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ile and clothing vocational educ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특성화 고등학교 의상과의 현황 및 전문교과교육 (The Present State and Major Courses of Clothing Related Departm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 유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88-201
    • /
    • 2016
  • A Clothing Department is a major field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clothing related departments are located in Seoul (4 schools), Busan (2), Incheon (3), Daejeon (1), Ulsan (1), Kangwondo (1), Kyungkido (1), Kyungsangbukdo (1) and Chungcheongbukdo (1). In these 15 specialized high schools, 92 classes of clothing departments are run by 72 clothing teachers with 2,459 students enrolled. The range of object of this study is 15 clothing related departm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heir titles ar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Clothing Design, Clothing Art, Multi Fashion Design, Fashion Textile Design, and Global Design. They were investigated by literature from previous research and education statistics from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Websites such as 'School Information', 'portal site of Specialized High School', 'Ministry of Education-Education Statistics and Information' were also searched. The homepag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clothing department were also investigated respectively. In this study, current scal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major courses, scale of teachers of clothing major of clothing depart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analyzed. In 2015, employment rate and college enrollmen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46.6% and 36.6% respectively, whereas employment rate and college enrollment rate of clothing departments four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39.9% and 45.8% respectively. The number of major courses of clothing departments are 12-15, and the main subjects of the curriculum were Fashion Design, Construction of Western Clothing, Construction of Korean Clothing, Textile Materials and Mangement and Computer Graphics. Major courses consist of 90-108 weekly lesson-hours for 6 semesters. Thanks to government projects to encourage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improved in areas of practice room equipment, industry connections, field training, internship, and scholarship funds. However, despite government projects to encourage education at specialized high schools, there is a need for a more flexible education system to enhance student creativity at specialized high schools.

섬유 및 의복분야 공학교육 기반구축을 위한 직무체계 개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kill System for Based on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 Areas of Textile and Clothing)

  • 박종성;이영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87-97
    • /
    • 2010
  • 본 연구는 직무능력표준 개발에서 기초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직무체계 중 섬유 및 의복분야의 직무체계 개발에 목적이 있다.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섬유 및 의복분야의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수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고찰, 전문가 인터뷰, 전문가 집중토의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통용되는 용어를 중심으로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수준을 설정하였다. 직무분류 결과 섬유 및 의복분야의 직무군은 크게 중분류 3개, 소분류 10개, 22개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섬유 및 의복분야의 직무수준은 국가자격체제의 수준체계와 자격 및 교육과정, 산업 현장의 직무별 수준을 반영하여 7단계로 구분하였다. 도출된 직무 체계를 바탕으로 직무군과 직무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각 직무별 정의와 직무별 수준별 수행기준을 도출하였다.

  • PDF

한국과 독일 직업 교육 분석을 통한 한국 섬유·의류 도제교육에 관한 시사점 제안 (Suggestion of Implications for Korean Textiles and Clothing Apprenticeship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and Germany)

  • 이지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64
    • /
    • 2021
  • 도제 교육은 2005년부터 공업 계열과 농업 계열 교과군에서 활발하게 진행이 이루어져 왔으며, 동시에 도제교육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독일의 도제교육 제도에 대한 연구도 공업계 및 농업계 교과군에서는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현재 도제교육은 정부 주도형 도제교육과 경기도 주도형 도제교육으로 나뉘어서 진행되고 있다. 오랜 전통을 가지고 국가와 기업, 학교가 협력을 이뤄온 독일과 비교하면 섬유·의상 관련 전공의 도제교육은 도입 시기이므로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다. 본 연구는 독일 도제교육 전반에 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섬유·의류 교과군의 도제교육 개선 방향을 도출했다. 이에 독일과 한국의 도제교육에 관한 문헌을 비교 탐색하고, 문헌으로 나타나지 않은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에 거주 중인 독일 국적 교수님 두 명과 면담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독일은 직업 교육에 대한 오랜 전통과 전국민적 인식이 도제 교육을 정착시킬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으며, 직업계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제 교육은 업체 발굴, 업체별 직무 분석 등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일련의 절차가 모두 특성화고등학교에 전적으로 일임하여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도제 교육에 대한 공신력과 견고함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문헌과 면담 자료에만 국한되고 실제 독일의 도제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향후, 섬유·의상 교과 분야의 도제교육이 기업체의 인식 변화와 다양한 제도 구축 및 연구를 통해서 섬유·의류 노동 시장의 안정성을 구축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관련 부서의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