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wallowing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29초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Effects of a Tongue Self-Resistance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Case Report)

  • 남경완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43-5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을 적용하여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 3주간, 2014년 2월 3주간 각각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였다. VFSS검사 이후 환자의 동의를 받고 매일 1회기씩 주 5회로, 3주 동안 진행하였다. 자발적 혀 저항운동은 혀 내밀기, 혀 옆으로 밀기, 혀로 입천장 밀기로 구성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 당 각각 운동별로 10회를 1세트로 총 3세트를 진행하였다. 결과: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 장애 정도에서 VFS점수가 하강한 것으로 보아 삼킴 기능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FOIS점수가 향상된 것을 바탕으로 구강섭취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환자 스스로 저항을 적용하는 자발적 혀 저항운동을 제공하였을 때 이들의 삼킴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ngu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on Tongue Strength,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문종훈;김희진;강민규;원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05-613
    • /
    • 2016
  •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 18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군은 전통적 삼킴장애 치료를 수행하였고, 실험군은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은 아이오와 구강수행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최대 등척성 혀 근력의 50%, 75%, 100%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두 군은 8주간 주 5회 치료를 받았다. 결과측정은 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이오와 구강수행기구를 사용하여 최대 등척성 혀 근력을 평가하였으며, 삼킴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킴기능 검사로 평가하였다. 삼킴과 관련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킴-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혀 앞 뒤쪽의 근력과 삼킴기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삶의 질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은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과 삼킴기능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하재활치료의 효과와 자연회복과의 비교연구 -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Dysphagia Rehabilitation Therapy with Natural Recovery on Swallowing Ability among Acute Stroke Patients)

  • 허서윤;김광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09-118
    • /
    • 2014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의 회복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연하장애를 가지는 환자(n=98)에서 치료를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실험군과 대조군사이 연하장애 재활치료중재전-후 비교 연구 설계에 의해 실험군(n=52)에는 8주간의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시행하였고 대조군(n=46)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중재 전-후 Video Fluoroscopy Swallowing Study(VFSS),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DOSS), Dysphagia Severity Scale(DSS), Functional Outcome Swallowing Scale(FOSS)로 평가를 하였으며 평가값의 변화량은 paired t-test 및 ANCOVA를 통해 분석 하였다. 실험군의 중재전-중재후의 점수 변화비교에서 DOSS를 제외한 나머지 평가도구에서 연하기능이 회복되었다(p<0.05). 대조군의 전-후의 점수 변화비교에서는 모든 평가도구에서 점수값의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연하기능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5).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2차 평가를 비교한 결과 DOSS를 제외한 나머지 평가도구에서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평균적으로 급성기 8주 동안 연하기능의 회복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세 평가도구 모두에서 유의하게 평가항목간의 점수가 상승하였다. 대상군들의 전-후 검사값의 차를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에서 더 높은 점수의 상승을 보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 신경학적 회복을 시사했다.

  • PDF

직접 삼킴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rect Feeding Intervention on Swallowing Function and Life Quality of Stroke Patients)

  • 박진주;오명화;정현애;정상미;정복희;김승일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283-299
    • /
    • 2016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삼킴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삼킴 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간접 삼킴 치료를 중재한 대조군과 직접 삼킴 치료를 중재한 실험군에 5명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주 5회, 회당 30분씩, 총 8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VFSS를 이용한 CDS, PAS를 중재 전과 4주 후, 8주 후에 평가하였고, 삼킴과 관련된 삶의 질은 SWAL-QOL을 중재 전과 중재 후 2회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삼킴 기능의 집단 내 비교에서는 적용 기간에 따라 대조군은 CDS(p<.05)에서만, 실험군은 CDS, PAS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집단 간 비교에서도 CDS, PAS 모두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집단 내 비교에서는 두 군 모두 적용기간에 따라 삶의 질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p<.05), 집단 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장애 환자에게 중재한 직접 삼킴 치료가 삼킴 기능증진에는 간접 삼킴 치료 보다 더욱 효과적이었지만, 삼킴 장애 환자의 삶의 질은 직접 삼킴 치료와 간접 삼킴 치료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Correlations and Comparison among Swallowing Function,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문종훈;김계호;원영식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265-281
    • /
    • 2016
  •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56명이었다. 결과측정은 기능적 삼키장애 척도(FDS), 미국언어청각협회 삼킴척도(ASHA NOMS),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평가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평가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손상위치에 따른 삼킴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병기간에 따른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나이는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삼킴기능은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인지기능은 식이수준, 일상생활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삼킴재활 치료는 환자들의 특성과 인지기능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에서의 윤상인두근 이완불능증의 진단 및 수술적 치료 1예 (Diagnosis and surgical management of cricopharyngeal achalasia in a dog)

  • 최호정;정성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7-61
    • /
    • 2006
  • A 3-month-old, 2.8 kg, female Cocker spaniel was presented with chronic history of dysphagia since weaning. Video fluo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swallowing problems in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s. It was diagnosed as cricopharyngeal achalasia. Cricopharyngeal and thyropharyngeal myectomy was performed. One day after surgical management, normal swallowing movement was observed in the video fluoroscopic examination of the dog.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for 15 months.

