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eriod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제1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직선 관련 내용의 구성 및 전개 방식 분석 (Analysis o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Period Centerea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 도종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1-119
    • /
    • 2017
  • This paper is a follow up study of [2].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Period centered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and discuss how they are different from contemporary mathematics textbooks in view of connectedness of contents, mathematical terms, textbook as a learning material vs. teaching material,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some topics related to direct proportion, function, method of equivalence as a method for solving simultaneous linear equations and so 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nd discussion suggest implications for reforming mathematics curriculum and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The Advent of Earth Science and the Change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in 1950s)

  • 안종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1-98
    • /
    • 2011
  •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의 변화 가운데, 현 지리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결정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은 교수요목기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로 이해되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이전까지 '자연환경과 인류생활', '인문지리', '경제지리'의 3과목이었던 고등학교 지리과목이 '인문지리'라는 1개의 선택과목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 지문학의 일부 내용인 천문, 지질, 생물 관련 일부 내용이 교수요목기의 지리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제1차 교육과정기의 '인문지리'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리영역의 축소는 당시 교육과정에서 '지학' 과목이 신설되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지학'은 원래 '자연지리'로 기획된 것인데, 공식적인 시간배당기준표가 공표되기 10개월 전인 1953년 6월에 공개된 문교부 시안에는 '지학' 대신 '자연지리'라는 과목이 나타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자연지리'라는 이름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과학과의 하위 과목인 '지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지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의 기저에는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자연지리 영역의 축소 및 지학의 등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현 위기의 극복을 위해서는, 지리가 축적해온 자연 및 인문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과 학문적 소산을 바탕으로, 현재보다 더 많은 교육적 의미를 가진 교과목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지리교육계의 노력이 요구된다.

초등수학에서 곱셈구구 1단 및 0의 곱 문제 상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roblem Situation of Multiplication Facts (1st and 0th multipl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67-48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learn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facts in the 2nd grade.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rganizing the multiplication problem situation in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auses of these difficulties and devise teaching method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d analytic method. In order to compare textbooks, we select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1st curriculum~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ix foreig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Taiwan, Japan, Finland, Unites States, Hongkong, Singapore). As a result, the multiplication problem situation and the multiplication model assume the same bundle and bundle model. Also, we must consider the teaching timing of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and the use of commutative law.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ultiplication teaching scheme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plication problem situation and teaching model, teaching period and commutative law etc.. to teach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다면체 관련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of Polyhedr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이영지;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405-438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and discussed instruction methods of polyhedr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by using the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By further segmenting instruction methods, we analyzed the period and order of teaching of polyhedrons, its definitions and presentation methods, and how instruction methods has changed so far.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1st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e choose the part where polyhedrons are introduced as the search-target, and analyzed instruction methods in these textbooks by using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The instruction period and order of polyhedrons were systemized when the system of Euclid geometry was introduced,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students, and the instruction period and order had been refin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definition took into consideration both the academic system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Also, the subject of learning has changed from textbook and teachers to students. Polyhedrons were connected to real life and students could build up their knowledge by themselves. Constructions were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contents, rather than at itself. Through these analyses, we have some suggestions on the teaching of polyhedr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및 구조 개선 연구

  • 김경애;윤인경;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79
    • /
    • 1996
  • This study proposes a model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model in the study is first drawn from the assumptions that reflect ever changing demands of industrial societ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other perspective employed in the study is historical analysis that focuses on the evolution of the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a from the 1st through the 6th revision. This study also employes comparative research tools for the national level comparison such as USA, Japan, Taiwan, and Korea. The proposed model curriculum in this study is concluded from those step-by-step studies as follows:1) Problem definition and design in current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2) Needs and roles analysi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for the future; and 3)Historical analysis of our curriculum revisions in the past and co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untries. Authors conducted this research project for 3 month period from June 15, 1996 to September 15, 1996. During this period, authors collected the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ose method a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and curriculum specialist conference. The key and critical features of the proposed curriculum in the study are as follows:1) In the numbers of department, a proposed model curriculum offers 8 as opposed to 6 in the 6th revision, reflecting two additional departments of “Elderly Welfare”and “Cosmotology”. 2) In the stat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 model curriculum emphasizes a more concrete statement to each specific skills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etal needs. 3) In the numbers of total subject matters, there would be 40 in the new as opposed to 23 in the current curriculum. Among these changes, 17 would occurr in the newly introduced subject matters, while 11 would simply change the subject matter name. Among 40 subject matter, “Introduction to Computer” and “Home Economics in Vocational Education”would be required subject matter. 4) In the total numbers of required unit for graduation in three years, a model offers 86∼132 unit. A maximum unit for each subject matter would be 12.

