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t CLA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9초

오일 급여가 돈육의 저장 중 물리ㆍ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Dietary Oils on Physico-Chemical Changes of Pork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송영민;정기화;이성대;김희윤;남기윤;하경희;강양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7-235
    • /
    • 2003
  • 비육후기 돼지 사료에 우지 5%를 첨가하여 급여한 돈육(대조구), 우지 3%와 들깨유 2%를 혼합하여 급여한 돈육(T1), 우지 3%와 오징어유 2%를 급여한 돈육(72), 우지 3%와 CLA 2%를 급여한 돈육(T1)을 1$\pm$1$^{\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육짙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보수력은 처리간에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대조구와 T3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T1과 T2는 14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단백질 용해성은 T3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급여구가 14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육색 분석결과 a*값은 저장 28일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은 반면 b값은 낮게 나타났다. VBN은 T3가 가장 높고 T1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TBARS는 T2와 T3가 대조구와 T1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육의 관능검사 결과 육색과 기호성은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외관은 T1이 나머지 세급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물성유 대체 급여로 돈육의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불포화지방산의 증가로 인해 산화가 촉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항산화제를 함께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CLA 급이가 우럭치어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n Growth of Larval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최병대;강석중;염말구;하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320
    • /
    • 2002
  • 통영을 중심으로 한 우럭생산량은 연간 1,813M/T에 이르고 있으며, 과잉생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려를 개선시키고 기능성 어류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언 성장촉진, 항암, 면역증강, 혈중 LDL 함량 저하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CLA를 이용한 기능성 우럭생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rtemia 영양강화시 CLA를 $0.5\~5.0\%$ 첨가하였을 경우 Artemia중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LA 함량은 높아졌고, 동시에 Artemia 특유의 지방산조성을 나타내어 지방산 대사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주 사육 후 우럭근육 중 n-6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사료에 첨가된 지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3/n-6 PUFA 비가 자연산 우럭의 3.95보다 현저히 낮아 CLA 첨가가 많을수록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배합사료 중의 DHA 첨가가 증가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섭취한 우럭 근육 중 총 CLA 함량은 급이 량에 따라 각각 $6.57\~16.07\%$가 축적되어 CLA는 다른 지질성분과 함께 어체내 대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럭의 성장도, 사료효율, DHA/EPA 비, n-3/n-6 PUFA 비, 활력테스트, 혈액지수 둥을 비교하였을 때 $1.0\%$ CLA 첨가가 적절한 첨가량인 것으로 생각된다.

공액리놀레산 함유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의 rat에 대한 단회 경구투여독성 및 항비만 효과 (Acute Oral Toxicity and Anti-obesity Effect of Diglyceride Preparation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in Rat)

  • 홍순기;박채규;이미자;정신교;이영호;현선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5
    • /
    • 2009
  • 단회 경구 투여 독성 평가를 위해 암 수 rat을 이용하여 시험물질 2,000 mg/kg과 5,000 mg/kg을 투여한 후 14일 동안 관찰한 결과, 투여에 기인한 사망례 및 체중변화, 특이한 일반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암컷 대조군 및 시험물질 2,000 mg/kg 투여군에서 투여 1일에 연변외 점액변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투여에 기인한 일시적인 변화로 사료된다. 투여 2일부터는 암컷 대조군과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특이한 일반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 시 암컷 대조군 및 암 수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투여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육안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컷 대조군 1례의 부검결과, 부고환, 정낭 및 양측 고환에서 소형 소견 관찰되어,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부고환, 정낭 및 고환의 위축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자연 발생적인 소견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공액리놀렌산이 함유된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을 rat에 단회 경구투여한 결과, $LD_50$값이 rat kg당 5,000 mg 이상으로 판단되며, 단회 경구 투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obese Zucker rat에 saline, soybean oil, DG, DG+CLA를 8주간 투여한 후 효과를 비교하였다. 체중변화의 경우 DG+CLA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투여 후 3주째부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체중 감소를 나타냈다. 1일 식이효율측정의 결과, soybean oil, DG 및 DG+CLA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1일 식이 효율의 증가를 나타냈다. 혈중지질분석의 결과, 총콜레스테롤 수치에서 soybean oil, DG 및 DG+CLA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중성지방 수치는 soybean oil 및 DG 투여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지방조직무게 측정 결과, DG+CLA 투여군은 신장주위지방무게를 제외한 부고 환주위지방, 갈색지방 및 내장지방무게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지방조직무게가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obese Zucker rat에 대한 5 mL/kg의 DG+CLA 경구투여는 CLA의 주요 이성질체인 c9, t11-CLA와 t10, c12-CLA가 hormone sensitive lipase와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지방 분해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의 축적을 막으며, 중성지방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 대사에 영향을 주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Milk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ofile and Metabolic Responses of Dairy Cows Fed with High-temperature-micro-time (HTMT) Treated Diets Containing High Quantity Extruded Soybean (ESB)

