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8초

자산 안확(自山 安廓)의 조선 민족사에 대한 이원적 접근 - 『조선문학사』와 『조선문명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hn Hwak(安廓)'s Dualistic Perception of National History: Focusing on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and 『History of Joseon Civilization』)

  • 김호직;최연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67호
    • /
    • pp.259-295
    • /
    • 2017
  •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 국학자 안확(安廓, 1886~1946)의 "조선문학사(朝鮮文學史)"와 "조선문명사(朝鮮文明史)"에 나타난 그의 조선 민족사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그는 조선의 각 시대별 문학 작품들에 내재된 민족의 정신 사상적 측면을 발굴하여 근대적 관점의 문화사를 기술했고, 고조선부터 조선까지의 한국 민족사를 연속된 정치사의 입장에서 재구성했다. 그에게 있어서 민족은 문화적 공동체("조선문학사")이자 정치적 공동체("조선문명사")였다. 안확은 '문화'와 '정치'를 이원적이지만 표리(表裏)의 관계로 파악했던 것이다. 안확은 "조선문학사"를 통해 민족의 정신적 '자각'을 강조했다. 그에게 있어서 자각은 정신이 물질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를 추구하는 보편적 진보의 과정이었다. 또한 그는 "조선문명사"에서 조선 정치사의 특색을 '자치'의 역사에서 찾았다. 조선 정치사가 자각적 자발적 문명으로 진화할 수 있었던 것은 민의를 반영하고 수렴하는 고유한 자치의 전통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안확은 그의 두 저서를 통해 조선의 민족사가 문화적 관점에서는 자각의 역사였으며, 정치적 관점에서는 자치의 역사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에게 자각은 정신의 보편성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었고, 자치는 민족의 독자성을 강조한 개념이었다. 안확은 두 저서를 통해 문화적 보편성과 정치적 독자성의 결합을 추구했다.

Nostalgia in the Contex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 Analysis of a Chinese Documentary: Maritime Silk Road

  • Gu, Zhun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7권1호
    • /
    • pp.112-129
    • /
    • 2018
  • Produced by Chinese local television stations, Maritime Silk Road is a documentary which adopts ancient Maritime Silk Road as a historical nostalgia to interpret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 contemporary Chines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strategy put forward by Chinese government mainly aiming at the countries of Southeast Asia.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has three parts and the first part analyses how the documentary adopts computer-generated imagery (CGI) to create a historical nostalgia about ancient Maritime Silk Road in the period of Imperial China. At the same time, this part also presents a sense of diasporic nostalgia of the overseas Chinese. This historical and diasporic nostalgia is related to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political discourse: "Chinese dream" that propagandises to build a strong China put forward by Xi in 2013. The second part analyses how this historical and diasporic nostalgia legitimates Xi's "Chinese dream" and how it responds to recent territorial dispute when China continuously claims its territorial sovereignty in the South China Sea. In this light, the documentary repeatedly mentions two political rhetoric: "coexistence" (gongcun) and "mutual benefit"(huli gongying) as a practical strategy to deal with the dispute between China and some countries of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In the third section, the concept of "community of common destiny" (mingyun gongtongti) is adopted by the documentary to depict a convenient and effective organization of China and ASEAN, which is framed as an ultimate goal that Chinese government is depicted as the potential leader of this nostalgic community.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different and even opposite viewpoints, this article discusses three controversial political rhetoric to present how historical and diasporic nostalgia is politicalized and served for Chinese diplomacy and national interest. Overall,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documentary creates a glorious ancient Maritime Silk Road, as a sense of nostalgia, to expand China's economic and political influence, to respond to the controversial issues, and to reassert China's leadership as the centre of Asia.

은사기념과학관(恩賜記念科學館)과 식민지 과학기술 (Eunsa Memorial Science Museum and Colonial Science Technology)

  • 정인경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69-95
    • /
    • 2005
  • 이 글은 일제에 의해 이식된 은사기념과학관의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식민지 과학관은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정치적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일제는 과학사상을 보급한다는 미명아래 과학관을 식민지 지배에 이용하였던 것이다. 식민지 과학관은 '위대한 과학제국' 일본을 부각시켜 열등한 조선을 지배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였다. 과학관의 전시와 강인 실험, 과학영화 등은 이러한 식민지 지배이데 올로기를 선전하였다. 식민지 과학관의 이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남았다. 첫째, 과학관이 정치권력의 선전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식민지 과학관의 건축, 전시, 운영의 모든 면이 공공연하게 권력의 정책방향을 선전, 옹호하고 그것이 '개발, '발전'이라는 장미빛 환상을 심었다. 둘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과학기술은 '결과와 '도구'로 취급되었다. 일제는 과학이 사회적 위기를 해결했던 역사적, 문화적 산물임을 부정하고 '도구적 합리성'만을 주입시켰다. 셋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다루었던 과학기술은 매우 수준 낮은 것이었다. 생활의 과학화를 내세우며 교육했던 것은 근대적 규율을 내면화시켜 권력이 요구하는 노동자형 인간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 PDF

