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chemical treatment

검색결과 1,648건 처리시간 0.033초

상토에서 점토광물 일라이트 (illite) 처리에 따른 방울토마토 생육 효과 (Effect of the Clay Mineral Illite on the Growth of Cherry Tomato in the Bed Soil)

  • 김희정;김홍기;권상문;이석언;우선희;박만;정근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2-328
    • /
    • 2010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lay mineral illite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cherry tomato (Hongjak) as affected by the forms and concentrations of illite using the bed soil in the glass house. The composition of illite was analyzed by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cherry tomato was cultivated in the bed soil in the glass house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or 10 weeks of total duration. The application rates of illite used as particulate and powder forms were standard 1:20 (w/w), two times 1:10 (w/w), four times 1:5 (w/w) of standard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surface of illite used in the study appeared to be hexagonal sheet and it included K and the variety of other elements. The growth lengths of cherry tomato were 11-23% greater in the pots treated than in the untreated pot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major cations, K, Ca, and Mg from the cherry tomato the amounts of K taken in the leaf and stem of the cherry tomato were 8-45% and 3-30% greater than untreated pots, respectively. The amount of Ca in the leaf and stem taken up by the cherry tomato were 6-39% and 11-40% greater than untreated pots, respectively. The amounts of Mg in the leaf and stem taken up by the cherry tomato were 17-62% and 19-54% greater than untreated pots, respe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for the amount of cations, such as K, Ca, and Mg taken up by cherry tomato in treated and untreated bed soil, it appears that the illite treatment enhanced the early growth of cherry tomato.

교정 치료 환자에 있어 항균 varnish 처치 전후의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 균주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CE IN CONCENTRATION OF SALIVARY STREPTOCOCCUS MUTAN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VARNISH CONTAINING CHLORHEXIDINE IN ORTHODONTIC PATIENTS)

  • 장영일;김태우;정종평;남동석;양원식;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59-672
    • /
    • 1994
  •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dental diseases in Korea and its prevention is very important in orthodontic therapy. For the cleansing action of saliva itself and/or tooth-brushing is lowered in patient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 oral hygiene of the patient becomes worse, which provides more favorable environment for micro-organisms. Chlorhexidine, one of the series of bisguanide, has been reported to be strong antimicrobial agent and very effective on Streptococcus mut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hlorhexidine as a anticariogenic agent in fixed orthodontic therapy. We used the varnish containing chlorhexidine as a main ingredient for the chemical control of salivary S.mutans in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therapy We applied the varnish containing chlorhexidine on the labial and interproximal surface of the teeth before bonding and banding teeth of our patients(N=20) and compared to control group patients(N=20). Before the application of chlorhexidine varnish and four times periodically after the completion of fixed appliance set-up, we sampled saliva of both group patients and incuvate S.mutans for 24 hours. In the culture study of sampled saliva, counting the number of S.mutans colonies, we founded as follows : 1. In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therapy, the risk of dental caries increase when it compared to that of preorthodontic treatment ; The number of salivary S.mutans increase in Patient's oral cavity. 2. The experimental agent that contain chlorhexidine is effective to reduce the number of salivary S.mutans. 3. For the effect of this agent is not ever-lasting, periodical application is needed, and additional study for economical interval and number of application is needed.

  • PDF

골판지 고지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강도향상 (Strength Property Improvement of OCC-based Paper by Various Mechanical and Chemical Treatments of its Fiber)

  • 서영범;이종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21-30
    • /
    • 1999
  • 본 연구는 골판지고지의 가장 중요한 물성인 강도적 성질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섬유의 전처리 방법으로서 Hobart mixer를 사용하여 섬유 내부의 결합제거 및 섬유표면에 Microcompression을 형성하여 개질처리 하였으며, 4가지 방법의 고해방법(Valley beater, Kady mill, Impact refining)을 채택하여 골판지고지의 최적고해 방법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섬유장감소를 적게 유발하는 고해방법으로는 Kady mill과 PFI mill의 고해방법 이었으며 고해시 Curl을 펴주는 고해방법을 Kady mell과 Valley beater의 고해방법이 적절하였다. 2. 열단장은 Valley beating의 고해방법에 의하여 강도가 가장 많이 증가되었으며 인열강도는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섬유전처리를 한 Comp-1과 Comp-2는 고해방식과 상관없이 열단장을 전체적으로 약 10% 증대시켰다. 3. 인열강도는 Comp-1, Comp-2의 전처리방법과 PFI mill 고해로 증대할수 있었다. 4. 파열강도는 Comp-1, Comp-2의 전처리방법과 Valley beater 고해로 증대할수 있었다. 5. 인열강도를 우지한채로 열단장을 가장 높이는 방법은 섬유전처리 방식인 Comp-1이나 Comp-2를 사용하여 Valley beating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최신 근관 세척 방법과 기구에 대한 고찰 (Review of root canal irrigant delivery techniques and devices)