  • Lee, H.G.;Hong, Z.S.;Wang, J.H.;Xu, C.X.;Jin, Y.C.;Kim, T.K.;Kim, Y.J.;Song, M.K.;Choi, Yun.-Jae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1호
    • /
    • pp.1504-1512
    • /
    • 2009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temperature-micro-time (HTMT) processing of diets containing extruded soybean (ESB) in high quantity on milk fat production, metabolic responses, and the form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trans-vaccenic acid (TVA). Twenty-one multiparous Holstein cows in mid-lactation were blocked according to milk yield in the previous lactation. Cows within each block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normal concentrate or HTMT treated diets containing ESB (7.5% HTMT-ESB and 15% HTMT-ESB).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HTMT-ESB would affect the undegradable fatty acids in the rumen and, thus, would modify the fatty acid profile of milk fat. Both 7.5% and 15% HTMT-ESB did not affect milk yield, fat, protein, lactose and solid-not-fat (SNF), but the proportion of cis-9, trans-11 CLA in milk fa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se treatments. Content of TVA in milk fat was not affected by HTMT-ESB. The HTMT-ESB influenced the fatty acid profile in milk fat,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7.5% and 15% of supplementation. HTMT-ESB feedin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nsulin and glucose, while plasma growth hormone (GH), triglyceride (TG),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and HDLcholesterol were increased by 7.5% and 15% ESB-HTMT supplementa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lasma LDL-cholesterol, insulin like growth factor (IGF)-1, T3, T4, and leptin concentrations among treatments (p>0.05).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cis-9, trans-11 CLA production was increased by HTMT treatment of dietary ESB without reduction of milk fat, and the unchanged milk fat and yield was assu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constant level of thyroid hormones, leptin, and IGF-1.

A new method to detect attacks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using adaptive learning based on cellular learning automata

  • Dogani, Javad;Farahmand, Mahdieh;Daryanavard, Hassan
    • ETRI Journal
    • /
    • 제44권1호
    • /
    • pp.155-167
    • /
    • 2022
  •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 new paradigm that connects physical and virtual objects from various domains such as home automation, industrial processes, human health, and monitoring. IoT sensors receive information from their environment and forward it to their neighboring nodes. However, the large amounts of exchanged data are vulnerable to attacks that reduce the network performance. Most of the previous security methods for IoT have neglected the energy consumption of IoT, thereby affecting the performance and reducing the network lifetime. This paper presents a new multistep routing protocol based on cellular learning automata. The network lifetime is improved by a performance-based adaptive reward and fine parameters. Nodes can vote on the reliability of their neighbors, achieving network reliability and a reasonable level of security. Overall, the proposed method balances the security and reliability with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network.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가 함유된 프레스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

  • 이정일;주영국;강근호;양한술;정진연;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09-120
    • /
    • 2007
  •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으며, CLA- TG는 sodium methoxide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일반적인 프레스햄을 대조구로 설정하고, CLA-TG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4 처리구로 설정하였으며, 첨가되는 등지방 중량에 대하여 처리구별로 5%(처리구 1), 10%(처리구 2), 15%(처리구 3), 20%(처리구 4)를 대체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전단가,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화 및 지방산조성 변화 등을 조사하여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단가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21일까지 대조구가 CLA-TG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단가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항목인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와 CLA-TG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화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CLA-TG 처리구가 낮았으며, 특히 저장 7, 21, 28일째는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화 값의 변화는 대조구와 CLA-TG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TG 처리구가 C14:0~C20:4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은 CLA-TG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TG 처리구에서는 CLA-TG 대체수준이 증가할수록 제품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CLA-TG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CLA-TG의 첨가는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Ruminal Infusion of Garlic Oil on Fermentation Dynamics, Fatty Acid Profile and Abundance of Bacteria Involved in Biohydrogenation in Rumen of Goats

