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ature anomaly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연안 이상고수온과 저수온의 지속성 기간의 정량화 (Quantifying of the Persistent Period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at the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 서영상;황재동;장이현;강용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7-171
    • /
    • 2001
  • The magnitud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omalies at 13 coastal stations along the Korean peninsula in the summer and winter for the past 29years (1969-1997) are more larger than those in the spring and autumn. The periods of positive SST anomalies (negative SST anomalies) longer than 1$^{\circ}C$ were 75(74.5) month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47.8(51.6) month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69.5(69.8) month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the past 348 months (1969-1997). The predominant periods of the low-pass filtered monthly SST anomalies are 3 years or 13 months, even another predominant period is 24 months. The spatial variation of SST anomalies were confined by regional sea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the East Sea, the South Sea and the West Sea itself.

  • PDF

Structural novelty detection based on sparse autoencoders and control charts

  • Finotti, Rafaelle P.;Gentile, Carmelo;Barbosa, Flavio;Cury, Alexandre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1권5호
    • /
    • pp.647-664
    • /
    • 2022
  • The powerful data mapping capability of computational deep learning methods has been recently explored in academic works to develop strategie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hrough appropriate characterization of dynamic responses. In many cases, these studies concern laboratory prototypes and finite element models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ologies. Therefore, the present work aims to investigate the capability of a deep learning algorithm called Sparse Autoencoder (SAE) specifically focused on detecting structural alterations in real-case studies. The idea is to characterize the dynamic responses via SAE models and, subsequently, to detect the onset of abnormal behavior through the Shewhart T control chart, calculated with SAE extracted features. The anomaly detection approach is exemplified using data from the Z24 bridge, a classical benchmark, and data from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San Vittore bell-tower, Italy. In both cases,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is also evaluated. The proposed approach achieved good performance, detecting structural changes even under temperature variations.

한국 남해의 여름과 겨울철 성층 변동 (Stratification Variation of Summer and Winter in the South Sea of Korea)

  • 이충일;구도형;윤종휘;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5
    • /
    • 2007
  • Simpson and Hunter (974) 의 포텐셜 에너지 anomaly(V)를 이용하여 한국 남해의 여름과 겨울철 성층 변동 및 수온과 염분이 성층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온 및 염분은 국립수산과학원이 1999년 8월, 2000년 2월에 실시한 정선 관측 자료이다. 8월(여름)은 남해의 외해측에서 V 값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2월(겨울)의 경우 연안역 가까운 곳에서 높게 나타났다. 8월은 대기의 가열 현상 및 쓰시마난류의 유입 등이 V 가 증가하는 주요 인자이며, 2월은 대기 냉각 및 남해연안수의 확장이 표 저층간의 성층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 시기에 걸쳐 수온이 염분보다 성층의 세기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8월에는 수온과 염분이 성층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반면, 2월에는 염분이 성층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 PDF

북극진동과 한반도 지표기온 관계의 장기변동성 (Decadal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tic Oscillation and Surface Air Temperature over Korea)

  • 전예준;송강현;손석우
    • 대기
    • /
    • 제31권1호
    • /
    • pp.61-71
    • /
    • 2021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tic Oscillation (AO) and surface air temperature (SAT) over Korea is re-examined using the long-term observation and reanalysis datasets for the period of December 1958 to February 2020. Over the entire period, Korean SA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O index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0.4, only in the boreal winter. It is found that this correlation is not static but changes on the decadal time scale. While the 15-year moving correlations are as high as 0.6 in 1980s and 1990s, they are smaller than 0.3 in the other decades. It is revealed that this decadal variation is partly due to the AO structure change over the North Pacific. In the period of 1980s-1990s, the AO-related sea level pressure fluctuation is strong and well defined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and the related temperature advection effectively changes the winter SAT over Korea. In the other periods, the AO-related circulation anomaly is either weak or mostly confined within the central North Pacific. This result suggests that Korean SAT-AO index relationship, which becomes insignificant in recent decades is highly dependent on mean flow change in the North Pacific.

