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use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zing Contents of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서동오;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of use for the preparation of more desirable sex education system at elementary school, by making content analysis of the current textbooks related to sex education and surveying what opinions the persons concerned had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at kind of sex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m. And questionnaires on how to improve school sex education content were prepared, by which 207 male and female teachers were surveyed in the city of Paju and Koyang, Kyonggi provinc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Content Analysis of Textbook Sex Edu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sex education was relatively much included in textbooks of the right life, morality and physical education. Although morality was a subject to be instructed for the third-grade students or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rtually received sex education from the first grade, as the right life and the joyful life were a subject for the lower-grade students, and this met the goal of sex education or the need of the times. However, sex education content leaned heavily toward family, family life or parental love. There was no mutual complement among subjects, and no link among grades, either. 2. Teacher Opinion on Sex Education Content for Each Grade When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if sex education content was appropriate for each grade, they answered 20 items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6 items might be left out. And there were 6 items regarded by them as one that should be rearranged in consideration of grade. 3. The Ideal Opinion of Sex Education Content The following model c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which was designed to meet the objectives of school sex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offer a systematic link among grades, based on the findings by textbook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on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materials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ntent selected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my body, cleanness of genitals, male-female cooperation, and family cooperation. For the second grade, the selected content was male-female physical difference, male female psychological difference, parental and I(origin of a birth). For the third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important a body(cleanness of genitals), birth of a life, and male-female comprehension and cooperation. For the four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physical development, management of genitals,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propagation and growth of organism, concern for the other sex, comprehension of and cooperation with the other sex,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Four the fif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operation for phimosis,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enital organs, birth and growth of a baby, television/sex information, and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or the six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male-female cooperation, male and female role, male-female manners,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amily and family life. Finally, what should be taught in sex education must be studied constantly, as it should be revised or supplemented periodically, according to student's sexual maturity or social, cultural changes.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o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 김지영;한재은;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28-937
    • /
    • 2012
  •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탐구 활동은 탐구 활동 개수 및 비율, 탐구 과정 요소, 탐구유형, 탐구 상황 등을 알아보고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화학II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활동의 개수 및 지면 수에 대한 탐구 활동 개수의 비율은 출판사 별로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비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탐구 활동들은 특정 탐구 과정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탐구 활동 유형은 교과서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지만 대부분 실험하기와 생각해보기로 이루어져 있었고, 해보기가 아주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탐구 활동 상황은 순수 과학적 상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일상적 상황, 기술 사회적 상황, 자연 환경적 상황 순이었다.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와 비교했을 때 기술 사회적 상황이 증가하였지만, 기술 사회적 상황과 자연 환경적 상황은 10% 이하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탐구 활동에 있어서 2009개정 교육과정의 화학II 교과서도 이전 차시의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여전히 포함하고 있어 학교 교사들이 수업을 설계할 때 이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탐구 활동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앞으로 교과서 개발자들은 교과서 분석 연구들의 결과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 효과성 검증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 김정랑;김용신;한선관;김수환;계보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57-37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교육에서 교육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교육의 목표를 21세기 학습자역량 증진, 교수자 역량 증진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각 하위요소를 7개 영역 5개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소에 따라 문헌연구 및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하위요소의 정의 및 설문문항을 확정하였다. 학습자 역량 증진의 하위요소는 창의력과 혁신능력,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으로 선정하여 26개의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교수자 역량의 세부 영역은 21세기 학습자역량 이해, 정보활용능력, 학습자와의 관계형성, 수업설계, 평가 및 성찰로 24개의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문항은 스마트 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물리 외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적 현상 설명이 학생들의 물리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xplanations of Physical Phenomena Given in Non-Physics Textbooks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Physical Conceptions)

