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6초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의 한국 남해안의 수온 및 염분 분포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 Dur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 이문옥;최재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7
    • /
    • 2009
  • 나로도를 중심으로 한 한국 남해안에서 발생하는 C. polykrikoides 적조의 원인 규명을 위해 1995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조사한 정선해양관측 및 위성정보 자료에 기초하여 동계 및 하계에 있어서의 수온염분 분포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C. polykrikoides 적조는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평균 수온이 약 $25.0{\sim}26.0^{\circ}C$, 염분이 약 31.00 psu 전후일 때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한국남해 연안수와 외해수 사이에는 동계 및 하계에 각각 서로 다른 열염전선이 관측되었다. 즉, 동계에는 저온저염의 한국남해 연안수, 쓰시마 난류계의 중간수, 고온고염의 쓰시마 난류, 저온저염의 중국대륙 연안수 사이에 네 개의 전선이 관측되었다. 반면, 하계에는 저온고염의 한국남해 연안수, 고온저염의 쓰시마 난류, 고온고염의 중국대륙 연안수 사이에 두 개의 전선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열염전선은 서로 물리적 성질이 다른 수괴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이 T-S diagram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나로도 주변해역에서 하계에 발생하는 C. polykrikoides 적조는 한국남해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 사이에 형성되는 열염전선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남해 및 서해 연안해역에서의 멸치난치어의 분포 (Distribution of Anchovy Eggs and Larvae of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 김진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1-409
    • /
    • 1983
  • 1981년과 1982년 $4{\sim}6$월에 한국 남해와 서해 연근해에서 채집된 멸치의 난치어 및 해양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수괴배치에 따른 멸치의 난치어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온도전선은 남해에서는 제주도와 대마도를 잇는 선상에서 한국남안연안수와 대마난류간에 형성되었고 서해에서는 태안반도이남해역과 해안선과 평행하게 남북으로 한국서안연안수와 황해냉수간에 형성되었다. 한국남해에서 멸치난은 온도전선 내측인 연안측에서, 멸치 치어는 온도전선을 중심으로 연안측과 외해측으로 분리되어 출현하였다. 그러나 한국서해에서 멸치난과 치어는 온도전선내측과 온도전선역인 $12^{\circ}C$ 이상의 해역에서만 출현하였다. 치어의 체장조성을 보면 남해에서는 연안측에서 전기자어가, 외해측에서 후기자어 및 치어기의 멸치가 주로 출현하였으나, 서해에서는 남부해역에서는 전기자어가 북부해역에서는 후기자어가 주로 출현하였다. 또한 온도전선의 경도가 큰 1981년에는 1982년에 비하여 난과 치어의 분포범위가 크게 제한을 받으므로서 전선의 강약은 난과 치어의 분포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韓國 南海의 水溫과 분의 變動係數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김복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4-82
    • /
    • 1982
  • 1968-1980年의 韓.日共同海洋調査點中 韓國側 63個定點의 海洋調査資料를 使用하여 月別 水溫 및 분의 變動係數를 分析 硏究한 缺課의 要約은 다음과 같다. 變動係數는 水溫과 분의 前線域이나 혹은 躍層形成海域에서 크게 나타났다. 水溫의 變動係數는 각 水塊의 勞力이 가장 强한 時期에 最大値를 나타냈다(對馬 暖流와 黃海暖流域의 夏季 中層에서, 南海岸沿岸水 및 西海南部域의 冬季의 全層 에서 最大). 鹽分의 變動係數는 東支那海 低鹽水의 影響을 많이 받는 夏季에 暖流系水의 表層水에서 크게 나타나며, 沿岸水 및 西海南部域에서는 暖流系水値의 1/2정도였다.

  • PDF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연안수역의 식물플랭크톤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I. Phyt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1-12
    • /
    • 1967
  • 바다의 플랭크톤은 장소와 시기에 따라 출현종류와 수량에 많은 변동이 있고, 이것들의 종적조성, 출현수량 또는 그 분포는 바다의 생태계를 구명하고, 해역의 생산성을 계측하는데 극히 중요한 기초적지식이 될뿐아니라 어업과 바다의 양 증식 에도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 PDF

Hydraulics of a two-layer rotating flow; Application to the Korea Strait

  • Cho, Yang-Ki;Kim, Kuh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5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9-12
    • /
    • 1995
  • The Korea Strait becomes deeper than 200 m from south to north in general except coastal area, whereas its southern part is shallower than 125 m except for a deep trough (Fig.1). The flow in the Korea Strait could be simplified as two layers (Isobe, 1995); the Tsushima Warm Water in the upper layer and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KSBCW) in the lower layer (Fig.2). (omitted)