  • PDF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주생활 영역 내용 변화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Changes of Housing in the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of Secondary School)

  • 허영선;김남은;최민지;백민경;곽선정;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5-118
    • /
    • 2013
  • 이 연구는 교육과정이 고시된 1차 교육과정부터 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9회 시기의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주생활 영역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 성격, 목표,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는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 홈페이지(http://www.ncic.re.kr/2012. 04. 08)의 교육과정 자료실에 탑재된 1차 교육과정(1955. 08)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2012. 03)에서 중 고등학교 가정과(실업 가정과) 교육과정을 다운 받아 주생활 영역에 중점을 두어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시기별로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서 주생활 영역을 살펴본 후, 주생활 내용 체계를 중 고를 나눠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를 거치면서 교과명, 교육목표, 교육내용, 이수범위, 학년별 시간 배당,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과 강조점이 변화하였다. 교과명은 실업(교수요목기)->실업 가정(1차교육과정)->실업 가정, 가정(2차~6차)->실과(7차 이후)로 변화하였다. 교육목표는 직업교육적 접근(1차~3차 교육과정)->보통 교육적 교양 교육적 접근(4차~7차)->비판적 접근(2007 개정 이후)으로 변화하였다. 가정과목의 이수는 여학생만 대상으로 하다가 6차 교육과정부터 남녀 공통이수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학년별 이수시간은 감소하였다. 교육내용은 노작교육의 형태에서 가족 및 일상생활과 가정과 관련된 직업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둘째, 교과의 성격은 1차 교육과정에서는 제시되었으나 2차 교육과정 이후 5차 교육과정까지는 제시되지 않다가 6차 교육과정부터 중 고로 나눠 다시 제시되었고, 7차 교육과정부터는 고등학교 가정과학에서 주생활 영역의 성격을 따로 기술하고 있다. 셋째, 목표는 1차에서 5차 교육과정까지는 교과 목표와 과목 목표를 모두 제시하였고, 6차 교육과정에서는 가정 교과의 목표만 제시되었고, 7차 교육과정부터는 목표와 성격이 통합적으로 제시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일반적인 교육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성취해야 하는 성취기준을 제시하면서 목표가 포함되어 기술되었다.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시대적인 관점에 따라 제시되는 관점도 변화하였는데, 점차 사회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목표가 설정된 가치관 교육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주생활 교육내용은 교육과정이 개정 될 때마다 지도범위의 증가와 감소 및 영역별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사회적인 흐름이 반영되어 변화하였다. 중학교 수업시수의 감소와 함께 일부 학년으로의 집중현상과 영역별로 제시되었던 단원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환경에 대한 관심에 따라 친환경 주거, 코하우징, 유니버설 등 새로운 개념들이 도입되었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주생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사회 인간 환경에 대한 배려와 나눔에 관한 내용을 주요 학습내용으로 제시되면서 시대적인 흐름을 반영하고 있었다. 고등학교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변화로 필수에서 선택이수로 변화하였고, 영역은 더 세분화되었다. 세계화의 흐름에 맞추어 다른 나라의 주생활 문화를 비교하는 내용이 등장하였으며 환경친화적인 가치관과 지속가능한 주생활 양식, 사회 인간 환경에 대한 배려와 나눔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면서 사회적 관심사를 반영하고 있었다. 고등학교의 학습내용은 중학교의 학습내용에서 세분화되고 심화되어 구성되었으며, 고등학교는 중학교와 달리 주거와 개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그 범위가 확대되어 지역사회 및 환경, 주택 시장의 상황, 공동체적 삶까지 고려한 거시적인 관점으로 제시되었다.