  • 유연지;신수정;백승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180-187
    • /
    • 2011
  • 서론: 근관 치료의 성공을 위해 근관계 내에 남아있는 조직 잔사와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충분한 근관 형성과 근관 세척을 하더라도 근관의 복잡한 형태로 인하여 근관 내 박테리아의 biofilm이나 괴사된 치수 조직이 남아 있게 된다. 근래 보다 효과적으로 근관 세척을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과 근관 세척을 위한 기구들이 개발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근관 치료 영역에서 사용되는 근관 세척 방법과 기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론: 아래와 같은 기구와 방법이 논의된다. - syringe-needle irrigation, manual dynamic irrigation, brushes - sonic and ultrasonic irrigation,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rotary brush, RinsEndo, EndoVac, Laser 결론: 최근 근관 세척을 위한 기구와 세정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syringe와 needle을 이용한 근관 세척법과 ultrasonic을 이용한 근관 세척법을 제외하고는 새로 개발된 많은 기구들의 임상적 치료 결과의 향상에 대한 근거 중심 연구가 아직은 부족하며, 어떠한 기구나 장치도 근관 내 잔사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는 없다. 효과적인 근관 세척을 위해서는 적절한 근관 세척제의 선택과 함께, 근관 세척제를 근관장까지 충분한 양이 도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근관 세척 기구와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녹비작물 환원 시 Glomalin 함량에 따른 토양물리성 및 벼 수량 변화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by Glomalin Concentration and Rice Yield using Different Green Manure Crops in Paddy)

  • 전원태;성기영;김민태;오계정;오인석;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9-123
    • /
    • 2010
  • 녹비작물 헤어리베치, 보리, 호밀을 이용하여 벼 재배 시에 토양 물리성, glomalin 함량 및 벼 수량 변화를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보리와 호밀은 10a 당 질소와 인산을 각각 6.3 kg과 3.2 kg을 시용하였고 헤어리베치는 화학비료 시용 없이 벼를 재배하였다. 시험장소는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국립식량과학원 벼연구포장인 신흥통에서 중생종인 풍미벼를 재배하였다. 녹비작물 이용 벼 수확 후 토심 10-20cm에서의 토양물리성이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0-10cm에서 용적 밀도가 감소하고 공극룰이 증가하였다.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용적밀도와 공극률이 뚜렷이 개선되었다. 내수성 입단화율은 모든 녹비투입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Glomalin의 함량은 1모작 관행시비구에 비하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헤어리베치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심토에서는 헤어리베치와 같이 보리 시용구에서도 증가되었다. Glomalin 함량과 내수성입단화율이 정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토양탄소함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벼 수량은 관행시비한 1모작에 비하여 보리+화학비료 시비구는 비슷하였으나 호밀+화학비료 투입구는 낮았다. 화학비료를 전혀 투입하지 않은 헤어리베치구의 벼 수량은 포장도복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논토양에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 이용 벼 재배 시 토양의 물리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투입량, 본답 물관리 등에 유의해야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Vortex Screen장치를 이용한 강우유출수내 미세입자 처리특성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Vortex Screen for Treatment of Fine Particles in Storm Runoff)

