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 fixtur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초

Low-level laser therapy affects osseointegration in titanium implants: resonance frequency, removal torque,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in rabbits

  • Kim, Jong-Ryoul;Kim, Sung-Hee;Kim, In-Ryoung;Park, Bong-Soo;Kim, Yong-D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1호
    • /
    • pp.2-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w-level laser therapy (LLLT) with a diode gallium-aluminum-arsenide (Ga-Al-As) low-level laser device on the healing and attachment of titanium implants in bone.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New Zealand white male rabbits weighing $3.0{\pm}0.5kg$ were used for this study. Dental titanium implants (3.75 mm in diameter and 8.5 mm in length, US II RBM plus fixture; Osstem, Seoul, Korea) were implanted into both femurs of each rabbit. The rabbi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LLL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LLLT was initiated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then repeated daily for 7 consecutive days in the LLLT group. Six weeks and 12 weeks after implantation, we evaluated and compared the osseointegration of the LLLT group and control group, using histomorphometric analysis, removal torque testing, and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level of probability was 0.05 or less based on a non-parametric Mann-Whitney U-test. Results: The implant survival rate was about 96%. Histologically and histomorphometrically, we observed that the titanium implants were more strongly attached in LLLT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LLT group and control group in removal torque or RFA. Conclusion: Histologically, LLLT might promote cell-level osseointegration of titanium implan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300/924C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 적층판의 이차원 압축 강도의 크기효과 및 좌굴방지장치의 영향 (Two Dimensional Size Effec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300/924C Carbon/Epoxy Composite Plates Considering Influence of an Anti-buckling Device)

  • 공창덕;방조혁;이정환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8-91
    • /
    • 2002
  • The two dimensional size effect of specimen gauge section (length x width) was investigated on the compressive behavior of a T300/924 [45/-45/0/90]3s, carbon fiber-epoxy laminate. A modified ICSTM compression test fixture was used together with an anti-buckling device to test 3mm thick specimens with a 30$\times$30, 50$\times$50, 70$\times$70, and 90mm$\times$90mm gauge length by width section. In all cases failure was sudden and occurred mainly within the gauge length. Post failure examination suggests that $0^{\circ}$ fiber microbuckling is the critical damage mechanism that causes final failure. This is the matrix dominated failure mode and its triggering depends very much on initial fiber waviness. It is suggested that manufacturing process and quality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compressive strength. When the anti-buckling device was used on specimens, it was show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the device was slightly greater than that without the device due to surface friction between the specimen and the device by pretoque in bolts of the device. In the analysis result on influence of the anti-buckling devic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the anti-buckling device by loaded bolts was about 7% higher than actual compressive strength. Additionally, compressive tests on specimen with an open hole were performed. The local stress concentration arising from the hole dominates the strength of the laminate rather than the stresses in the bulk of the material. It is observed that the remote failure stress decreases with increasing hole size and specimen width but is generally well above the value one might predict from the elastic stress concentration factor. This suggests that the material is not ideally brittle and some stress relief occurs around the hole. X-ray radiography reveals that damage in the form of fiber microbuckling and delamination initiates at the edge of the hole at approximately 80% of the failure load and extends stably under increasing load before becoming unstable at a critical length of 2-3mm (depends on specimen geometry). This damage growth and failure are analysed by a linear cohesive zone model. Using the independently measured laminate parameters of unnotched compressive strength and in-plane fracture toughness the model predicts successfully the notched strength as a function of hole size and width.

  • PDF

기성품과 맞춤형 임플란트 지대주 나사의 풀림 토크 비교 (Comparison of removal torque between prefabricated and customized abutment screw)