  • 박미진;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5-16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 외 교과서의 물리 내용 설명이 학생들의 물리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에 있는 두 중학교에서 각 39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으며, 학생들의 개념 조사를 위해 두 종류의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검사 도구는 A는 물리 외 교과서의 물리 내용에 관한 설명을 읽은 후에 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고, 검사 도구는 B는 똑같은 물리적 현상에 대해 물리 교육 전문가에 의해서 물리학적으로 이해가 가능하도록 다시 진술한 설명을 읽은 후에 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각 학급에 두 검사 도구 모두를 적용시켰다. 이때 공평한 조사를 위해 한 학급에는 검사 도구 A를 적용한 후 검사 도구 B를 적용하였고, 다른 학급에는 검사 도구 B를 적용한 후 검사도구 A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학급 모두에서 물리 교육 전문가에 의해서 재진술된 설명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가 물리 외 교과서의 설명에 대한 이해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 .01). 이것은 물리 외 교과서에서의 모호하고 바르지 못한 물리 개념의 설명이 학생들의 오개념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적절치 못한 문장의 표현 및 용어의 선택, 애매한 문장의 문법적인 구조가 물리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방해가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절치 못한 예와 잘못된 그림을 제시하는 것이 오개념을 형성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물리 교과서에 사용하는 용어와 물리 외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른 것이 학생들의 혼동을 야기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과학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분석 (Analysis of External Representations in Matter Units of 7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윤회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1-7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7학년 과학의 물질 영역인 '기체의 성질'과 '물질의 상태 변화' 단원에 제시된 외적 표상을 분석하여 표상을 활용한 과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표상의 유형, 표면적 특성의 해석, 본문과의 관련성, 캡션의 존재와 특성, 복합적 표상에서 표상 간 관련성, 표상의 기능의 여섯 가지 범주로 구성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다섯 종의 교과서에 나타난 표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체의 성질'과 '물질의 상태 변화' 단원의 성취기준을 설명하는 각 교과서에 제시된 대표적인 표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표상의 유형에서는 거시적 표상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표면적 특성의 해석 범주에서는 명시적 특성을 가진 표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본문과의 관련성 범주의 분석 결과, 대부분의 표상이 완전한 연관성과 연결 또는 완전한 연관성과 비연결에 해당하여 표상과 본문 내용은 일관성 있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캡션의 존재와 특성 범주에서는 적절한 캡션이 존재하는 표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복합적 표상에서 표상 간의 관련성은 충분히 연결된 표상이 대부분이었다. 표상의 기능 범주에서는 완성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탐구 활동에 제시된 표상에서는 미완성형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성취기준과 관련된 대표적인 표상을 분석한 결과, 표상의 유형, 표상에 제시된 정보및 기호의 사용 등에서 교과서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7학년 물질 영역의 표상 활용과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정형물리치료 강의평가 분석 (Evaluation of lecture delivered by O.M.T. on the subject of Orthopedic Physical Therapy)

  • 김근조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38
    • /
    • 1999
  • This evaluation was made through 1219 persons who had attended the lecture organized by O.M.T.( Orthopeadic Manual Therapy )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December 1998 in Seoul and in other 11 cities. The result of evalu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 1. With regard to general satisfaction with lecture, it was evaluated as 'more than good 'by 919 person(75.6%) for Preparation for lecture of lecturer' and by 969 person (71.4%) for 'Teaching Method'. Statistically, the significance was largely given to 'Couse and Preparation for Lecture of Lecturer' and 'Preparation for Lecture as per each Lecturer' (P< 0.001). 2.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of lecture, it was evaluated as 'more then good' by 675 persons(55.4%) for 'Appropriate Degree of Lecture Difficulties'. Statistically, the significance was largely given to 'Appropriateness of Teaching Courses and Degree of Lecture Difficulties' (P< 0.001). Degree of Lecture Difficulties' (P< 0.001). 3. With regard to satisfaction with lecture's performance, it was evaluated as 'more than good' by 969 persons (87.7%) for 'Lecturer's Zeal for Teaching" and by 751 persons(61.6%) for 'Suitability of Textbook'. Statistically, the significance was largely given to 'Sex Distinction and Lectuer's Zeal for Teaching' (P< 0.001) and 'Lecturer and Suitability of Textbook' (P< 0.001). 4. With regard to teaching environment, it was evaluated as 'more than good' by 464 persons(38.2%) for 'Appropriateness of Teaching Environment' and by 751 persons(61.8%) for 'provision of Appropriate Audio-Visual Aids for Teaching', Statistically, the significance was largely given to 'place and Appropriateness of audio-visual aids for Teaching' (P< 0.001). 5. With regard to parctical use of lecture, it was evaluated as 'more than good' by 805 persons(67.5%) for 'Usefulness to clinical demonstration' and by 873 person(71.7%) for 'Attitude towards study'. With the result of evaluation made as in the above, we are able to see that the education of orthopedic physical therapy which is organized by Orthpedic Physical Therapy Society of Korea, is being successfully conducted and evaluated by its members, and furthermore the staff of this society has to make his best endeavoures for the growth of this society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is education.

  • PDF

${\ll}$교주부인양방(校注婦人良方)${\gg}$에 수재된 의무기록 의안(醫案)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medical records in ${\ulcorner}$Gyojubuin-yangbang${\lrcorner}$)

  • 오창영;김나영;박영수;김병회;조호근;김중오;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6-239
    • /
    • 2006
  • Background : Medical records are documents in files which consist of all diagnostic studies and medical treatments patients had received while they were hospitalized or treated as outpatients. A doctor or medical team can use medical records as a data for diagnosis, treatment, and education. In traditional eastern asian medicine, medical reports have different forms and cont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edical reports of traditional eastern asian medicine was how to express practitioner's medical ideas. So it has a weak point, for example, it has poor information about patient and clinical process, which make some trouble to understand it. Methods and Results : We studied medical records in Gyojubuin-yangbang, a commentary book of Chen-zi-ming's Obstetrics and Gynecology textbook done by Xue-ji in Ming dynasty, China. This book consists of 10 parts; treatment of menstruation disorders and leukorrhea, general gynecology, treatment of infertility, education for fetus, diagnosis of fetus and gravida, treatment of general and obstetrical disease in gravida, care for delivery, postpartum care and treatment, and treatment of mass and inflammation. It has 546 medical records about women's disease that commonly believed as Xue-ji's case reports. They are all review articles and made during about 23 years from A.D 1523 to 1546. Most patients of Xue-ji's case reports were common people, this fact is different from that of case reports in Chen-zi-ming's Obstetrics and Gynecology textbook. Conclusion : Xue-ji was a very famous Ob&Gy doctor who was from Suzhou Jingsu province in China. He was born in A.D 1468, died in A.D 1588. He emphasize emotional factors in pathology and to tonify spleen and kidney. We think Xue-ji's medical records are good references for us to treat psychosomatic Ob&Gy disease and chronic women's disease.