  • PDF

한국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 교과서 생명영역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Life Science Area in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Korean Elementary Curriculum Change)

  • 고연숙;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3-21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교과서의 생명영역 내용을 분석 통하여 앞으로 과학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교수요목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 영역의 단원을 대상으로 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포함 여부와 포함된 학년을 알아보았고, 학습내용의 구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TIMSS 2015 생명과학 분석틀 4학년과 8학년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맞게 수정 개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국제적 기준으로 볼 때, '생물의 특성'에 대한 하위 요소로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점'은 대부분 교육과정에서 1학년에 제시가 되었으나, 1차와 6차 교육과정,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아서 학생들의 생명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균류 세균의 특징과 분류'는 7차 교육과정까지 대체로 균류만 다루어졌고,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하여 제시되었다. '한살이, 생식과 환경'의 하위 요소로 '자손의 생존을 돕기 위한 전략'과 '동물과 식물의 유전'은 주로 저학년에 편성되어 기초적인 학습 내용만 있어서 고학년에서 심화된 학습 내용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생물의 특징'은 교수요목기에서 2차 교육과정까지 주로 농촌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습 내용으로 제시되었으나, 3차 교육과정부터 삭제되고 주변의 생물들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이 제시되었다. '건강'의 하위 요소로 '감염성 질병'은 1차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강조되어 다루어졌는데, 이는 한국전쟁 직후 보건 위생 문제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보건과 위생과 관련하여서 모든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제시되었다. TIMSS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교과서가 국제적인 기준에 중심으로 볼 때, 개정 교육과정 과학교과서에는 유전과 진화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건강에 관한 학습 내용이 좀 더 심화하여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교과 가족분야의 내용변천에 관한 연구 - 제1차~2007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by National Curriculum - Focus on the 1st~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 김지욱;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3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제1차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 및 가정교과서의 가족분야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과 교육의 가족분야 내용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제1차부터 2007개정까지 가정교과 교육과정해설서 및 총 58권의 가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이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별 교육과정해설서를 살펴 본 결과, 가족분야의 내용은 가족생활 일부분에 대한 설명에서 시작해 후기로 갈수록 가정생활의 전 분야에 대한 내용으로 그 폭이 넓어졌다. 둘째, 교육과정별 가정교과서 내 가족분야 내용의 양적 비중은 후기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셋째, 교육과정별 가정교과서 내 가족분야 내용과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간발달의 이해'는 제3차~제6차 사이에 원론적인 내용이 강조되었고, '인간발달과정'은 초기에는 영유아기를 중심으로 제시되다가 제5차 이후 인간발달의 전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부모됨과 부모역할'은 부모역할과 책무에 관한 내용과 영유아보육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강조하였다.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관점의 변화가 컸고, 후기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가정의 유형이 강조되었다. '결혼과 가족발달'은 결혼에 대한 관점이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었고, 결혼을 성숙한 사랑과 책임과 연계해 설명하였다. '가족관계와 가족문제'는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역으로 가족 간의 화합을 위하여 의사소통과 양성평등적인 가족관을 중요시하였다. '가족복지' 영역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부각되는 영역이다.

  • PDF

전국치기공과의 교과과정분석과 전망 (Prospect and Analysis about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in the whole country)