  • Zhu, Zhi;Mao, Shengyong;Zhu, Weiy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7호
    • /
    • pp.962-970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uminal infusion of garlic oil (GO) on fermentation dynamics, fatty acid (FA) profile, and abundance of bacteria involved in biohydrogenation in the rumen. Six wethers fitted with ruminal fistula were assigned to two groups for cross-over design with a 14-d interval. Each 30-d experimental period consisted of a 27-d adaptation and a 3-d sample collection. Goats were fed a basal diet without (control) or with GO ruminal infusion (0.8 g/d). Ruminal contents collected before (0 h) and at 2, 4, 6, 8, and 10 h after morning feeding were used for fermentation analysis, and 0 h samples were further used for FA determination and DNA extraction. Garlic oil had no influence on dry matter intakes of concentrate and hay. During ruminal fermentation, GO had no effects on total VFA concentration and individual VFA molar proportions, whereas GO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nitrogen and microbial crude protein (p<0.05). Compared with control, GO group took a longer time for total VFA concentration and propionate molar proportion to reach their respective maxima after morning feeding. The ratio of acetate to propionate in control reduced sharply after morning feeding, whereas it remained relatively stable in GO group. Fatty acid analysis showed that GO reduced saturated FA proportion (p<0.05), while increasing the proportions of C18, t11-18:1 (TVA), c9,t11-conjugated linoleic acid (c9,t11-CLA), t10,c12-CLA, and polyunsaturated FA (p<0.05). The values of TVA/(c9,t11-CLA+TVA) and C18:0/(TVA+C18:0) were reduced by GO (p<0.05). Real-time PCR showed that GO tended to reduce Butyrivibrio proteoclasticus abundance (p = 0.058), whereas GO had no effect on total abundance of the Butyrivibrio group bacteria. A low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 proteoclasticus abundance and C18:0/(TVA+C18:0) (p = 0.910). The changes of fermentation over time suggested a role of GO in delay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maintaining a relatively modest change of ruminal environment. The inhibitory effects of GO on the final step of biohydrogenation may be related to 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proteoclasticus and other unknown bacteria involved.

Effects of Lactation St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on Milk 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s Content in Dairy Cows

  • Wang, T.;Oh, J.J.;Lim, J.N.;Hong, J.E.;Kim, J.H.;Kim, J.H.;Kang, H.S.;Choi, Y.J.;Lee, H.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89-194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ctation st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on milk 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 in dairy cows. In experiment 1, the milk cis-9, trans-11 CLA content from dairy cows in early ($0.33{\pm}0.014%$), middle ($0.37{\pm}0.010%$), and late stages ($0.44{\pm}0.02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nd the individual contents of the major fatty acids, especially cis-9, trans-11 CLA in cows of the same lactation were also variable. In the second experiment design as a validation test, our results once again showed that the individual contents of cis-9, trans-11 CLA were various, and a difference of about 2-fold (0.55% vs 0.95%) was observed, although the animals were offered same diet.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lactation st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milk cis-9, trans-11 CLA contents.

The Effect of Forage Level and Oil Supplement on Butyrivibrio fibrisolvens and Anaerovibrio lipolytica in Continuous Culture Fermenters

  • Gudla, P.;Ishlak, A.;Abughazaleh, A.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234-239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orage level and oil supplement on selected strains of rumen bacteria believed to be involved in biohydrogenation (BH). A continuous culture system consisting of four fermenters was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with a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ith four 10 d consecutive periods. Treatment diets were: i) high forage diet (70:30 forage to concentrate (dry matter basis); HFC), ii) high forage plus oil supplement (HFO), iii) low forage diet (30:70 forage to concentrate; LFC), and iv) low forage plus oil supplement (LFO). The oil supplement was a blend of fish oil and soybean oil added at 1 and 2 g/100 g dry matter, respectively. Treatment diets were fed for 10 days an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fermenter on the last day of each period 3 h post morning feeding. The concentrations of vaccenic acid (t11C18:1; VA) and c9t11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were greater with the high forage diet while the concentrations of t10 C18:1 and t10c12 CLA were greater with the low forage diet and addition of oil supplement increased their concentrations at both forage levels. The DNA abundance of Anaerovibrio lipolytica, and Butyrivibrio fibrisolvens vaccenic acid subgroup (Butyrivibrio VA) were lower with the low forage diets but not affected by oil supplement. The DNA abundance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stearic acid producer subgroup (Butyrivibrio SA) was not affected by forage level or oil supplement. In conclusion, oil supplement had no effects on the tested rumen bacteria and forage level affected Anaerovibrio lipolytica and Butyrivibrio 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