  • ;김지환;김무성;박영범;심준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3-248
    • /
    • 2012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지대주 연결에 사용되는 기성품 나사와 맞춤형 나사의 풀림 토크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세가지 임플란트 시스템에(Osstem, Astra, Zimmer) 대해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에 기성품 나사군(대조군)과 맞춤형 나사군(실험군)으로 총 6군(n = 6)으로 나누었다. 조임 토크조절은 디지털 토크 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각 임플란트 제조사가 추천한 조임 토크 값을 적용하였다. 체결 10분 후 동일한 조임 토크를 다시 적용하고 5분 후에 풀림 토크력을 측정하였다. 이 과정을 10회 반복 측정하였다. 반복 하중 실험에서는 6개 군(n = 3)에 대해 체결 10분 후 2차 조임 토크를 적용하고 $30^{\circ}$ 경사로 50 N 하중으로 총 1,000,000번 반복 하중을 가하였다. 반복 하중 적용 이후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10회 반복 측정에서 풀림 토크값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s of ANOVA test (${\alpha}$=.05)를 사용하였고, 반복 하중 후 풀림 토크값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각 시스템별 Independant t-test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모든 군에서 반복 횟수가 증가할수록 풀림 토크값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10회 반복 측정 실험에서는 세 종류의 임플란트에서 대조군(기성품나사)과 실험군(맞춤형 나사) 간에 풀림 토크값은 유의차가 없었다(P>.05). 반복 하중 실험에서 세가지 시스템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풀림 토크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 반복 측정된 풀림력 검사와 반복 하중을 적용 후 풀림력 검사에서 맞춤형 나사와 기성품 나사의 풀림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스템 에어컨 실외기 포장품의 낙하충격해석 및 시험적 검증 (Drop Impact Analysis of Outside Cooling Unit Package of System Air-Conditioner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 김형석;이부윤;이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11-116
    • /
    • 2018
  • 본 논문은 시스템 에어컨 실외기 포장품의 낙하충격해석 및 시험검증을 수행한 내용을 다룬다. 포장은 낙하충격으로 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과 이를 제품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 구성되는데 작은 부피로 충분한 완충성능을 발휘하는 포장 설계를 위해서는 충격 시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가속도 등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외연적 시간적분을 활용하는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실외기 포장품의 낙하충격해석을 수행하였다. 정확한 해석을 위한 해석모델 구축, 재료 시험을 통한 데이터 획득 및 재료 모델의 선정, 신뢰성 있는 해석 데이터 확보를 위한 계측 센서의 모델링 등이 수행되었으며 이렇게 구해진 해석데이터와 시험으로 구해진 가속도 및 변형률 시간이력을 비교하였다. 해석모델에 반영된 감쇄계수 등의 오차로 인하여 대체로 해석결과가 시험 결과에 비해 충격 가속도 및 변형률을 크게 예측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데이터의 경향과 낙하 방향의 충격가속도는 정확하게 계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 및 해석기법을 에어컨 실외기 포장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섬유성 강화 컴포지트를 사용한 임플랜트 고정성 보철물의 굴곡강도 (FLEXURAL STRENGTH OF IMPLANT FIXED PROSTHESIS USING FIBER REINFORCED COMPOSITE)

  • 강경희;권긍록;이성복;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26-536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 Use of fiber composite technology as well as development of nonmetal implant prosthesis solved many problems due to metal alloy substructure such as corrosion. toxicity, difficult casting, expensiveness and esthetic limit. After clinical and laboratory test, we could find out that fiber-reinforced composite prostheses have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FRC can make metal-free implant prostheses successful.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lexural strength of implant fixed prosthesis using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s : 2-implant fixture were placed in second premolar and second molar area in edentulous mandibular model, and their abutments were placed, and bridge prostheses using gold, PFG, Tescera, and Targis Vectris were fabricated. Tescera was made in 5 different designs with different supplements. Group I was composed by 3 bars with diameter 1.0mm and 5 meshes, 2 bars and 5 meshes for Group II, 1 bar and 5 meshes for Group III, and only 5 meshes were used for Group IV. And Group V is composed by only 3 bars. Resin (Tescera) facing was made to buccal part of pontic of gold bridge. All of gold and PFG bridges were made on one model, 5 Targis Vectris bridges were also made on one model, and 25 Tescera bridges were. made on 3 models. Each bridge was attached to the test model by temporary cement and shallow depression was formed near central fossa of the bridge pontic to let 5 mm metal ball not move. Flexual strength was marked in graph by INSTRON.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itial crack strength was the highest on PFG. and in order of gold bridge Tescera I, Tescera II, Targis vectris, Tescera IV, Tescera III, and Tescera V. The maximum strength was the highest on gold bridge, and in order of PFG, Tescera I, Tescera IV Tescera II, Targis vectris, Tescera III, and Tescera V. Conculsions :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lextural strength of implant prosthesis using fiber reinforced composite was higher than average posterior occlusal force. 2. In initial crack strength, Tescera I was stronger than Tescera V, and weaker than PFG. 3. Kinds and number of auxillary components had an effect on maximum strength, and maximum strength was increased as number of auxillary components increased. 4 Maximum strength of Tescera I was higher than Targis vectris, and lower than PFG.