  • PDF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Low-salinity Water and Circulation in Summer around Saemangeum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 이상호;최현용;손영태;권효근;김영곤;양재삼;정해진;김종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138-150
    • /
    • 2003
  • 만경강과 동진강이 담수를 유출하는 서해중부 연안에서 41,000 ha의 하구 천해역을 간척하기 위해 33 km의 새만금 방조제가 건설되고 있다. 이 연안역에 담수의 주 공급원은 방조제 북쪽에 위치하는 금강이다 현재 고군산군도 와 연결되고 있는 방조제는 이 해역을 세 지역으로 나누는데 방조제의 북서, 남서 그리고 동부(새만금) 지역이고, 새만금 지역 해수는 북방조제에 한 곳과 남방조제에 두 곳인 미축조 구간을 통해 교환된다. 이 연안역에서 저염수와 관련된 하계순환을 진단하기 위해 1998년과 1999년에 수온과 염분의 분포와 구조를 관측하였다. 북방조제 외측지역의 표층에서는 저염수의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는데, 금강하구 입구에서 북서쪽으로 60 km까지 확장하고 외해수와 경계지어지는 강한 풀룸전선을 형성한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 염분분포는 두 강물이 병합되고 있으며 저염수가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쪽으로 편향되었음을 보여준다. 남방조제 외측지역 표층에서는 곰소만으로부터 북쪽으로 확장하는 다른 저염수의 작은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저염수 분포와 전선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새만금 방조제 주변에 반시계방향의 연안수 순환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는 방조제 내측에서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으로 유출되는 하구 수와 남쪽 방조제 미축조 구간을 통하여 외해에서 유입하는 해수로 구성된다. 하지만 방조제 축조가 완성된 후에는 만경강과 동진강 담수 유출이 인위적이고 직접적으로 남방조제 외측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방조제 주변 연안역 순환형태는 변화될 것이다.

남해안 시.공간적 수질환경 특성 비교 (Compared of Temporal and Spatial Sea Water Quality in the Southern Coasts of Korea)

  • 조은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1-151
    • /
    • 2009
  • Temperature, salinity, COD,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and Chlorophyll ${\alpha}$ obtain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the period of 2003 to 2005 were analyzed. Variability in temperature was not found between groups in southern coastal water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ampling sites (p<0.05). The average temperature in 2003 estimated at $18.33^{\circ}C$ that was annually increased by 2005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tatistics (p<0.05). Unlikely to temperature, salin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ampling sites, as well as monthly variations (p<0.05). Likewise to temperature, the value of salinity was annually increased. COD estimated at the average of $>1.7\;mg\;l^{-1}$ for three years, indicating optimal water quality. The fluctuations of nutrients were extremely shown in different sampling sites and monthly variations. Chlorophyll a recorded above $2.0{\mu}g\;l^{-1}$ which was associated with high primary phytoplankton, whereas it showed much fluctuations in temporal and spatial, In particular, Tongyong, Jaranman, Jinjuman, and Samcheonpo located in the southeast were the highest fluctuations in water quality than any other regions. The correlation between salinity/COD and nutrients/chlorophyll a was strongly negative or positive, which was possibly associated with much the introduction of run-off water as well as rainfall in summer.

아므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의 배우자를 이용한 남해해역 연안해수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Biological Evaluation of off-shore Water Quality in Southern Coastal Waters with Asterias Aurensis Gametes)

  • 유춘만;박지인;조기안;주현수;박종천;나명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off-shore water quality and to draw marine pollution map to Southern sea in Korea by bioassay using gametes and early development system of Asterias amurensis. From the bioassay, it was determined that the water qualites of Southern sea maintained the grade II, because development of A. amurensis were moderately inhibited. However, Sunchon, Kwangyang, and Jinhae Bay belonged to grade III, because development of A. amurensis were strongly inhibited. This could be due to the inflows of several river systems and poor water circulation. The water quality at Yosu island was the grade I, because A. amurensis were not inhibited in its early development.

  • PDF

여름철 및 겨울철 수괴에 따른 대한해협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양상 (Patterns of Zooplankton Distribution as Related to Water Masses in the Korea Strait during Winter and Summer)

  • 장민철;백승호;장풍국;이우진;신경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37-51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zooplankton in relation to hydr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Korea Strait during the winter (February) and summer (July) of 2009. Satellite ima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in situ CTD data showed that the southeastern water zone (St3-5) off Jeju Island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Tsushima Current during both the winter and summer, whereas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characterized as water with relatively low salinity, was evident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during the summer. During winter, zooplankton abun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ummer, with dominance by copepods, ostracods, siphonophorans, appendicularians, and nauplii. In both seasons, copepods represented >70% of the total zooplankton population. Calanus sinicus, a large calanoid copepod, was dominant in near the coast, and that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trusion of low salinity water (i.e.,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along the coast. The abundance of P. parvus s.l. and A. omorii, known as neritic copepods, was mainly associated with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 Foraminiferans, Ostracods, O. plumifera, and P. aculeatu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astern water off Jeju Island during both seasons; showing their association with the Tsushima Current, which is characterized warm, high salinity wat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ributi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zooplankton are highly influenced by different water masses in the Korea Str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