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evaluation

검색결과 1,883건 처리시간 0.033초

전란(全卵)의 첨가수준에 따른 약과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with Egg)

  • 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13-618
    • /
    • 2002
  • 전란(全卵)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제조한 약과의 저장기간에 따른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Texture profile analysis에 의한 물성특성의 경우 전란첨가량 및 저장기간에 따라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전란 첨가량 및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여 약과가 단단하게 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색도의 경우 전란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과의 명도 및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관능검사 결과 약과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10g의 전란 첨가시가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g 이상의 전란첨가는 관능적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과에 전란첨가시 색, 외관, 맛, 풍미 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근피와 유백피 추출액을 이용한 제빵 적성 (Bread Properties Utilizing of Extracts from Ulmus devidiana)

  • 김도완;김광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0
    • /
    • 2003
  • 느릅나무 추출액을 0, 10, 20, 30% 첨가한 식빵을 제조한 결과, 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을 수 록 반죽수율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식빵의 부피도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빵의 기계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경도(hardness)의 경우 느릅나무 추출액 30%에서 가장 높았으며, 탄력성(springiness)의 경우 20%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점착성(gummi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느릅나무 추출액 함량이 높을 수 록 증가하였다. 색도의 경우 L 값은 대조군에 비해서 느릅나무 추출액 농도가 높을 수 록 낮은 값을 나타냈었으며, a 값은 느릅나무 추출액 10%, 20%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되었고, b 값은 모든 첨가군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느릅나무 추출액 10% 첨가군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반죽수율이나, 물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느릅나무 추출액의 기능성 성분을 고려할 때 20% 첨가군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알루미늄 5182-폴리프로필렌 샌드위치 판재의 소성변형비 및 집합조직의 발달 (Pastic Strain Ratio and Texture Evolution of Aluminum/Polypropylene/Aluminum Sandwich Sheets)

  • 김기주;정효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7-66
    • /
    • 2006
  • AA5182-polypropylene sandwich sheet was manufactur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evaluation was executed in order to identify $L{\ddot{u}}ders$ band that causes fabrication process problem and especially surface roughness. To identify formability, deformation behavior, plastic strain ratio (R-value) and pole figure were measured, and texture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case of sandwich sheet, the unstable deformation behavior has decreased. As well, for sandwich sheet, A1 skin could manage the most of load, and the elongation has improved about 45% more than that of A1 skin. The plastic strain ratio of A1 skin and sandwich panel, which indicates serration behavior, was obtained from instantaneous plastic strain ratio evaluation. Also, the planar anisotropy of sandwich sheet has decreased more than that of A1 ski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andwich sheet produced lightening effect and could control unstable deformation characteristic, that is, surface roughness caused by $L{\ddot{u}}ders$ band. Furthermore, it was proved that the texture control of the rolling attachment of A1 ski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ormability of the sandwich panel.

막걸리와 물의 첨가비율에 따른 증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Different Ratios of Makkulli Leaven to Water)

  • 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6
    • /
    • 2003
  • 막걸리와 물의 첨가비율에 따른 증편의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0, 1, 2, 3 및 4일간 저장하면서 평가하였다. 증편의 높이와 부피는 1:2 시료가 가장 높아 발효가 잘 된 것으로 나타났고 물성특성의 경우 막걸리와 물의 첨가비율과 저장기간에 의해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물 비율의 증가와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증편이 단단하게 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색도의 경우 물의 비율기 증가할수록 증편의 명도는 증가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a값, b값은 물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관능검사 결과 중편의 막걸리와 물의 첨가비율이 1:2인 시료가 가장 관능적 특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 성송이;김미현;강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5-41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leurotus (P.) eryngii paste. Different ratios of P. eryngii paste were added to wheat flour(15%, 30%, and 45%) in the noodle formation. Then, the noodl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cooking, color,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properties. The weight and water absorption of the cooked nood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P. eryngii paste content, but the turbidity of cooking water decreased. According to texture profile analyses both the cooked and uncooked and cooked noodles had significant increases in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ith the addition of P. eryngii paste. An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hardness and gummi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amples containing P. eryngii paste.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cooked and uncooked nood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ith increasing P. eryngii paste content. Finally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noddles containing 30% and 45% P. eryngii paste had higher quality as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P. eryngii paste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texture and quality of noodles.