체제 전환과 정치발전의 사이에서: 미얀마의 결손민주주의와 정치발전의 과제 (Between Regime Change and Political Development: Myanmar's Defective Democracy and the Task for the Political Development)

  • 장준영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4호
    • /
    • pp.161-196
    • /
    • 2018
  • 이 글의 목적은 미얀마 민간정부의 정치발전 양상을 결손민주주의 개념에서 분석하고, 정치발전을 지체 또는 정체시킨 주체들과 주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현재와 같은 정치구도와 행태를 돌파하여 긍정적인 정치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6년 민간정부가 출범했으나 권력 행사와 의사결정구조에 있어서 정부의 행동 양식은 군부 권위주의의 행태를 탈피하지 못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치발전의 성과를 달성하지 못했다. 정부 차원에서 특정 인물 1인이 모든 권력을 장악하고 각 권력기관에 대한 수평적 책임을 지지 않으므로 위임민주주의와 후견민주주의가 강화된다. 국방과 치안에서 지분을 장악한 군부는 버마족 중심의 배타적 민주주의와 군부가 제정한 비민주적 헌법을 수호하며 비자유적 민주주의를 추구한다. 결손민주주의가 나타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장기간 군부통치로 인해 민주적 제도를 운영할 집단의 부재, 민간에 의한 군부통제라는 민간우위의 원칙을 지킬 수 없는 권력구도의 한계로 요약된다. 따라서 미얀마 정치발전의 과제는 군부의 병영 복귀와 권위주의적 질서에 길들여진 민간정부의 권력구도와 정치행태를 민주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 - 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 (Hegel's Philosophy of Law and Communitarianism - Focusing on Morality and Ethics -)

  • 양해림
    • 철학연구
    • /
    • 제117권
    • /
    • pp.161-189
    • /
    • 2011
  • 본 논문은 서구에서 1990년대부터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논쟁을 헤겔 "법철학"의 도덕성과 인륜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 한국사회의 정치현실과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공동체주의를 헤겔의 입장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헤겔은 "법철학"에서 공동체를 근대의 윤리적-정치적 질서체계를 세우기 위한 근본적인 의미로서 파악하였다. 여기서 헤겔은 칸트의 도덕성을 수용하여 법과 국가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다시 규명하였다. 필자는 이 논쟁의 광범위한 영역을 헤겔의 도덕성과 인륜성에 대해 한정하여 논의해 보고, 결론부분에서 우리 한국의 정치 현실상황을 반성적 성찰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on Fashion Orientation, Fashion Response, and Buying Criteria(paper no.1)

  • Koo, In-Sook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3호
    • /
    • pp.1-21
    • /
    • 2011
  •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how Demographic Factors affect Fashion Orientation(value), Fashion Response, and Buying Criteria. A total of 355 usable data was collected from housewives in three metropolitan cities(Seoul, Daejeon, Sungnam) in Korea. Young housewives who have one child are a market segment whose buying power is recognized by both the retailers and the market. The housewives' fashion orientation consists of four categories : social orientation, practical orientation, political orientation, and aesthetic orientation. The housewives' fashion response is classified into three areas : self conscious, self esteem, and self monitoring. The criteria of buying children's wear consists of nine components. As a result, the key reason for buying children' wear was 'attractive design'. Research result showed that POLITICAL ORIENTATION(SE beta=.229, p<.001) was more effective than AESTHETICS ORIENTATION(SE beta=.203, p<.001), for enhancing SELF-CONSCIOUS RESPONSE and SELF-ESTEEM RESPONS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ey factor for understanding trend can be a human self concept, consciousness, values, and orientation. The housewives' fashion orientation is responsible for 18.7% of BRAND ROYALTY(F = 20.172, p<.001) from among nine buying criteria. More poignantly, POLITICAL ORIENTATION covered 66.9% of selection of BRAND ROYALTY, and it explained 34.6% of selection of DESIGN among nine buying criteria. Thus, it showed that POLITICAL ORIENTATION(SE beta=.331, p<.001) is more effective than SOCIAL ORIENTATION(SE beta=.146), for upgrading BRAND ROYALTY. In addition, it showed that POLITICAL ORIENTATION(SE beta=.238, p<.001) is more effective than AESTHETICS ORIENTATION(SE beta=.040) for upgrading DESIGN evaluation. Housewives' fashion orientation, and fashion response are differentiated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occupation, women's career, husband' job, income, and location related to social status.