동중국해에서 하계 표층수온의 변화 분석 (Variation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Summer)

  • 박광섭;이태희;손영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1호
    • /
    • pp.953-968
    • /
    • 2018
  • 본 연구는 동중국해에서 표층수온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2003년부터 2017년까지 15년 동안의 위성 및 모델 재분석 자료를 사용하여 수온, 기온, 그리고 열속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동중국해의 표층수온은 3월에 최저(평균 $13.72^{\circ}C$)를 보이고, 8월에 최고(평균 $28.12^{\circ}C$)를 나타내는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기온은 표층수온의 계절적 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유사한 변화를 나타낸다. 표층수온이 가장 높아지는 8월의 경우 표층수온과 기온의 차이가 줄어들고 표층수온이 상대적으로 기온보다 높아지며 이후 동계까지 지속된다. 동중국해의 하계에서 나타나는 표층수온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8월 표층수온의 이상값을 이용하여 양(04', 06', 07', 13', 16', 17')과 음(03', 05', 08', 09', 10', 11', 12', 14', 15')의 이상값을 가지는 해를 분류하였다. 두 시기의 공통점은 공간적으로 표층수온이 연구해역의 남쪽보다는 북쪽에서, 동쪽보다는 서쪽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변화를 보이고, 기온과 순열속도 이와 유사한 변화를 나타냈다. 그러나 동중국해의 8월 표층수온 변화에서 양의 이상값을 보이는 시기는 음의 이상값을 보이는 시기보다 표층수온과 기온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열속의 값도 상대적으로 증가되었다. 전체 연구기간 중에서 하계 표층수온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기온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만, 표층수온과 기온의 상호관계에서 일반적인 경향과 차이를 나타내는 시기도 있었다(10', 12', 15', 16'). 2010년과 2012년의 8월 표층수온은 기온보다 평균 $0.5^{\circ}C$ 이상 감소되어 나타나는데, 연구해역을 관통한 태풍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2015년의 경우는 표층수온보다 기온의 감소(< $0.5^{\circ}C$)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아시아 하계몬순의 약화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2016년은 연구기간 동안 표층수온과 기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표층수온이 기온보다도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온도 상승(> $1^{\circ}C$)을 보였다. 위성과 열속 자료에서 표층수온의 변화는 중국 기원 장강희석수가 이동하는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나타났고, 이런 원인의 분석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기온 상승에 의한 효과 이외에도 중국 기원 장강희석수의 확장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서 수온이 이상 상승된 것으로 사료된다.

Vertical Structures of Temperature and Ozone Changes in the Stratosphere and Mesosphere during Stratospheric Sudden Warmings

  • Kim, Jeong-Han;Jee, Geonhwa;Choi, Hyesun;Kim, Baek-Min;Kim, Seong-Jo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7권1호
    • /
    • pp.69-75
    • /
    • 2020
  • We analyze the observations of temperature and ozone measured by the Microwave Limb Sounder (MLS) during the period of 2005-2016, to investigate the vertical structures of temperature and ozone in the stratosphere and mesosphere during stratospheric sudden warming (SSW). We compute the height profile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55 height levels of MLS temperature anomalies and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of Whole Atmosphere Community Climate Model simulations for three major SSWs. We also construct the temperature and ozone anomalies for the event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temperature and ozone distributions with height. There seems to always be a relatively weak but broa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anomaly at 10 hPa and temperature anomalies over the entire mesosphere during the period before SSW events. However, this pattern gets stronger in the lower mesosphere but becomes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upper mesosphere and lower thermosphere after the onset of SSW. We also found that the temperatures from the simulations show a similar trend to the observational results but with smaller variations and the transition height from negative to positive correlation in the mesosphere is much lower in the simulation than in the actual observations.

