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apital Region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5초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생의 주거비 및 주거비 부모 지원 인식과 실태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 College Students' Housing Costs and Their Perception and Status of Parental Supports)

  • 유서연;정여진;이세연;이현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231-124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using cost burden and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to afford housing costs of college students from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On-site and on-lin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between March 3 and April 4, 2014, and total 241 useable responses were collected. Findings are as follow: (1) Jeon-se renters and monthly renters with deposit in Capital region were found to have paid greater housing costs than those in non-Capital region; (2) 86% of Jeon-se renters, 95% of monthly renters with deposit, and 80% of monthly renters without deposits were found to have received parental supports to pay housing costs; (3) respondents in Capital region tended to perceive influence of housing costs on housing choices greater than those in non-Capital region; and (4) more than a quarter of the respondents thought it would be proper to receive parental supports for all expenses until college graduation.

수도권 대학정원정책의 수동권 인구분산교과에 관한 연구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in the Capital Region and Its Impact on Population Dispersal)

  • 임창호;구자훈;안근원
    • 지역연구
    • /
    • 제9권1호
    • /
    • pp.45-63
    • /
    • 1993
  • University enrollment has long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inducing population concentration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of Korea. Consequently, since early 1980's increases in enrollment and new establishments of extention universities beyond the boundary of Seoul, has been promoted, while university enrollment quota in Seoul has been strictly controlled. The degree of actual population dispersal, however, resulting from such a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has not been empirically tested. This paper aims at: First, identifying the trend of population growth and evolution process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in the Capital Region; Second, comparing the degree of influence of university enrollment on population concetration factors; Third, measuring actual effect of the enrollment control on population dispersal out of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ly a week correlation between population and university enrollment growth trends was found; Second, the relative degree of influence on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were order, in the order of magnitude, the physical amenity factor, the socio-cultural amenity factor, the employment climate factor and the educational factor. Third, and most improtant, based on the comparis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graduated high schools and current residence of the selected university students, the gap between the two distributions was revealed and the inter-regional student population movement was estimated. The result shows that in Seoul's case about one-half of and in Kyunggi Province's case about one-fifth of university enrollment size, contributes to population concentration into Seoul. Fourth, as to the universities outside of the Capital Region, little effect in the case of universities located within the commuting distance, and a little effect on population dispersal in the case of universities located beyond commuting distance, were found. In sum, it seems clear that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in the Capital Region, especially in Inchon/Kyunggi Province has not been effective on student population dispersal out of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be throughly re-examined from its goal to the implementation means.

  • PDF

Applying a New Approach to Estimate the Net Capital Stock of Transport Infrastructure by Region in South Korea

  • LEE, JONGYEAR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2호
    • /
    • pp.23-52
    • /
    • 2018
  • Given the limited availability of data in South Korea,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by which to estimate regional capital stock by modifying the benchmark year method (BYM) and applies it to estimate regional net capital stock by sector in transport infrastructure. First, it estimates time-varying sectoral depreciation rates using the sectoral net capital stock and the investment amount for each period. Second, it estimates the net capital stock of each period using the net capital stock in the base year and the investment in each period. Thir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um of net capital stocks by region is equal to the nationwide estimate, the national estimates are allocated to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the values derived from the previous stage. The proposed method can alleviate well-known problem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BYMs, specifically the upward bias and arbitrary choice of the depreciation rate.

한국의 인구이동 패턴변화와 수도권의 인구이동 (Changing Patterns of Internal Migration of Korea and Population Movement into the Capital Region)

  • 최진호
    • 한국인구학
    • /
    • 제17권2호
    • /
    • pp.1-20
    • /
    • 1994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nges in internal migration patterns during 1960 - 1990 period, and to analyze population movement to and from the Capital Region. The overall mobility rate of the whole Korean population has heen increasing since the 1960s, and reached to 24.6% in 1985 - 90 period. The most interesting changes in the migration pattern is that Seoul lost its population through migration during 1985 - 90, mainly due to heavy outmigration to Ky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inmigrants to the Capital Region reveals that those moved to Seoul are more likely to be young, better educated, never married and engage in service sector in comparison with migrants moved to the suburban districts and the outlying Kyonggi province. However, on the whole migrants moved to the Capital Region are overrepresented in manufacturing sector, which suggests that more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control the growth of manufacturing sector in the Capital Region is called for.

