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practice

검색결과 1,420건 처리시간 0.024초

절차적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한 중학교 컴퓨터 교과용 웹 코스웨어 개발 (Development of Web Coursewares for Middle School Computer Subject Applying Procedural Simulation Skill)

  • 이철현;차재혁;안미리;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11
    • /
    • 2001
  • 컴퓨터 교과는 교과의 특성상 실습 중심의 수업이 강조된다. 이러한 실습 수업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는 열악한 실습 수업 환경을 개선하는 자원의 역할을 한다. 웹 코스웨어는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 및 흥미를 유발시키고 자기 주도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수준 및 요구에 맞는 학습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컴퓨터 교과용 교수-학습 자료로서 15종의 웹 코스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웹 코스웨어는 수업 적용의 다양성 및 교사의 창의적인 교수-학습 자료 개발 유도를 위해 상이한 설계 방식을 갖는다. 또한, 웹 코스웨어 내용 중 실습 부분은 절차적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한 모의 학습의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개별적인 실습을 가능하게 하여 현재와 같은 일 대 다 지도 방식의 실습 환경을 어느 정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지렛대 원리에 따른 중국어 성조 실현과 교육 방법 (A Realization of Tone in Modern Chinese by the Leverage Principle and Its Teaching Strategies)

  • 장호득
    • 비교문화연구
    • /
    • 제30권
    • /
    • pp.259-277
    • /
    • 2013
  • This article covers realization of tone in Modern Chinese by the leverage principle, and then explores its teach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ing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ly, pronouncing Chinese vowels always takes far longer than you anticipate. Secondly, pronounce and practice Chinese vowels with leverage principle. Thirdly, understand and practice the sound change rule of '?'.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The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in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 주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295-313
    • /
    • 2006
  • University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sought for ways of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supply mathematics teachers with practical theor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urrent educational reform in school mathematic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mathematics programs and the ways of how to develop the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as an effective site for learning to teach based on the inquiry into student teachers' own teach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eachers who had taught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seminal meetings with the student teachers in order to supplement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 analysis.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in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es, that is, what and how they had learned as teachers, what kinds of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in their teaching and supports that they expect to improve their learning through teach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programs had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ir development as future mathematics teachers. Specifically,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 the site for learning through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the students teachers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peripherally in educational practice of school. Through the participation, the student teachers develop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career and became to have more solid ideas about how to teach mathematics.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 teachers to participate into the practice of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eacher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eaching at peripheral and legitimate posi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entoring networks to support student teachers to move from a peripheral position toward a center of teaching practice.

  • PDF

제7차 중학교 ‘환경’ 교육과정과 청소년 환경교육 (Midd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pplication to Teen-agers Pract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이민부;박승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14-25
    • /
    • 1998
  • The Quality of human living depends on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region sustaining the life.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the modern society is due to mechanical environmentalism. For the better quality of the life, The changes of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environments are required. These changes of mind are also importa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eenager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ficially anounced December 1998, focuses on the change of attitude to environments and practical behavior in real life for “Environmen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in middle school. Basic elements of the curriculum are cultivation of the pro-environmental thinking, multi-levelling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and encouraging of student participating activity. Actually, the curriculum construction is composed of stepped-levelling of teaching and learning, reasonable contents volume, encouraging of student practice, and suggesting of evaluation standards of textbook writing. Three main subj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consist of (1) man and environment, (2)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3) protection activity for environment. Methodolo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can includ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variable teaching methods, and continuing evaluation of student practice and participation attitud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eenagers relat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cuses on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actice activity in daily life. The recognition includes considering relationship of human life to environment,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regional context, and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concept of the environments. For the practice education, variable teaching methods, such as field survey and application of multi-media, are needed.

  • PDF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와 반응적 교수의 관계:모든 학생의 수학적 사고 계발을 지향하는 수업 상황에서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 김희정;한채린;배미선;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3호
    • /
    • pp.341-363
    • /
    • 2017
  • This case study contributes to the efforts on identify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wher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central in instructional interactions. We firstly conceptualize responsive teaching as a type of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s based on noticing literature, and agree on the claim which teachers' responsive decisions should be accounted in classroom interactional contexts where teacher, students and content are active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uilding on this responsive teaching model, we analyze classroom observation data of a 7th grade teacher who implemented a lesson package specifically designed to respond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alled Formative Assessment Lessons. Our findings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as: (a) noticing on students' current status of mathematical thinking by eliciting and anticipating, (b) noticing on students' potential conceptual development with follow-up questions, and (c) noticing for all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by orchestrating productive discussion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ctual teachable moments in the practice of mathematics teachers and explains what, when and how to support teachers to improve their classroom practice focusing on supporting all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ual development.

