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tatus and Tasks of Maritime Territorial Policies in Korea

국내 해양영토 정책의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21.09.27
  • Accepted : 2021.11.24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d maritime territorial policies in Korea. Marine territory originally refers to the topography of the subsoil in a country's territorial sea.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it i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islands and polar regions beyond the jurisdiction of Korean sovereignty or sovereign rights, such as territorial waters, EEZs, and continental shelves. Also, Korean researchers use "maritime territory" as a term for maritime zones that stretch from Ieodo (Korean EEZ) to Dokdo Is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s of various domestic maritime territories and examin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policies. The article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2 reviews past discussions on maritime territories and analyzes the concept of maritime territory based on them. The term "maritime territory" is used indiscriminately with islands due to the lack of discussion on this matter between academic circles in the past. Therefore, this chapter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concept of maritime territory. Chapter 3 tracks the formation and change of maritime territorial policies. Today, the concept of domestic maritime territory has been completed in the public domain. The activities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control tower of domestic maritime territorial policies, are summarized to explain this concept. Chapter 4 analyzes the concept of maritime territory by comparing it with China's blue state territory (藍色國土). As China's concept of blue state territory has many similarities with maritime territory as a political base for China's maritime activities today, comparing these two concepts would b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Chapter 5 derives suggestions to promote maritime territorial policies.

이 논문은 국내 해양영토 정책을 분석한 것이다. 해양영토는 본래 국가영역(territory)에서 영해 하층토(subsoil)의 해저지형을 말한다. 정책적으로 해양영토는 영해와 배타적경제수역(EEZ), 대륙붕 등 우리나라 주권(sovereignty)이나 주권적 권리(sovereign rights)가 미치는 관할 해역을 넘어서 도서(島嶼)와 극지를 포함하는 광의적인 개념으로 해석된다. 또한, 국내 연구자 사이에서 해양영토는 독도 등의 도서 영토에서부터 이어도 등의 EEZ와 같은 해역(maritime zone)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처럼 다양한 국내 해양영토의 개념을 검토하고, 정책의 형성과 변천을 살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해양영토 관련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영토의 개념을 분석한다. 기존 학계에선 해양영토 개념에 관한 충분한 논의가 부족했고, 그 결과 해양영토라는 용어가 섬과 무분별하게 사용됐다. 이 장은 그러한 해양영토 개념을 심층 분석했다. 3장은 해양영토 정책의 형성 과정과 그 변천을 추적한다. 오늘날 국내 해양영토 개념은 공공영역에서 비로소 완성됐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국내 해양영토 정책의 사령탑인 해양수산부의 활동을 정리한다. 4장에선 해양영토 개념과 유사성을 보이는 중국의 남색 국토(藍色國土)와의 비교를 통해 그 개념을 분석한다. 중국의 남색국토 개념은 오늘날 중국의 해양활동을 위한 정책적 토대로서 해양영토와 여러 유사점이 있으므로, 이 두 가지를 비교하는 것이 유의미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통해 마지막 5장에서 해양영토 정책추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국어원, 「공공언어 바로 쓰기」, 서울: 국립국어원, 2019.
  2. 국립해양조사원, 「우리나라의 해양영토」, 인천: 국립해양조사원, 2012.
  3. 박종성, 「한국의 영해」, 서울: 법문사, 1985.
  4. 이한기, 「한국의 영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사, 1996.
  5. 한국해양재단, 「해양영토 바로알기」, 서울: 한국해양재단, 2014.
  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대한민국의 해양법 실행」, 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7.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수산백서(2006-2008)」, 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
  8.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백서(2004-2005)」, 서울: 해양수산부, 2006.
  9. 황승현, "한국의 영토 외연," 「정책연구시리즈」,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15.
  10. 徐质斌(쉬즈빈), 「海洋国土论」, 北京: 人民出版社, 2008.
  11. 世界平和研究所(세계평화연구소), 「希望の日米同盟」, 東京:中央公論新社, 2016.
