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phra identific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테프라 연대학: 화산유리의 세척, 분리 및 감정 (Tephrochronology: Washing,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Volcanic Glass Shard)

  • 길영우;정창식;박세진;박명호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3
    • /
    • 2006
  • 화산분출물 중에서 균질한 화학조성을 가지는 화산유리는 제4기 지형 발달순서 및 지층연대에 많이 사용된다. 비정질 화산유리는 실험실에서 세척, 분리, 감정의 과정을 걸쳐 시료로부터 분리되어 분석된다. 그러나 일련의 과정들 속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오류로부터 층서대비 및 연대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화산유리 연구의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해, 간단하며 정확한 화산유리 세척, 분리, 감정과정의 이해가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테프라를 통한 정확한 실험을 하기 위해 필요한 올바른 절차에 대해 제안을 해본다.

  • PDF

한국의 육상에서 발견되는 광역테프라층의 지질학적 활용과 한계 (Geolog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Regional Tephra Layers in Terrestrial Deposits in Korea)

  • 김정빈;김영석;임현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80-690
    • /
    • 2022
  • 테프라연대학은 광역테프라를 연대측정과 층서대비에 이용하는 연구이다. 광역 테프라층은 층서적 건층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4기지질학과 고고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논평에서는 테프라의 동정 방법과 연대측정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한반도의 육상퇴적층에서 발견되는 광역테프라층의 종류와 산출 특성에 대해 정리하였고, 광역테프라층의 지질학적 활용 방법과 한계점에 대해서도 토의하였다. 지금까지 한반도 육상의 고토양층, 해안단구 퇴적층, 호수퇴적층에서는 일본 큐슈 기원의 AT와 Ata, Kb-Ks 테프라가 발견되었다. 또한 공식적으로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Aso-4 테프라도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광역테프라층은 제4기 퇴적층, 특히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의 범위를 넘는 5만년 이상 퇴적층의 연대측정과 층서대비에 유용하며, 활성단층의 연대측정과 화산재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테프라층을 지질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퇴적학적 연구를 통해 일차퇴적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한국 동남부 울산 지역에서 발견되는 화산재층의 산상과 동정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ephra Layers found in the Ulsan area, Southeastern Korea)

  • 김정빈;김영석;임현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5-64
    • /
    • 2021
  • 화산재연대학은 화산재층을 지질학적 사건과 대비하거나 연대를 측정하는 연구이다. 화산재층은 건층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4기 퇴적층의 연대측정에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의 산하동과 정자동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단구 퇴적층의 상하부에서 두 종류의 화산재가 발견되었다. 화산유리의 형태학적 특징과 굴절률, 주원소조성과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상부와 하부의 화산재는 각각 약 25 ka 전에 분출한 AT 화산재와 약 105-110 ka 전에 분출한 Ata 화산재로 밝혀졌다. Ata 화산재는 한국의 육상퇴적층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의 제4기 고기후와 고환경 및 한국 동남부의 활성단층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 Park, Seong-Gi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15
    • /
    • 2003
  • In South Korea, marine terraces have been well developed along the eastern coastal zone,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marine terraces have also been focused on to this coastal zone. The 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had been classified into three terrace groups, that is, the higher, middle, and lower surface ones, according to the heights of marine terraces by previous studies(Oh, 1981 ;Chang, 1987 ;Yoon et. al, 1999, 2003 ; Hwang and Yoon, 1996 etc.). Recently, however, it tends to classify the marine terraces based on the concept of geomorphic surface units(Lee, 1987 ; Kim, 1990 ; Choi, S. 2003; Choi S. et. al 2003a,b, etc). For example, it was proposed that the marine terrace surfaces of Eupcheon coast of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could be classified into 16 geomorphic surfaces, i.e., Eupcheon 1terrace(former shoreline height of 160m), 2(153m), 3(140m), 4(130m), 5(124m), 6(115m), 7(100m), 8(92m), 9(82m), 10(71m), 11(62m), 12(53m), 13(43m), 14(35m), 15(18m) and 16(10m) surfaces, in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former shoreline heights(Choi, S, 2003 ; Choi, S. et. al, 2003a,b). Among these terraces, Eupcheon 1, 2, 4, 5 and 7 surfaces had not been reported in previous works. Among the above mentioned marine terraces, Eupcheon 15 terrace, the most widely and continuously distributed marine terrace have been identified as marine terrace of the Last Interglacial culmination period(oxygen isotope stage 5e) which was based on amino acid dates(124∼125ka BP) and geo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red soil, pollen analysis, fossil cryogenic structures and crossing terrace concept. Eupoheon 15 terrace surfaces have also been proposed as the key surface for the identification and correlation of the so-called '5e' marine terrace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This terrace was reconfirmed as the Last Interglacial culmination period, which wa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Ata tephra, one of the wide-spread marker tephra which indicates the Last Interglacial culmination period in Japan by Sasaki et. al(2002). It was thought that 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had been formed by the steady-state uplifting during the Quaternary glacio-eustatic sea level changes(Choi, 1997). The uprift rate of 10cm/1,000years had been proposed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based on the former shoreline altitude(18m) of the above Eupcheon 15 terrace.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Eupcheon 1 terrace had been formed in the early Pleistocene from the above uprift rate. The OSL dating for the samples of Eupcheon 7, 9, 13, 15 and 16 terraces and identification of marker tephra in the terrace deposits are in progress. It is expected that more elaborate chronology on the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could be established by these absolute dates and marker-tephra.

  • PDF

신생대 제4기 울릉도 나리칼데라 부석층에서 산출된 탄화목의 연륜연대 및 수종식별 연구 (A Study on Tree-ring Dating and Speciation of Charcoal found in Pumiceous Deposit of the Quaternary Nari Caldera, Ulleung Island, Korea)

  • 임지현;추창오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6호
    • /
    • pp.501-508
    • /
    • 2015
  • 본 연구는 울릉도 나리칼데라에서 산출된 탄화목의 수종식별, 연륜분석, 방사성탄소 연대를 통해 고식생/고환경, 분출연대 및 화산쇄설물의 정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탄화목은 울릉도 최후기 화산쇄설층을 대표하는 나리테프라층의 최하부(Member N-5) 부석질 퇴적층 내에서 채취되었으며, 나이테의 원형(횡단면)이 잘 보존된 나무의 가지 부분이다. 분석결과, 수종은 소나무과 중 가문비나무속(Picea spp.)으로 식별되었으며 최외각 나이테의 연륜은 $263+{\alpha}$ 년으로 확인되었다. 나이테는 중심(pith)에서 바깥쪽을 향해 그 나이가 점차 젊어지며 $20,260{\pm}230$, $19,995{\pm}245$$19,975{\pm}265cal\;BP$ 의 보정연대를 가진다. 가장 젊은 연대인 19,710 cal BP 는 Member N-5의 분출과 관련된 연대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결과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울릉도 나리칼데라는 가문비나무가 번성하였으며, 한랭 습윤한 기후조건하에 있었음을 지시한다. 광택, 취성, 색 및 조흔색 등의 특성에 기초하면, 탄화를 야기한 화산쇄설물의 최소 온도는 약 $350{\sim}500^{\circ}C$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