  • PDF

수도권 유출인구의 공간적 패턴분석 및 이동영향 요인 분석 -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과 관련하여 - (Analyzing Spatial Pattern by moving Factors of out-migration people Related moving to the Provinces of Capital Region Firms)

  • 홍하연;이길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155-175
    • /
    • 2014
  • 본 연구는 산업과 인구의 이동현상을 대상으로 한 공간적 패턴 분석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수도권에서 충남으로 이전한 가구의 가구특성 및 공간적 패턴을 파악한 후 종합적으로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통해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에 따른 인구이동의 관계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분석결과 수도권에서 충청남도로 전입하는 인구는 직업을 주 목적으로 예산과 아산을 중심으로 하여 1, 2인 가구가 주로 전입하고 있었으며, GWR을 통해 연구지역의 시 군별로 직업을 사유로 이동하는 인구의 이동 요인을 파악한 결과 경제적 요인 이외에도 인구 요인과 교통 요인, 주거환경 요인 등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들을 공공기업의 지방이전 및 수도권 기업의 기업이전에 따른 도시조성과 연관시켜 생각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들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로, 현재 충청남도의 탈 수도권인구의 이동에 있어 수도권 기업의 이전에 따른 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지역은 '시'단위의 규모보다 '군'단위의 소도시에서 효과가 더욱 좋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수도권 유출인구가 천안시, 아산시, 당진시 같은 대형 '시'단위의 도시로 가장 많이 이주하는 것은 사람들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직장 외 다른 이유가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둘째로, 향후 직업을 사유로 이동하는 인구는 개인단위보다는 가족단위의 이동이 대두될 것이며 유년 고령인구 위주로 거주지를 선택하게 될 것이므로 유년층 혹은 고령층에 대비하여 정주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신행정수도의 건설과 도시동태성 분석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and Urban Dynamics Analyses)

  • 이만형;최남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4권1호
    • /
    • pp.69-91
    • /
    • 2003
  • Using qualitative methods hinged on urban dynamics models, the paper addresses major issues concerned with new administrative capital construction. It tries to summarize the existing debates on new administrative capital construction and reinterpret diverse interacting factors in terms of reinforcing or balancing feedback structure. The paper suggests that understanding up on the dynamic mechanism imbedded in circular causal loop diagrams is the key to set up appropriate proposals and action plans for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as they would reveal complicated linkages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the rest, in addition to the urban dynamic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In the same context, the paper can confirm similar features reflected in the relocation of capital functions at Canberra, Australia and Berlin, Germany. It has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both Australian and German governments altogether stress the positive feedback loops as they have overcome unprecedented political confrontation among rival cities: Basically, they have encouraged gives-and-takes among major stake-holders. Thes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ture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construction depends on consensus buildings that can accommodate socio-economic and territorial changes between pros and cons. Although further researches and validations are needed, the system approach presented in this paper could assist Korean decision-makers in developing robust and responsive policy initiatives under uncertainties.

  • PDF

신행정수도 건설과 수도권의 발전 전망 (The Construction of the New Administrational Capital and Prospects of Development of the Capital Region)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4-52
    • /
    • 2004
  • 본 논문은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행정수도 건설계획을 지역불균형발전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 수도권의 발전을 위한 당면 과제 및 전망을 살펴보고자 했다. 신행정수도 건설 계획의 추진 배경으로서 수도권의 과잉 집중과 이에 따른 문제들은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자본주의화 과정에 내재된 지역불균등발전의 한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행정수도 건설은 '시공간적 조정'의 한 변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논의들은 이 계획이 과연 이러한 지역불균등발전을 극복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합의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한편, 세계도시-지역으로서 수도권의 당면과제와 발전 전망이 제시될 수 있으며, 신행정수도 건설이 이들을 어느 정도 충족시킬 수 있는가 라는 점이 고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신행정수도 건설은 그 자체 계획뿐만 아니라 지역불균등발전을 해소하기 위한 지방분산정책 그리고 체계적인 수도권 재구조화 정책과 동시에 이루어 져야만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지역불균등발전은 자본주의 발전과정에 내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 사회경제체제 자체의 전환이 요구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신행정수도의 건설, 강력한 지방분산정책, 그리고 체계적인 수도권 재구조화 정책의 추진이 불가피한 차선책으로 제시될 수 있다.