  12. Kaplan, Robert, Asia's Cauldron, New York: Random House, 2015.
  13. 강은정.고경민.김형수, "이어도 해양경계획정과 해양주권 국민인식 확산 방안 : 2016년과 2020년 국민인식조사 비교 분석," 「평화학연구」, 제21권 제4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14. 고문현.김종덕.현대송.한성일.박광서.김민수.김연수, "새 헌법에 해양수산의 가치 반영되어야," 「KMI동향분석」, 제58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15. 고봉준, "독도, 이어도 해양영토분쟁과 한국의 복합 대응," 「한국정치연구」, 제22집 제1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3.
  16. 김영구, "해양영토 이어도 문제와 한국의 동중국해 대륙붕 자원확보를 위한 당면 과제," 「이어도연구」, 제2호, 이어도 연구회, 2011.
  17. 김주형, "중국의 남중국해 해양관할권 강화정책과 실행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33권 제1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8.
  18. 백병선, "한국의 해양영역인식에 관한 연구 - 해양영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제33권 제1호, 한국해양수산연구원, 2018.
  19. 최용전.신봉기, "해양의 헌법적 의미," 「토지공법연구」, 제85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20. 이석용, "동북아 각국의 해양법과 정책," 「일감법학」, 제33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21. 정재황, "헌법 제3조의 재해석과 현안," 「통일법제 이슈페이퍼」, 18-19-9, 한국법제연구원, 2018.
  22. Batongbacal, Jay L., "Revisiting the Maritime Territories and Jurisdictions of the Philippines," Public Policy Journal, Vol. 4, No. 1, 2000.
  23. Eden, Stuart, "Land, Terrain, Territor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 34, Issue 6, 2010.
  24. Strating, Rebecca, "Maritime Territorialization, UNCLOS and the Timor Sea Dispute," Contemporary Southeast Asia, Vol. 40, No. 1, 2018.
  25. Roszko, Edyta, "Maritime Territorialization as Performance of sovereignty and nationhood in the South China Sea," Nations and Nationalism, Vol. 21, No. 2, 2015.
  26. 대한민국정책브리핑(www.korea.kr), 영해기점 상징조형물 준공," 2012. 11. 28.
  27. 대한민국정책브리핑(www.korea.kr), "해양영토 확대.미래 해양산업 육성," 2013. 4. 19.
  28.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청.해군본부, 국가 해양권익 보호를 위해 해양안보.해양안전 역량 강화키로," 2020. 8. 6.
  29. 양희철, "해양수산 분야 헌법 수용에 대한 방향," 해양수산 분야 헌법개정 토론회, 2017.
  30.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31. 「해양수산발전 기본법」
  32. 「해양수산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33.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중국외교부)(www.fmprc.gov.cn), "2006年9月14日外交部发言人秦刚在例行记者会上答记者问," (검색일: 2021. 4. 5.)
  34. 류찬희, "대운하.독도 전담부서 신설" 「서울신문」, 2008. 3. 10.
  35. 백승철, "해수부-해양재단, '해양영토 바로알기'책자 발간" 「뉴스1」, 2014. 5. 7.
  36. 赵义冰(쟈오이빙), "守护好开发好蓝色国土 加快建设海洋强国正当其时" 「人民日报」2020. 9. 11.
  37. 대한민국법원(www.law.go.kr),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 위헌소원 판결" (검색일: 2021. 9. 1.)
  38. 해양수산개발원(www.kmi.re.kr), "우리나라의 섬 얼마나 많을까요?" (검색일: 2021. 9. 28.)
  39. 해양수산부(www.mof.go.kr), "해양영토 소개" (검색일: 2021년 4월 1일)
  40. 해양수산부(www.mof.go.kr/en), "MOF's mission & vision" (검색일: 2021. 11. 26.)
  41. 百度(www.baidu.com), "蓝色国土" (검색일: 2021. 4. 1.)
  42. Technosphere Magazine(https://technosphere-magazine.hkw.de), "China's "Blue Territory" and the Technosphere in Maritime East Asia" (검색일: 2021. 4. 1.)
  43. European Commission(ec.europa.eu), "What is the distinction between Marine research and Maritime research?" (검색일: 2021년 3월 29일)
  44. Project Gutenberg(www.gutenberg.org), "Encyclopedia Britannica, 11th Edition, Volume 17, Slice 6 "Map" to "Mars"" (검색일: 2021. 9. 1.)
  45. UNCLOS UK(www.unclosuk.org), "NOC and UNCLOS" (검색일: 2021.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