CHANGES OF ABUTMENT SCREW AFTER REPEATED CLOSING AND OPENING

  • Kim Hee-Jung;Chung Chae-Heon;Oh Sang-Ho;Choi Han-Cheol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28-640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Wear as a result of repeated closing/opening cycles may decrease the friction coefficient of screw head, threads, and other mating components and, consequently, resistance to opening gradually decreases. It may cause screw loosening,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failures in implant prosthesi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on the head and thread surface of the abutment screws after repeated closing and opening through the examination of tested screws in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aterials and methods. Five species of abutments were selected (3i-three, Avana-two) respectively by two pieces. The implant fixtures were perpendicularly mounted in liquid unsaturated polyesther(Epovia, Cray Valley Inc.) with dental surveyor. Each abutment was secured to the implant fixture by each abutment screw with recommended torque value using a digital torque controller. The abutment screws were repeatedly tightened and removed 20 times with a digital controller.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Netherland, Phillips co., model:XL 30 SFEG) was used to observe changes of each part caused by repeatedly closing/opening expeiment. First, the Photomicrographs of pre-test screws provided by each manufacturer were taken. The changes of each screw were investigated after every fifth closing and opening experiment with FESEM. Sca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micrographs of each screw were taken four times. Results. As the number of closing and opening was increased, the wear or distortion of hexed or squared slot that contacted with the driver tip was more severely progressed. Wear or distortion of hexed slot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squared slot and it was more remarkable in the titanium screw than in the gold screw. All the tested screws showed that the width in the crest of their screw thread decreased gradually as the test was proceeded. Conclusions. Conclusively, we recommend the clinical use of gold screw, a periodic exchanges of abutment screws and avoiding repeated closing/opening unnecessarily. We also suggest a more careful manipulation of the abutment screw and screw-driver and using of abutment screw with an acute-angled slot design rather than an obtuse-angled one.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new slot design and the surface treatment for enduring wear or distortion should be devised.

내부연결 임플란트의 보철 수복 후 성공률에 미치는 위험요소에 관한 10년간의 후향적 연구 (A 10-year retrospective study on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 of internal connection implants after prosthetic restoration)

  • 이서인;김민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13-124
    • /
    • 202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종류 및 특성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성공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에서 2011~2020년에 식립한 임플란트 중 한 명의 보철전문의에 의해 수복된 사례에 대하여 그 특성과 실패에 대한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실패의 원인은 골유착 실패, 임플란트주위염, 고정체 파절,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보철물 파절, 보철물 유지력 상실 등으로 분류했다. 보철방식, 캔틸레버 여부, 식립 위치 등과 임플란트 실패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결과 분석은 SPSS ver 25.0 (IBM,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Kaplan-Meier 생존분석 등을 통하여 도출했다. 결과: 총 2587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그 중 1141개의 임플란트가 단일관(Single Crown)으로, 1446개의 임플란트가 고정성 국소의치(Fixed Partial Denture)로 수복되었고 누적생존율은 88.1%이었다. SC의 성공률은 86.2% (984개), FPD의 성공률은 89.6% (1295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요인은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등이었다 (P < .05). 결론: 10년간의 추적조사 결과 생물학적인 요인보다는 생역학적인 요인으로 인한 실패가 더 많이 발생했고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보철방식 별로 상이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상이했다. 추후 임플란트의 성공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마그네슘 양극산화 임플란트의 성공률에 관한 전향적 임상연구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n the Mg Oxidized Clinical Implants)

  • 임소민;김대곤;박찬진;조리라;엄흥식;이재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1호
    • /
    • pp.25-39
    • /
    • 2011
  • 마그네슘 양극산화 임플란트는 동물실험에서 우수한 골반응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대한 임상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 양극산화 임플란트의 단기간 성공률 및 안정성, 변연골 흡수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병원의 임상시험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건강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마그네슘 양극산화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일반적인 프로토콜에 따라 보철 치료를 시행하였다. 1차 수술, 2차 수술, 보철물 시적, 하중 후 1개월, 3개월, 6개월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매회 내원 시 임플란트 안정지수(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를 측정하고 구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변연골 흡수량을 산출하였다. 반복측정이 있는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50명에게 식립된 101개의 임플란트 중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는 없었으며, 하중 후 6개월 성공률은 100%였다. 평균 ISQ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여성보다 남성에서, 상악보다 하악에서 높게 나타났다 (P<.05). 하중 6개월 후 골질이 양호할수록, 고정체 직경이 클수록 높은 ISQ 값을 보였다 (P<.05). 하중 후 6개월간 평균 변연골 흡수량은 0.26 mm로 관찰되었으며 하악보다 상악에서,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많은 흡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마그네슘 양극산화 임플란트의 6개월 성공률은 100%이며, 낮은 골질에서도 우수한 골유착이 관찰되었다. 안정성과 변연골 수준 또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지만 더욱 장기적인 임상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임플란트 bar 어태치먼트에 사용하는 두 가지 부가적인 유지장 치의 유지력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retentive characteristics of two additional attachment used with an implant bar attachment)