  • PDF

2008년 ~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한 지역별 식생활 변화 추이 분석 (Trends in Dietary Behavior Changes by Region using 2008 ~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 정윤희;김혜영;이해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2-145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rends in the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by region using the raw data from the 2008 ~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2,738,572 people among the raw data of the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2008 to 2019. The regional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the regions into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and the non-capital regions were classified into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on the body mass index (BMI), diagnosis of diabetes and hypertension,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salty taste in usual diet,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reading of nutrition labeling, and utilization of nutrition labeling. Results: In determining obesity using the BMI, the normal weight by year decreased, and the obesity rate by year was 34.6% in 2019, which increased by 13% compared to 2008. In addition, the diabetes diagnosis rate and hypertension diagnosis rate continued to increase with the year. Both diabetes and hypertension diagnosis rates were higher in the non-capital regions than in the capital region. Eating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per week was most common an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by year (P < 0.001).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id they eat slightly bland foods increased from 19.5% in 2008 to 19.9% in 2010 and then to 22.1% in 2013. The percentage then decreased to 19.9% in 2019, but showed an overall increasing trend (P < 0.001). According to the region, the capital region had a higher percentage than the non-capital region. The nutrition labeling's recognition rate and utilization rate increased yearly, whereas the reading rate decreased.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presented the primary data necessary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local nutrition management projects to improve disease prevention and dietary problems.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Regional Innovative Human Capital in China

  • Sangwook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7호
    • /
    • pp.221-229
    • /
    • 2024
  • 경제발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인적자본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31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2-2019년 기간 지역별 혁신적 인적자본을 추계 비교하고 있다. 본 연구의 혁신적 인적자본은 학력형 인적자본, 논문형 인적자본 그리고 특허형 인적자본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특허형 인적자본과 논문형 인적자본의 가중치를 학력형 인적자본보다 높게 가정하고 있다. 왜냐하면 단순한 학력보다는 특허와 논문이 지역의 혁신역량에 상대적으로 더욱 큰 영향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의 지역별 혁신적 인적자본이 지역별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혁신적 인적자본의 수준도 높다. 둘째, 지역별 혁신적 인적자본이 동태적으로 변하고 있다. 셋째, 북경시, 상해시, 광동성, 강소성을 중심으로 지역별 집중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지역경제발전에서 혁신적 인적자본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격차와 인적자본 -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법의 적용 - (Inter-Regional Wage Gap and Human Capital in Korea - An Unconditional Quantile Regression Decomposition Approach -)

  • 김민영;임업
    • 지역연구
    • /
    • 제33권2호
    • /
    • pp.3-23
    • /
    • 2017
  • 본 연구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와 인적자본 수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도권 근로자가 비수도권 근로자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임금을 받는 이유가 수도권 근로자의 인적자본 수준이 비수도권 근로자의 인적자본 수준보다 더 높기 때문인지 아니면 동일한 인적자본 수준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근로자에게 더 높은 보상이 제공되기 때문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법을 이용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와 인적자본 사이의 관계가 임금 분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인적자본 지표인 교육년수 및 직무훈련과 함께 인지 및 상호적 숙련, 기술적 숙련, 육체적 숙련 등 직종 숙련 수준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 정규직 여부, 기업 규모 등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의 상당 부분이 인적자본 변수들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본의 질적인 차이로 인한 임금격차를 의미하는 인적자본의 구성 효과가 모든 임금 분위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 문제에서 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은 인적자본의 임금구조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 숙련을 포함한 다양한 인적자본 변수들 중에서도 특히 교육년수의 임금구조 효과가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위임금 또는 평균임금 수준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전통적인 분석방법에서 벗어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 사이의 임금격차가 임금 분위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낼 수 있음을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를 통하여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