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f Elementary Teacher)

  • 임재근;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93-101
    • /
    • 2008
  •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session a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who conduct good teaching science subject. Seven teachers' were selected the finalists at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teaching competition. The study was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o prove validity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subject teachers for feedbac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believed that their lesson contents and methods were superior to other teachers.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ir lessons, they are only being made through help from colleagues and personal efforts, and a systematic development was involved with necessary situation. As a plan for enhancing an effective quality enhancement of lessons, open classes and conversation between colleagues were proposed. An organization or a group that can motivate teachers and provide systematic support for quality enhancement of lessons by teachers is needed.

  • PDF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A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 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9-401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교사들의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전문성의 의미와 규준에 대한 고찰하고, 효과적인 수학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이며, 그리고 수학 교과에 대한 전문성 신장의 과정을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수학 교과 전문성은 양질의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수학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 및 이를 통한 학습의 질 향상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들이 수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공유된 비전을 형성해야하며, 수학 교과와 관련된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추어야 하고, 또한 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에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학교과 전문성 프로그램들이 갖고 있는 공통된 특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교사들의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교사들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교사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 이론과 교육 현장의 간극을 줄여줄 수 있는 현장 전문가인 교사 연구자를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합한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을 위한 모델 개발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PDF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eer Coaching

  • Bang, Young-Joo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1-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eer coaching for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study, 12 college teachers in Korea participated in a 10-week program. They were 7 males and 5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4 to 37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Refle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interview data. From the findings, two significant categories of peer coaching were identified: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o peer coaching experience. However, the overriding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data were the benefits of peer coaching. The participants were almost unanimous in their acknowledgement of the advantages of peer coaching, such as reflective support through other's eyes, improved working environments, greater teaching strategies, higher professional self-esteem, and awar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Negative responses also appeared, mostly in regard to the working principles of implementation; the major issues of difficulties were time management, complexities of implementation procedure, stress and personal vulnerability, and relative lack of reflection and feedback skills. Demonstra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owards the peer coaching program, this study provides EFL teachers with useful insights into peer coaching as an effective tool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 PDF

미국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 형성사례 및 교수법 개발에 관한 소고 (An Americ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practice toward student-centered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415-433
    • /
    • 2002
  • The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ty is seeking to change a teacher-centered class-room culture to a student-centered culture. However, the real transition is not easy, even for teachers who are eager and willing to teach differently. The challenge for teachers is to use the social structure of the classrooms to nurture students' development toward mathematical ways of thinking and communicating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cesses. By introducing an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ong with her classroom episodes, this paper is to make strides toward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in which students may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develop conceptual under stand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his paper first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ssroom flow in terms of general social norms and sociomathematical norms in order to explore how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have established such a student-centered math-ematics microculture. This paper then analyzes the teacher's teaching approac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PDF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고찰 : 국외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A stud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mathematics teachers :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 권나영;이은정;박미미;박진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87-40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하여 국내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학교사 연수 현황을 살펴보고, 수학교사 전문성의 개념을 확고히 정립하고 뚜렷한 전략을 지닌 다섯 가지 국외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들을 선정하여 각 프로그램의 목적, 진행 과정, 초점을 두는 요소, 지원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후 각 프로그램의 장단점 및 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환경교육 교수.학습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연수의 실시 및 평가 연구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eaching-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 최돈형;이미옥;윤성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3호
    • /
    • pp.183-19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in- 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development / implement team is formed to deal with the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team is compos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20 teachers were selected to implement the program. Then, through various researches such as interview, monitoring, and survey,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done. After the evaluation, the feedback on the program was collected in order to apply the final adjustments and changes to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training program is designed to include the wide range of theories and real life cases. It focuses on certain topic, and is implemented through workshop type training metho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The major motive of the participants wa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ty in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workshop, 69.1% of the program i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learning theory, and 71.4% i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metho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method is focused on the real life teaching method that could be used in many schools. However, the parts on environmental education philosophy, psychology, and evaluation was not included as a part of the program. Also,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tudents learn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as not introduced as a part of the program as well. It is due to the limited time frame of the training program, as well as its focus on the training method of environmental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results obtained through monitoring, the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successful in terms of focusing the goal of the program arou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learning theor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method, which was the motive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iffered from participants to participants based on their majo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 did not last long enough. The future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background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o have various programs prepared for various groups of people. We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is developed program will be appli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licence training" in the future.

  • PDF

수학 교사 공동체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Teacher Learning Community : Literature Review)

  • 김원;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39-4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사 공동체에 대한 국내·외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그 중 특히 공동체 활동에서 구성원들의 협력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교사 공동체 연구와 실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9년 7월까지 국내 KCI 등재 논문 14편, 국외 SSCI 등재 논문 24편을 대상으로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그리고 교사 공동체에서 협력 의지, 방향,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외 연구들은 통상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연구에서 주목한 주제와 공동체 협력의 특징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연구 주제 측면에서 국내 논문은 공동체 운영과 발달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며 국외 논문은 공동체 활동과 교수 발달, 특히 교수 관행에 집중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구성원들의 협력 양상에서 국내 논문은 지식의 제공과 교수 경험의 공유를 강조하였고, 국외 논문은 경험적 사례와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뿐 아니라 이를 반성하는 과정을 강조하였다는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국내·외 논문에서 교사들이 주체적으로 공동체 활동 내용과 규범을 협의하는 활동에 주목하였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공동체 연구의 방법, 공동체에서 협력 방식, 그리고 교사교육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The Case study of cognition of participan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vailable for science teachers in Timor-Leste)

  • 홍준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43-55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 PDF

Strategies for Successfully Completing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 Kim, Kyeong-Hwa;Morningstar, Mary E.;Erickson, Amy Gaumer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43-51
    • /
    • 2011
  • Recently, increasing deman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ignificant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led to a proliferation of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pite of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s popularity and advantages, research indicates that there is a concern of considerably high dropout rates of online learners. Therefore, to reduce the dropout rates of the learners, this paper is designed to help teachers identify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that are tailored to their needs as well as successfully complete these learning experienc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aper explores the considerations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learners and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Using these evaluations, this paper provides practical strategies for helping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successfully complete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out dropping out an online course.

학습자 이해에 관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사례 분석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73-492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였다. 이차년도인 2008년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 교과의 초임 및 경력교사 각각 3명씩을 대상으로 이들의 수업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 및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초임교사를 위한 수업컨설팅(안)을 '학습자 이해'에 관한 지식 측면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