두명의 한국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Two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Science in the Republic of Korea: A Phenomenological Analysis)

  • 남윤경;장명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3-101
    • /
    • 2013
  • 이 연구는 두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이 어떻게 한국의 독특한 교육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수업 경험이 그들에게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현상학적 해석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두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수 방법을 선정하며 외부적인 상황 즉 교육과정, 학교정책, 환경, 문화, 학생들의 학습동기등이 어떻게 과학 교사들의 교수 방법, 수업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두 달간 대도시의 한 중학교에서 시행되었으며, 각 참여 교사에 대한 수업 관찰과 수업 관찰 후 이루어진 인터뷰가 주요 데이터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분석, 기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과학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과중한 교과 내용의 양과 제한된 수업 시간등의 외부적 요인들이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신념이나 경험에 상관없이 수업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과학교과 선행학습과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때 나타나는 낮은 학습 동기가 각 교사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교사들의 교수 방법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문제점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남정희;권정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7-5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에서 주관한 중등과학교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의 교사 중 5번의 멘토링 과정을 모두 이행한 6쌍(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 및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녹음본 및 전사본, 멘토링 중간과 사후에 실시한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링 초기와 후기에 실시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수업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인 개념 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멘티교사는 한 차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수업하였으며 발문의 형태는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산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 이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여 실험수업이나 탐구수업 수행 시 힘들어 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업에 학생의 참여가 없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멘티교사들 중 일부는 자신의 교수실행에 대해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한 반성을 하였고 교수실행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같은 문제점을 가진 멘티교사라도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반성을 한멘티교사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학습도우미 시범.실습법이 학생의 과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n How Much Multiple Teaching Assistants affect Students' Study Results and Self-Efficacy)

  • 김복순;김병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4
    • /
    • 2010
  •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컴퓨터교육에서는 실기 위주의 수업방식과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실습 교수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 학습 단점 중 하나인 학생들의 개개인의 다양한 능력차이로 인해 교사의 시연 속도에 맞추어 따라가기 힘든 학생들의 개별 지도 확대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3개 학반을 선정하여 교사주도의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 한명의 학습도우미 활용한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 그리고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세 집단간의 과제수행능력 및 자기효능감, 컴퓨터 학습에 대한 호응도 및 흥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 실습 수업 집단이 과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습도우미 활용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호응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공간을 활용한 예비교사 수업실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a teaching practice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using a virtual space)

  • 박정환;정동욱;김영태;윤성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878-3886
    • /
    • 2011
  • 이 연구는 가상공간과 수업실습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상공간을 활용한 예비교사 수업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예비연구를 통해 가상공간에서의 수업실습 프로그램 개발 목표, 수업실습 팀 편성, 수업실습 조건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예비 연구를 기반으로 최종 개발된 실습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99명의 예비교사에게 이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이 중 46명의 예비교사가 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결과 이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프로그램이 교사양성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학교현장에서의 실제적 수업실습에 연계되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건축설계의 교육과 실천 -이탈리아 두 교수건축가의 사례연구-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Architectural Design A Case-study of Two Professor-Architects in Italy)

  • 김경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183-199
    • /
    • 1992
  •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the teaching and the practice of architectural design in Korean universities has activated this study. Comparison between two professor-architects in Italy through their various activities has been made during the period of 1991-1992 in the Istituto Universitario di Architettura di Venezia. The names of the two professor-architects are Aldo Rossi and Franco Mancuso. Their teaching activities in their architectural design class with their assistants, their background and formation of architectural theory, and two realized (and prized) works of them have been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or oppositions) in their world-view and their attitudes towards architecture, the one as an empiricist, the other as a rationalist. But the most impressive observation must be the fact that all of them were coherent in their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although this raises another qustion about the 'rationality' in archite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