설결손의 재건 후 기능적 예측 인자의 분석 (Analysis of Factors for Satisfying Functional Outcomes in Tongue Reconstruction)

  • 홍현준;이원재;유대현;나동균;탁관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55-260
    • /
    • 2008
  • Purpose: Tongue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of the oral cavity and the ultimate goal in treatment of the cancer is not only complete excision and meticulous closure of the wound, but also, reconstruction of a demensional and functional tongue. Our study focuses on various factors, such as defect size, extent of tumor, age, application of mandibulectomy or radiotherapy, and their influences on postoperative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 Methods: Our study was based on 59 patients who underwent tongue cancer oper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ongue. Speech and swallowing were evaluated according to categories documented by Sultan and Teichgraeber.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s partial glossectomy, hemiglossectomy and total glossectomy groups for evaluation.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ere 51,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 years 2 months. Results: The partial glossectomy group showed statistically relevant results for speech articulation and swallowing abilities compared to the total glossectomy group. In cases of defects involving the mouth floor, the group showed decreased results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mouth floor involvement. Increased age showed decreased postoperative resul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mandibulectomy and radiotherapy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ata. Analysis according to TNM staging resulted in decreased functional result with advanced staging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o summari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unctional outcome in tongue reconstruction, younger patients and early stage cancer with minimal surgical extent revealed more satisfying results while mandibulectomy and radiation did not have influence on our analysis. Addition of various influencing factors and studies with longer follow up periods on our patient groups may provide effective data for more satisfying functional outcomes in the future.

수정된 연하곤란사정도구와 비디오 연하영상 조영술의 흡인 위험 예측비교 (Comparison for Risk Estimate of Aspiration between the Revised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Videofluoroscopy in Post-Stroke Patients)

  • 문경희;손현숙;이은석;백은경;강은주;이승희;한나리;이민혜;김덕용;박창기;유지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9-36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risk estimate of aspiration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Methods: A consecutive series of 210 stroke patients with aspiration symptoms such as cough and dysphagia who had soft or regular diet without tube feeding were examined.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aspiration was compared with videofluoroscopy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analysis. Results: In CART analysis, of 34 factors, the significant factors for estimating risk of aspiration were cough during swallowing, oral stasis, facial symmetry, salivary drooling, and cough after swallowing. The risk estimate error of the revised dysphagia assessment tool was 25.2%, equal to that of videofluoroscop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developed and examined in this study was potentially useful in the clinical field and the primary risk estimating factor was cough during swallowing. Oral stasis, facial symmetry, salivary drooling, cough after swallowing were other significant facto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aspiration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Suitable Food Textures for Videofluoroscopic Studies of Swallowing in Esophageal Cancer Cases to Prevent Aspiration Pneumonia

  • Sonoi, Mika;Kayashita, Jun;Yamagata, Yoshie;Tanimoto, Keiji;Miyamoto, Ken-ichi;Sakurama, Kazufum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259-3263
    • /
    • 2016
  • Aims: To determine suitable food textures for videofluoroscopic study of swallowing (VFSS), in order to predict and prevent subsequent aspiration pneumonia in esophageal cancer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5 hospitalized esophage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3.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3 patients treatmed from January 2010 until December 2011 and were not examined by VFSS. Test foods, which were presented in order of increasing thickness, included thin barium sulfate (Ba) liquid (3 or 10 ml), slightly thickened Ba liquid (3 or 10 ml), a spoonful of Ba jelly, and a spoonful of Ba puree. Results: Patients could most safely swallow puree, followed by jelly. The 3-mL samples of both the thin and thick liquids put patients at risk for aspiration pneumonia, with incidence rates of 13% and 11%, respectively. While 64.4% of patients could swallow all test foods and liquids safely, 35.6% were at risk for aspiration pneumonia when swallowing liquids. Even though >30% of patients were at risk, only 1 (2.2%) in the VFSS group developed aspiration pneumonia, which occurred at the time of admission. Following VFSS, no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was observed. However, aspiration pneumonia occurred in 4 (9.3%) control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Conclusions: Postoperative esophageal cancer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aspirate any kind of liquid than solid foods, such as jellies. VFSS is very useful in determining suitable food textures for postoperative esophageal cancer patients.

신경근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 김정자;이종원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23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treatment intervention by identifying the treatment effect when rehabilitation intervention is applied to patients with dysphagia due to stroke an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medi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the treatment methods and frequenc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30 people diagnosed with dysphagia due to stroke were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treatment mediation techniques and treatment frequency-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coupled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and only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5 times per week group and 2 times per week group, and ten weeks of treatment intervention was performed. Paired t test was employed to show the efficacy of treatment intervention,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ce and number of treatment intervention techniqu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treatment on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coupled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only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5 times per week group and 2 times per week group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 effect between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coupled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and only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 effect between 5 times per week group and 2 times per week group (p<0.05).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chnique or number of treatments of swallowing rehabilitation treatment interventions, but it was confirmed that 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dysphagia showed positive treatment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