  • 최재원;채성기;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73-180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반복적인 착탈에 따른 임플란트 bar 어태치먼트에 사용하는 두 가지 부가적인 유지장치의 유지력 특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유지장치(ADD-Lock; AL)와 기존의 상용화된 유지장치(Locator blue; LB)의 두 가지 유지장치를 평가하였다. 두 개의 고정체를 하부 구조물에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각 유지장치의 patrix를 고정체에 연결하였다. 각 유지장치의 matrix는 대합되는 상부 구조물에 위치시키고 고정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초기, 100, 250, 500, 1000, 2000, 2500회의 반복적인 착탈 동안에 각 유지장치의 유지력을 측정하였다. 유지장치의 마모 및 변형 정도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 (α = .05), 그리고 wilcoxon signed-rank test (α = .05)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실시하였다. 결과: 초기 유지력과 2500회의 반복적인 착탈 후 유지력에서, AL군(15.24 ± 1.46 N, 9.74 ± 1.16 N)은 LB군(43.53 ± 12.39 N, 22.99 ± 4.77 N)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P < .05). 또한, 유지력 소실량에 있어서도 AL군(5.50 ± 1.08 N, 36.08%)이 LB군(20.54 ± 11.89 N, 47.19%)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P < .05).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AL군은 patrix에서, LB군은 matrix에서 눈에 띄는 마모 및 변형이 관찰되었다. 결론: Locator는 새롭게 개발된 유지장치보다 높은 초기 유지력을 보인 반면 높은 유지력 소실량을 보였다. 한편, 두 가지 부가적인 유지장치는 반복적인 착탈 후에도 충분한 유지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극산화 임플란트 표면에 적용된 헤파린과 골형성단백질(rhBMP-2)이 치조골 증대에 미치는 효과: 방사선학적 평가 (Effect of immobilization of the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rhBMP-2) on anodized implants coated with heparin for improving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beagle dogs: Radiographic observations)

  • 이소현;조재영;윤미정;전영찬;허중보;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7-314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골형성단백질의 서방출을 위해 헤파린과 골형성단백질 (rhBMP-2)을 화학적으로 고정시킨 양극산화 티타늄 임플란트가 골 결손부에서 임플란트 주변의 수직적 골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방사선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Pure-Titanium을 사용하여 길이 7.0 mm, 직경 3.5 mm의 실험용 임플란트 18개를 제작하였다. 모든 임플란트를 양극산화처리 하였고, 플랫폼 하방 2.5 mm에 식립 기준선을 표시하였다. rhBMP-2가 코팅되지 않은 임플란트 집단을 대조군으로, dip and dry 방법으로 rhBMP-2를 물리적 흡착시킨 집단을 BMP군, 3,4-dihydroxyphenylalanine(DOPA)-heparin을 이식하고 rhBMP-2를 화학적으로 고정시킨 집단을 Hep-BMP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군별6개씩의 임플란트를 3마리의 비글견 양측 하악에 한쪽에 3개씩 총 18개를 치조정 상방으로 2.5 mm 노출시켜 식립하였다. 식립 직후와 4주, 8주에 식립부위의 방사선학적 검사가 시행되었고, 각 시기별, 각 군별 임플란트의 근원심 변연골의 수직적 재생량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4주, 8주에서 대조군과 실험군들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유의 수준5%에서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방사선학적 관찰 결과 임플란트 근원심 변연골 재생량(평균값 ${\pm}$ 표준편차)은 4주에 대조군은 $0.09{\pm}0.22mm$, BMP군은 $1.02{\pm}0.72mm$, Hep-BMP군은 $1.29{\pm}0.51mm$ 였으며, 8주에서는 각각 $0.11{\pm}1.26mm$, $1.11{\pm}0.58mm$, $1.59{\pm}0.79mm$였다. 두 실험군 모두 4주와 8주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유의한 수직적 골증대를 나타냈으나(P<.05), Hep-BMP군과BMP군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변연골 재생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골형성단백질을 물리적으로 흡착시키거나 서방출 위해 헤파린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고정시킨 양극산화 임플란트 표면은 모두 골 결손부에서 임플란트 주변골의 수직적 증대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방사선학적 관찰의 한계 내에서 골형성단백질의 이 두가지 적용방법간에는 수직적 골증대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