쌀밥의 관능적 품질 평가 및 비교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 김우정;김종군;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8-41
    • /
    • 1986
  • 쌀을 실온에서 30분간 침지하고 가수량을 달리하여 취반하고 쌀밥의 관능적성질을 맛, 냄새, 겉모양 및 택스쳐로 나누어 각각 성질 묘사를 3가지씩 하였을 때, 찹쌀밥이 전반적인 관능적 성질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다. 멥쌀밥에서는 일반계 품종인 아끼바레쌀밥이 택스쳐 및 외관에서 다수계 품종(밀양23호 및 밀양30호)의 쌀밥보다 높은 강도를 보였다. 취반시 물의 첨가비욜의 증가는 전반적인 관능적 성질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으며, 밀양30호 쌀밥의 경우가 가수량에 따라 관능적 성질의 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 PDF

마가루 첨가량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Yam (Dioscorea japonica) Powder)

  • 조경옥;김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01-80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levels (0, 4, 8, 12, 16%) of added yam powder by measuring water content, color value, texture, and sensory quality. The water content of Sulgidduk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increasing the amount of yam powder. The Hunter's L value of Sulgidduk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Mechanical texture parameters, such as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amount of added yam powder increased. The springiness of the 0, 4, 8 and 12% yam Sulgidduk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ut spring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6% yam Sulgidduk.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whereas cohesive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decreased. Springiness of the control sampl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Sulgidduk with added yam powder had the highest springiness level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days. Chewiness was highest during the first day in all Sulgidduk preparations. The 12% yam Sulgidduk was the best in color, flavor, taste, mois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lgidduk with 12% added yam powder had the best quality in sensory and texture analyses.

겔 강화제를 첨가한 대왕오징어 어묵 개발 및 이의 품질에 대한 Setting의 영향 (Development of Giant Squid (Ommastrephes bartrami) Surimi-based Products with Gel Texture Enhancers and the Effects of Setting on Gel Quality)

  • 최승화;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75-981
    • /
    • 2012
  • 본 연구는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는 명태 등의 백색육 어류를 대체하기 위하여 백색도가 높고 잠재 자원량이 많지만 특유의 비린내가 있고 겔화가 어려운 대왕오징어에 겔 강화제를 첨가하여 품질이 향상되고 비린내를 줄인 대왕오징어 어묵의 개발과 setting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ixture model로 설계한 14개의 실험구에서 konjac flour와 MTGase의 양이 많을수록 gel texture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setting을 적용한 제품의 gel texture가 더 높아 대왕오징어 어묵의 제조에 setting 공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왕오징어육, 수분, konjac flour 및 MTGase의 비율이 각각 45, 40.6, 10 및 0.2%일 때 gel texture가 가장 높아 최적 배합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대왕오징어 어묵은 감자전분을 첨가한 대왕오징어 어묵에 비하여 맛과 향에서 유의적으로 높아(p<0.05) 대왕오징어 특유의 비린맛과 향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되며, 시판 어묵과 맛과 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p<0.05) 산업적으로 백색육 어류를 대체하여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남성 정장용 양모 직무의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of Men's Wool/Wool blend Suit Fabrics)

  • 배현주;김은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18-132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n's suit fabrics on the texture image and the preferenc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practical sales ratio. In addition, the texture images and the preference of fabric and jackets made of the same fabrics were compared. As specimen, jackets for men's suit of 2002' S/S and their fabrics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22 sensibility related and 21 fabric image related adjectives were developed.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texture image, both jackets and fabric samples were tested. Tests were performed with 100 female subjects in clothing department and apparel industry.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fiber contents, yarn twist, fabric count, thickness and weight were analyzed. Total Hand Value were calculated from mechanical properties determined by the KES-FB system. Factor analysis showed sensi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surface roughness", "weight", "density", "stiffness", "elasticity" and "wetness". Fabric image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classic", "original", "practical", and "stuffy". Depending on the method to show the specimen to the subjects, whether it is suit or fabric,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a number of adjectives for sensibilities and fabric images. The results of THV of KES did not agree with the preference of subjects, which suggests that we should be careful when using the KES system, which was developed for Japanese people. Price was considered to be another factor besides the texture image that influenced on purchase.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Visual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of Men's suit Fabrics)

  • 유효선;노의경
    • 감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117-128
    • /
    • 2005
  • 본 연구는 남성 수트소재의 구성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이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시판하는 남성용 검정색 계열의 춘하 소재 20종을 수집하여, 시각적 질감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피험자는 의류학과 대학원생과 의류관련 업체 종사하는 $20\~30$대 전문가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요인분석으로 "부피감", "신축감$\cdot$드레이프성", "강연감", "평활감"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강연성"과 굽힘특성과의 관계를 제외한 역학적 특성 평가와 시각적 질감 이미지 평가가 일치하였다. 선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평활감", 압축에너지(WC), 밀도, "강연성"이었으며, 시각적으로 매끄럽고 부드럽고 압축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고 밀도가 성근 직물을 춘하 남성용 정장으로 선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