현재와 미래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형태 변화 (Current and Future Changes in the Type of Wintertime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최광용;권원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최근 한반도 겨울철 강수현상에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을 밝히고, 21세기 후반 기후모델(GFDL 2.1)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겨울강수 변화추세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61개 지점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에 따르면, 지난 35년 동안$(1973/74\sim2006/07)$ 우리나라 겨울철($11\sim4$월) 총 강수량은 변화가 없었지만, 강설량은 약 4.3cm/10년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이후 강설일수가 감소하고, 강설강도가 약해지고, 강설계절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설수일율(전체 강수일 수에서 강설일이 차지하는 비율)도 낮아졌다. 이러한 패턴은 겨울철 강수형태가 점차 강설에서 강우의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 형태의 변화는 겨울철 양(+)의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에 의해 한반도 주변의 겨울철 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나타난 기온상승과 관련되어 있다. 1980년대 후반 이후의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압 상승은 한반도 주변의 대기와 해양 온도를 차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대기안정도 증가에 의한 눈구름 형성 감소와 관련된 대기-해양간 온도경도를 감소시켰다. 모델생산 미래$(2081\sim2100)$ 기후자료와 20세기 후반$(1981\sim2000)$ 기후자료 비교 분석 결과, 21세기 말에는 대기 중 온실기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온난화가 강화되어 겨울철 강설기간이 더 짧아지고 강설불가능일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Change the Annual Amplitude of Sea Surface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in a Recent Decad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Han, In-Seong;Lee, Joon-Soo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241
    • /
    • 2020
  • We examined long-term variation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annual amplitudes of SS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wo SST data sets with data periods of approximately 51 years and longer than 100 years, respectively,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and Japan Meteorological Agency. SST of Korean waters clearly increased during last 51 years (1968-2018), which was 2.5 times higher than the global trend. This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was caused by the dominant increasing SST trend during winter. However, a negative and positive SST anomaly frequently appeared during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in a recent decade. These features of seasonal SST variation have changed the annual amplitude of SST, and resulted in a drastically increasing trend after 2009. Using the longer SST data set, it was revealed that the decreasing SST trend in winter began in the 2000s and the increasing SST trend in summer bagan in the 1990s. During a recent decade, there was a distinctive SST increase in summer, whereas a clear decrease in winter. In summary, the annual amplitude of SS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ignificantly changed from a decreasing trend to an increasing trend during a recent decade.

카드뮴이 양서류의 체축 형성에 미치는 독성 효과 (Toxic Effect of Cadmium on the Amphibian Axis Formation)

  • 김윤경;정해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37-42
    • /
    • 1995
  • Effect of cadmium on the early amphibian development was analyzed through FETAX (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 Xenopus). Embryos manifested concentration-dependent mortality and realformations; shortage of anterior-posterior axis gut realformation, ocular anomalies, bent notochord, misshapen dorsal fin, and derreal blisters. The treatment with 1.5ppm cadmium solution caused 100% mortality and concentration of lppm did not kill the embryos that caused 100% anomaly. The teratogenic index (TI = LC50 /EC50) was 2.8 indicating that $CdCl_2$ is teratogenic for Xenopus laevis. Embryos that were pulsetreated with at early to late blastula stage (St. 3-9) and mid to late blastula stage (St. 6-10) showed relatively strong resistance to cadmium, but the embryos treated at gastrula stage (St. 10-13) showed high mortality. And the embryos treated at tailbud stage (after St. 25) showed highest mortality of any other early stages. Effects of temperature were studied through pulse- treatment during gastrula stage at $20^{\circ}C$ and $30^{\circ}C$. The embryos treated with 7.5ppm at $30^{\circ}C$ and 15ppm at $20^{\circ}C$ caused 100% mortality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higher temperature had more severe toxic effect. One of the most peculiar effect of cadmium at gastrulation was distortion of the tail. The probable cause of toxic effect of Cd was discussed.

  • PDF

우리나라 근해의 해수면 온도 및 기온과 강수량과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near Korea and Rainfall/Temperature)

  • 권현한;오태석;안재현;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60-1464
    • /
    • 2006
  • 강수량의 특성 및 계절적인 양상은 지협적인 원인이기 보다는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와 같은 기상 현상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강수량과 같은 수문변량의 장기적인 거동을 기상인자로부터 유추하고자 하는 연구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러한 추론을 바탕으로 강수량의 장기예측 및 모의를 위한 기본적인 도구로 활용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해수면 온도를 기본으로 강수량과 기온의 변동성 및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무엇보다 한반도 근해의 해수면 온도와의 직 간접적인 개연성을 살펴봄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강수량 예측을 위한 하나의 변수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분석 방법 즉, 연주기를 제거하지 않은 자료의 선형적인 지체 상관 분석, 연주기를 제거하기 위해 표준화 된 자료의 지체 상관 분석 및 비모수적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주기를 제거하지 않은 자료의 경우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이는 주로 계절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연주기를 제거한 Anomaly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나 유의성 검토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강수량의 예측을 하나의 변수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나 근해뿐만 아니라 한반도 기상의 연관성을 갖는 타 지역기상인자와의 보다 통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