  • 박용덕;황경숙;김남중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03-218
    • /
    • 2003
  • The 3 year graduate school course of the dental technician, which has been enforced since 1994 till the present date, differs from the currently existing 2 year graduate course because of an 8 weeks clinical field training course being newly executed and an imposed curriculum about manufacturing specialized prosthetics like all-ceramic, double prosthetic technology, attachment, and implant. Even though nearly 10 years have passed,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18 colleges have still not been standardized and the subjects differing a little, while some are still not following the 3 years graduate cours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mphasize the qualities of the 3 years graduate program and enable the dental technician to handle clinical models in the dental technical clinic right after graduation by adding clinical field training in the dental technician education program of the 18 colleges. Also in accordance to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crease in esthetical prosthetics, credits, weekly study hours, education practice time of specialized prosthetic dental technology can be analyzed as follows. 1. In the year 2003, currently colleges start clinical practice education starting from the 1st semester of the 2nd year junior year, to the 2nd semester of 3rd year the varying in time with adequate class time, and credits. The average credit is 9.56, and weekly average class time is 18.00 hours. later clinical trainee education will be adjusted to the 3 year graduate school course to 10 credits and 20 hours and the adequate education period should be the 2nd semester of 3rd grade when most basic clinical education has been covered. 2. Currently in the year 2003, all-ceramic education has an average credit of 8.01 in 17 colleges with an exception of Ma-san college. The weekly average theoretical education is 4.94 hours, weekly clinical education of 7.88 hours and currently in 14 colleges porcelain technical class usually starts in the 1st semester of the 2nd year. All-ceramic education is thought to have adequate credits, timing, and weekly study hours. 3. Currently in 2003 implant education is enforced in 11 colleges including Bu-san Catholic university and the education period is usually in the 3rd year. Out of the 11 colleges, only Bu-san Catholic univ., Ma-san and Shinheung college have practice training classes. We knew that Shingu, Dongu, Mokpo science colleges have practice training as a curriculum, namely specific prosthetics laboratory. Out of the 9 colleges enforcing implant education the average credits taken are 2.56, and the average hours of weekly theory education is 2.14, but with the exception of Shinheung college which has an implant practice training course theory and practice classes are not divided. Therefore implant education is thought to start in the 3rd year as a 3 credit course with 3 hours of theory and practice each. 4. Currently in 2003, theoretical attachment education is given in 15 colleges and including practical training it is given in 10 colleges. The education starts 1st semester of the 2nd year till the 2nd semester of the 3rd year. The average credit of attachment theory education in the 15 colleges was 3.64, the average weekly theoretical education was 2.64, and the average weekly practice training out of the schools teaching it was 3.20. Later attachment education is thought to start the 1st semester of the 3rd year as a 3 credit course with 2 hours of theory class and 3 hours of practice training. 5. Double prosthetic technology is currently carried out in Dae-jon Health Science college(2nd year 2nd semester, 2 credits, theory 2hours), Gimcheon college (1 credit, 2 hours of practical training), Bu-san Catholic university (4th year 2nd semester, 4 hours of theory. practice). When the 3 year course is enforced, education will start 1st semester of the 3rd year with 2hours of theory and practice each. 6. The newly installed programs of the 3 year education is clinical field training, and specialized prosthetic manufacturing practice like all-ceramic, double prosthetic technology, attachment, and implant. If such education is to be effectively managed, a primary precursor as systemic basic clinical education is thought to be important. 7. Nationally in the 18 colleges of dental technology the currently executed curriculum course had varying subjects, class time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credits by each college. The curriculum difference between the colleges must be settled.

  • PDF

중학교 가정과 교육목표의 필요도에 대한 인식 (A Study Needs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Purposes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s)

  • 유화림;정영숙;채정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127
    • /
    • 1997
  • This study was to examine home economics (HE) teachers' and the 1st-grade students' needs perception toward the purposes of HE education in middle school which has been practced since 1995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1) to analyze needs priority among the educational purposes of HE subject in relation to three systems of actions; (2)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purposes of HE subject: and (3) to examine what they conceive as the problems In the current HE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s of 600 1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1 middle school HE teachers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March 1996.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a modified version which had already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6th HE curriculum. For data analyses, SAS program was utilized to get Means and to perform both discrepancy test and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each group'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s related to three systems of action, HE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while students placed more emphasis on the purposes related to technical action. Second, in terms of the degree of achievement, stude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purposes related to technical action than HE teachers did. Both groups marked low level of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purpose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Third, with respect to needs priority, HE teachers placed the first priority on emancipatory action, the second on technical action, and the last on communicative action: in the case of students, the first priority was on technical action, the second on communicative action, and the last on emancipatory ac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n the 6th curriculum revealed that most respondents found it necessary to secure adequate amount of classes for HE education. Also they shared the recongnition that HE curriculum should be renovated into the one which would fully appreciate the purposes of H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actical concerns of action which are distinct from the functional and technical concerns of passive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new purposes of HE education which put more emphasis on the purpose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as well as for developing an enhanced curriculum and reinforcing the identity of H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