  • PDF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 권오남;주미경;박규홍;오혜미;박지현;조형미;이지은;박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223-246
    • /
    • 2012
  •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has recommended the introduc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school. As part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development,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in order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it. For the purpose, we have developed survey questionnaire and administered it to 113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he survey asked the teachers to address their concep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its contribution to school mathematics, challenges and obstacles for the implementation. The survey shows that the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was not clear or limited. Most of them replied that they received information abou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from the materials provided by workshop or materials of school district office. While the teachers heard about that school will implemen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hey rarely had idea of how to use them in class. In the survey, the teachers identified which type of storytelling is effective for which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They also identified the positive effect and the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he mathematics teachers pointed out that textbook is not enough. They urg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should be integrated into classroom teaching and assessment to mak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ducational practice of mathematics in school. Thus, mathematics teachers need support to implemen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into their teaching practice. Teacher workshop and teacher manuals need to be developed to help teachers understand educational visions and values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These results of the survey would form the worthwhile bas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세계인식 형성에 있어서 교과서 삽화의 역할 : 일제 시대 간행된 초등 지리교과서의 인종·민족 삽화를 중심으로 (The Role of Textbooks Pictures in the World Recognition)

  • 한현정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213-238
    • /
    • 2017
  • 본 논문은 공통의 인식형성 장치로서 근대 교과서를 위치 짓고, 삽화의 사실적 표현 양식과 교과서 내 배치가 세계인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지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된 연구대상은 일제 강점기에 문부성, 조선총독부, 타이완 총독부, 만주교육회 등이 간행한 초등학교 지리교과서의 인종 민족에 관한 삽화를 비교함으로써 당시의 제국이라는 세계의 인식을 교과서 편자가 시각적으로 어떻게 조정하고자 했는지를 검토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지리교과서에 인구조사와 분류방법론이 도입된 후 비로소 제국은 인종, 민족별 총합으로 간주되었다. 나아가 전시기의 제국은 소수 인종 및 민족에 의해 그 의미가 지지되었다. 둘째, 인종 민족의 표현양식은 초기에 과학적 관찰 대상으로서 이질적인 부분을 강조하던 것에서 후기로 갈수록 독자와 유사한 생활 문화를 지닌 대상으로 변해갔다. 셋째, 인종 민족 삽화는 제국 내 간행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는데 각 지역 독자에게 같은 범주의 다른 이미지를 가지게 했다. 많은 사례 중에 대표성이 가지는 정치성, 특정 인종 민족 삽화의 사용 유무로 알 수 있었다. 20세기 전반의 교과서는 삽화그림을 대거 사용함으로써 독자가 직접 만날 수 없는 인민에 대한 선견적 인식을 부여했다. 종주국 아동은 교과서를 통해 다양한 제국인민을 조망하면서 '보는 입장'에 선 위치를 자각한다. 반면 식민지 아동의 교과서에는 '보이는 입장'에 섰다가 제국의 확장과 함께 종주국 주체의 입장을 내면화해가는 변화를 보였다.

전자 이동 모델에 대한 화학 I, 화학 II 교과서 분석 및 화학 교육 전공 예비교사들의 이그노런스 인식 조사 (Analysis of Textbooks of Chemistry I, II and Survey of Chemistry Education Major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Related to the Electron Transfer Model)

  • 유은주;전은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5호
    • /
    • pp.358-369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4종, 화학 II 교과서 4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9종, 화학 II 교과서 6종에서 제시하는 전자 이동 모델 관련 내용을 모델의 이그노런스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화학 교육 전공 예비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전자 이동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3개 문항을 개발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 교과서가 전자 이동 모델의 불일치 상황인 공유결합물질의 산화·환원 반응을 산화수 변화와 전자 이동을 혼용하여 설명하거나 전자 이동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모델의 개발과 활용으로의 변화가 교육과정 비교에서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대다수 예비교사는 전자 이동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불완전하게 인식하거나 인식하지 못하였다. 단 1명의 예비교사만이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명료하게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교과서가 전자 이동 모델의 불일치 상황을 설명할 때 모델의 이그노런스가 드러나도록 교과서 서술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예비교사 교육을 통해 예비교사들도 전자 이동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할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