신건강 문제 대처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to deal with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배은경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33-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청소년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대처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 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 10명을 2집단으로 나눠, 총 4회에 걸쳐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관한 종사자들의 경험은 4개의 주제, 12개의 하위주제로 구성되었다. 4개의 주제는 '아이들의 정신건강과 마주한 현실', '정신건강 문제를 인식한 종사자의 대처와 제한점', '마음으로 전해지는 노하우, 눈에 보이는 변화', '남겨진 과제, 아낌없이 줄 수 없는 종사자'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광주 및 전라남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우울감 및 관련요인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in Gwangju and Jeollanamdo)

  • 윤상은;한미아;박종;류소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4호
    • /
    • pp.242-252
    • /
    • 2021
  • 본 연구는 광주·전남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우울감 관련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지역아동센터 전체 이용아동의 우울감 평균점수는 15.31±7.70점이었고, 돌봄취약아동의 우울감 평균점수는 17.58±7.09로 돌봄취약아동의 우울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우울의 정도가 22점 이상으로 우울감을 갖고 있는 아동은 전체아동 중 58명(25.9%)이고 모두 돌봄취약아동 이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부모의 학력이 낮거나 부모가 없는 경우, 주관적 경제적 인식도가 낮은 경우, 방과 후 학원을 다니지 않는 경우, 가족 구조가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지 않는 경우 우울감이 높았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 점수가 낮을수록, 학교생활 적응 점수가 낮을수록 우울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아동의 우울감 감소를 위하여 학년이 높아질수록 정신건강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성이 대두되고, 방과 후 아동이 학원을 다니지 않더라도 이용 할 수 있는 실직적인 보호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아동의 심리지원 프로그램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아동 센터는 아동의 마음건강을 위해 지자체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아동심리 지원서비스 개발 및 실천이 이루어질 경우 아동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대상 실천역량 향상 프로그램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Enhancement Program of the Social Work Practice Competency for children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 배은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127-1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대상 실천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매 120분간 주1회로 5주간 실행되었다. 양적 평가를 위하여 유사실험설계의 비동일 비교집단 설계가 사용되었으며, 질적 평가를 위하여 프로그램관련 기록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적 평가에서는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숙련도와 클라이언트관계변화 임파워먼트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평가에서는 종사자의 실천역량 향상, 아동의 변화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의 강점 및 보완점 인식이라는 주관적 경험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전달체계인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 실천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실천에 있어 전문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아동의 건강한 발달 및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발전방안 (The Actual Condi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 Community Child Center)

  • 이영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67-100
    • /
    • 201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실태 및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이전 37개소 16.1%였으나 해마다 20~40개소씩 증가하여 왔다. 현재 지역아동센터는 신고제이기 때문에 정부지원이 시작된 이래 개소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아동센터의 난립을 억제하고, 신설되는 지역아동센터의 경우는 일정수준 이상의 환경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고제에서 허가제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225개소의 이용아동 총 수 6, 144명 중 일반아동이 1,711명 27.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지표에서도 이용 아동 및 출석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일반아동과 취약계층 아동의 통합적 보호라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나, 지역아동센터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사업목적에 맞는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세부 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세째, 지역사회 유관기관 및 인적자원 활용 영역의 점수가 다른 지표 항목에 비교해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의 대부분이 자원봉사자는 활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연계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시 군 구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홍보하고 지역의 전문 인력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보육서비스 인프라가 영유아 부모의 지역사회 가족친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25개 구를 중심으로 (Child-Care Infrastructures and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25 Provinces in Seoul)

  • 유재언;진미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3호
    • /
    • pp.63-79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community policy and child care policy 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Particularly, two specific questions were addressed: 1) We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amo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Seoul provinces? 2) We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amo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depending on child-care infrastructures in Seoul provinces?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multiple sources. Individual-level indicators were drawn from the survey of 1,246 parents with children under age 6 in Seoul. Community-level indicators were drawn from the 2011 Seoul census data.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GIS mapping,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by individual, child-care infrastructures, and the community at large. The majo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parents on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varied across the 25 provinces in Seoul.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total number of child day-care centers, and the number of infant-toddler child daycare centers. The number of accredited child daycare center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amily-friendliness.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of an After-school Care Servi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조영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1호
    • /
    • pp.141-16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some measures to improve policy issues by analyzing policy related to a child care service program in the community. Gilbert and Terrell's social policy analysis framework is used to analyze an after-school care servi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urthermore, the Elementary Care Class(including the After-school Program),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Community Child Center, referred to as public care services, are employed to analyze community care service programs for children. The Elementary Care Class,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Community Child Center are very similar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application of the care service program for children, and mainly serve children in low-income groups. In addition, although user overlapping is an inevitable problem because the operating time of the Elementary Care Class and After-school Program coincides with that of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Community Child Center, it is structurally very hard to adjust the content of service, operating time, and so on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delivery system for each progr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unified delivery system to manage after-school care service programs for children and create a new special control tower to solve these problems. Furthermore, it is needed to extend the services to children from general double-income family, which is a blind spot of the care service.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 인권감수성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the Teachers in Community Child Center -Focused on Human Rights Sensitivity-)

  • 이혜원;이향란;유정은;이상애;장혜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149-17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역아동센터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인권감수성척도를 사용하여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기준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첫째, 교사의 인권감수성 전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인권감수성의 3가지 하위척도들 가운데 교사의 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인권감수성의 10개 에피소드 가운데 '체포 구속당하지 않을 권리', '장애우의 신체자유권', '이주노동자의 노동권', '구금으로부터의 자유권'에 대한 교사의 인권감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를 기초로 향후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