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about problem solving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초

수학적 문제해결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eachers′ Role in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전평국;정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1호
    • /
    • pp.1-1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eachers' role actions in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the teachers'role actions on their students' activities and beliefs about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eachers' role actions brought qualitative differences to students' activities, and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ere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held by their teachers. Therefore,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build up desirable beliefs about problem solving. They should understand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lay proper roles in various situations of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PDF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 (The Middle Grade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 이광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85-400
    • /
    • 2007
  • 이 논문은 전미교사협회에서 제시한 수학의 문제 해결에 대한 기준과 문제 해결 교수에 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에 대하여 연구자가 직접 디자인한 설문을 시험한 연구이다. 이 설문은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신뢰도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 설문에 응답한 중학교 수학 교사 124명의 설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여교사와 남교사는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다른 신념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교사들의 나이는 문제 해결 교수 전략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 재고 (Reconsider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 정은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4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은 어떠했는지를 반추해보기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 초등학교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현재까지 문제해결이 계속 강조되어 왔으나,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교육이 양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가 그 이후 조금씩 약화되고 있으며,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수학적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의 실제 조사 (A Survey on the Teachers' Belief about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eaching Practice)

  • 조완영;김남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1호
    • /
    • pp.51-61
    • /
    • 2000
  •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en the focus of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ver past 30 years. But nowadays problem solving is being beginning to be of less interest to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Moreover, mathematics teachers have an urgent need to be provided with well-documented informations about "teaching of(expecially, via) problem solving" though following research issues :ⅰ) the role of the teacher in a problem-centered classroom, ⅱ) what actually takes place in problem-centered classrooms, and iii) groups and whole classes' problem solving rather than individuals. This paper intends to give some informations about practice of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ry school.

  • PDF

우리나라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연구 (A Study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Korea)

  • 김부윤;이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2호
    • /
    • pp.137-157
    • /
    • 2003
  •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had the largest focus in the spread of mathematical topics since 1980. In Korea, most of the articles on problem solving appeared 1980s and 1990s, during which there were special concerns on this issue. And there is general acceptance of the idea that the famous statement "Problem solving must be the focus of school mathematics"(NCTM, 1980, p.1) in Agenda for Actio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Korea. In a historical review focusing on the problem solv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we can infer that the primary goal of mathematics instruction should be to have students become competence problem solver. However, the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he trends of resear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ve oriented to ′teaching about problem solving′ and ′teaching for problem solving′. The issue of teaching via problem solving′ remain unsolved in the commun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we need much more attention to this issue.

  • PDF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동료 에이전트 시스템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s of Peer Agent System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 한건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1
    • /
    • 2009
  •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교수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동료 에이전트를 개발하였다. 문제해결력에 대한 하위 요소를 학습내용 이해, 문제해결 전략, 자기조절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문제해결력 하위 요소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교수학습 모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료 에이전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동료 에이전트 시스템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한 결과, 전통적 수업 방식이나 동료 프로그래밍 수업 방식에 비해 문제해결력 하위 요소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는 동료 에이전트가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 PDF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수학 영재아 수업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Instruc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through The Application of Open-ended Problem Solving Tasks)

  • 박화영;김수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7-145
    • /
    • 2006
  • 수학 영재들은 타고난 수학적 소질과 적성, 지적인 능력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참신한 과제에 대한 도전적이고 창조적인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영재아들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에 접근하게 하고 전략적 시도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개방적이고 비정형적인 문제를 영재 교육프로그램의 과제로 선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개방형 문제를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영재 학급에서 학습 활동을 전개한 후, 문제해결 과정에서 영재아들의 수학적 사고 능력의 특성과 문제 해결 전략 사례를 분석하여,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재 수업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PDF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주제의 성취 목표 및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chievement Go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roblem Solving' Topic of Informatics Subject)

  • 정인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43-254
    • /
    • 2014
  • 정보화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은 정보 능력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의 습득이며 이러한 핵심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성과 함께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교육 과정을 새롭게 구성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는 정보 교과의 내용 체계에 대한 개정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정보 교육 내용을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스템' 및 '융합 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영역의 '문제 해결' 주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다. 먼저 '문제 해결'의 교육 내용을 '문제 이해 및 분석', '데이터 관리', '문제 해결 전략 수립', '문제 해결 방법 탐색 및 개발' 및 '문제 해결 방법 검토' 등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성취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성취 기준을 도달하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과 평가 방안을 학년군 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제 해결'에 대한 교육과정을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nhancing Student Belief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ffects of a Problem-Solving based Intervention

  • Deng, Feng;Tay, Eng Guan;Toh, Tin Lam;Leong, Yew Hoong;Quek, Khiok Seng;Toh, Pee Choon;Dindyal, Jaguthsing;Ho, Foo H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41
    • /
    • 2015
  •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students tended to hold less satisfactory beliefs about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beliefs about themselves as learners of mathematics, and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d developed curricular interventions to change students' belief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problem-solving curriculum (i.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for Everyone, MProSE) on Singaporean Grade 7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PS). Four classes (n =142) were engaged in ten lessons with each comprising four stages: understand the problem, devise a plan, carry out the plan, and look back. Heuristics and metacognitive control were emphasized dur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ctiviti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ProSE curriculum enabled some students to develop more satisfactory beliefs about MPS. Further path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 MProSE curriculum ar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ir beliefs.

중학생의 환경에 대한 지식, 신념, 태도가 쟁점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Environment on Issue-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s)

  • 정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118-130
    • /
    • 2007
  •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udents'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environment on environmental issue-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Therefore, we first developed the test instruments to measure second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environmental belief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Then,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issue-based teaching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environmental issue-based approach that consist of 3 lesson over an three weeks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beliefs are effective for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 environment class. First, secondary school students knew well ecological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 problem, and was entertaining most ecological beliefs. Seco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having attitude which is most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ird, secondary school students are referring necessity of development partially about environment point at issue of country level. But, they were retaining situation of preservation about environment point at issue of area level. It's not easy to generalize these results because of many different variables, but the results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student's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ability applying environmental issue-based learning. And it's necessary to develop many kind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teacher's instruction method to enrich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issue-based lear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