A Study on Public Ethics of Care: Care, Justice and Economics of Social Service

  • Kim, Eun-Je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9-45
    • /
    • 2016
  • Purpose - This paper explores a new possibility of care ethics for social service. As the needs for care have been growing rapidly in various social fields, 'care' became an important concept in envisioning a welfare state. However, due to the lack of proper ethics and political stance applied to the newly arisen needs and challenges, there exist lots of confusions and difficul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troducing the feminist ethics of car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are and justice in social service. As a main research perspective, this study has focused on Kittay's public ethics of care and Tronto's political ethics of care. Results - Drawing on the main research perspective, this study discusses on the necessity of a political conceptualization for an integrative care ethics. In the process, The specialty and professionality of care work as a relational labor was reconsidered. Kittay's care ethics provides a persuasive justification for social support for care workers as well as care receivers, and Tronto's ethics shows us the role of care politics for democratic citizenship. Conclusions - Tronto's ethics of care with Kittay's gives us valuable insights to envision a new public ethics for social service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care and justice properly.

몸과 국가 -《노자하상공장구》 치신/치국의 정치 철학적 이해

  • 임형석
    • 중국학논총
    • /
    • 제63호
    • /
    • pp.299-324
    • /
    • 2019
  • This essay is politico-philosophical y examining the Ho-Shang Kung's Commentary on the Lao Tzu(HSKC) and reveals that there was a concept of 'the Monistic Body' as like as G. Deleuze and P. Guattari's concept 'Body without Organs.' The main idea of the political philosophy in HSKC is mentioned as 'Governing the Body'(GB) and 'Governing the State'(GS), that means a macrobiotic hygiene and a ruling the state respectively. GB is not limited to a personal action, because HSKC is not a Yangist work. All of the prior studies have been fail to point out HSKC's true pioneer the Lu Shi Chun Qiu. But a truly dramatic turning must be belonged to Dong Zhong-shu, he was the first man that used the word Governing to the Body, it indicated a conceptional change. The Body is traditionally not a concept connected with Governing, only just the State can be. But After Dong's change, HKSC attempted again to synthesize the theories of Huang-lao school and Dong's theory about the Body and the State.

공중보건체계의 개념과 발전 과제 (The Concept and Challenges for Public Health Systems)

  • 배상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6-255
    • /
    • 2016
  • The study of public health systems is an important, but very difficult task.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public health systems are influenced by the views, interests, and influence of the various stakeholders belonging to public health systems and broader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environmental sectors. To define public health system with conceptual clarification, we must take into account the dynamic and complex aspect of the public health system. This paper reviews health systems and public health systems literature to suggest the concept, goals, and functions of public health systems. In addition, this paper recognizes some challenges, such as leadership and management, resource development, economic support, and service delivery to strengthen public health systems for improving health and well-being of population.

국내 해양영토 정책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aritime Territorial Policies in Korea)

  • 이준성
    • 해양안보
    • /
    • 제3권1호
    • /
    • pp.237-255
    • /
    • 2021
  • 이 논문은 국내 해양영토 정책을 분석한 것이다. 해양영토는 본래 국가영역(territory)에서 영해 하층토(subsoil)의 해저지형을 말한다. 정책적으로 해양영토는 영해와 배타적경제수역(EEZ), 대륙붕 등 우리나라 주권(sovereignty)이나 주권적 권리(sovereign rights)가 미치는 관할 해역을 넘어서 도서(島嶼)와 극지를 포함하는 광의적인 개념으로 해석된다. 또한, 국내 연구자 사이에서 해양영토는 독도 등의 도서 영토에서부터 이어도 등의 EEZ와 같은 해역(maritime zone)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처럼 다양한 국내 해양영토의 개념을 검토하고, 정책의 형성과 변천을 살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해양영토 관련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영토의 개념을 분석한다. 기존 학계에선 해양영토 개념에 관한 충분한 논의가 부족했고, 그 결과 해양영토라는 용어가 섬과 무분별하게 사용됐다. 이 장은 그러한 해양영토 개념을 심층 분석했다. 3장은 해양영토 정책의 형성 과정과 그 변천을 추적한다. 오늘날 국내 해양영토 개념은 공공영역에서 비로소 완성됐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국내 해양영토 정책의 사령탑인 해양수산부의 활동을 정리한다. 4장에선 해양영토 개념과 유사성을 보이는 중국의 남색 국토(藍色國土)와의 비교를 통해 그 개념을 분석한다. 중국의 남색국토 개념은 오늘날 중국의 해양활동을 위한 정책적 토대로서 해양영토와 여러 유사점이 있으므로, 이 두 가지를 비교하는 것이 유의미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통해 마지막 5장에서 해양영토 정책추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