  • 이준호;정윤희;방기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6-262
    • /
    • 2009
  • 도시지역 비점오염부하를 저감하는 장치 중에서 수리동력학적 분리장치(HDS)는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DS장치 유형 중에서 Vortex Screen 장치를 실험실 규모로 개발 및 제작하여 강우유출수 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내 입자물질을 모의하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맨홀 바닥 퇴적물질, 도로변 측구의 퇴적물질, 소각장 fly ash, polyvinyl chloride (PVC)분말 등의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입유량의 변화를 주었을 때 처리장치 본체에서 약 2분이 경과한 후 안정된 상태에서 유입수와 유출수 시료를 동시에 채수하였다. 수면적부하율은 110∼1,550 $m^3/m^2$ day의 범위로 운전하였으며, 유입수 SS농도의 범위는 141~1,986 mg/L로 하였다. Vortex Screen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경과 밀도들 가진 입자들을 대상으로 수면적부하율과 하부배출유량비를 운전조건으로 하여 처리특성을 분석한 결과 제거효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월류유량에 대한 하부배출유량 비율($Q_U/Q_O$), $Q_U/Q_O$값이 10%에서 20% 증가 시 SS 제거효율은 6%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도시지역의 대표적인 입경을 가진 퇴적물질 125<$d_p$<300 ${\mu}m$를 대상으로 처리능을 분석한 결과 SS, COD 제거효율 범위는 각각 68.0~ 81.0%, 53.1~71.9%를 나타내었다. 수면적 부하율이 증가함에 따라 처리효율은 유입부 유도판을 설치한 경우가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10~20%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지형 막 분리 활성슬러지법에서 막의 재질 및 구조가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mbrane Material and Structure on Fouling of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 최재훈;김형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36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하수 처리를 위한 침지형 막 분리 활성슬러지법(membrane bioreactor: MBR) 시스템에서 막 재질 및 구조가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olytetrafluoroethylene(PTFE), polycarbonate(PCTE) 및 polyester(PETE)의 정밀여과 막(기공크기: 0.1 $\mu$m)을 사용하였다. 120일의 운전기간 동안 PETE막 여과속도는 다른 막들에 비해 가장 빠른 감소경향을 보였으나, 화학세정을 할수록 점차 PCTE 및 PTFE막과 유사한 여과속도 감소경향을 보였다. PETE막의 유기물 제거율이 다른 막들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막의 빠른 파울링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조내 슬러지 상징액 및 막 여과수에 존재하는 DOC성분을 친수성 및 소수성으로 분획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막의 친수성/소수성이 MBR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울링이 발생한 막들의 각종 여과저항 값을 분석한 결과, PETE막은 비가역적 파울링에 의한 영향이 다른 막들에 비하여 컸으며, 유기물 제거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LABORATORY STUDIES ON MIC OF AISI TYPE 304 STAINLESS STEEL USING BACTERIA ISOLATED FROM A W ASTEWATER TREATMENT SYSTEM

  • Sreekumari, Kurissery R.;Kyozo, Hirotani;Katsuya, Akamatsu;Takashi, Imamichi;Yasushi, Kikuchi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elding/Joining Conference-Korea
    • /
    • pp.260-265
    • /
    • 2002
  • Microbiologically influenced Corrosion (MIC) is one of the most deleterious effects of metal microbe interactions. When a fresh metal surface comes in contact with a non-sterile fluid, biofilm formation is ensued. This might result in the initiation of corrosion. The sites and materials where MIC is implicated are versatile. Industries such as shipping, power generation, chemical etc are reported to be affected. The rapid and unexpected failure of AISI type 304 stainless steel was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by simulation studies for a period of 4 months. Slime and water samples from the failure site were screened for corrosion causing bacteria. Both aerobic and anaerobic nora were enumerated and identified using PCR techniques. Pseudomonas sp. and Bacillus sp. were the most common 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the water and slime samples, whilst sulfate reducing bacteria (SRB) were the major anaerobic bacteria. The aerobic bacteria were used for the corrosion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Coupon exposure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a very dilute (0.1%V/V) nutrient broth medium. The coupons after retrieval were observ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or the presence of MIC pits. Compared to sterile controls, metal coupons exposed to Pseudomonas sp and Bacillus sp. showed the initiation of severe pitting corrosion. However, amongst these two strains, Psudomonas sp. caused pits in a very short span of 14 days. Towards the end of the experiment, severe pitting was observed in both the cases. The detailed observation of pits showed they vary both in number and shapes. Whilst the coupons exposed to Bacillus sp. showed widely spread scales like pits, those exposed to Pseudomonas sp. showed smaller and circular pits, which had grown in number and size by the end of the experi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inferred that the rapid and unexpected failure of 304 SS might be due to MIC. Pseudonwnas sp. could be considered as the major responsible bacteria that could initiate pits in the metallic structures. As the appearance of pits was different in both the tested strains, it was thought that the mechanisms of pit formation are different. Experiments on these lines are being continued.

  • PDF

활성탄에 의한 Acid Red 66의 흡착에 대한 등온선, 동력학 및 열역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Isotherm, Kinetic and Thermodynamic Parameters for the Adsorption of Acid Red 66 by Activated Carbon)

  • 이종집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30-38
    • /
    • 2020
  • 입상 활성탄에 대한 Acid Red 66의 흡착 등온선과 동력학적, 열역학적 파라미터에 대해 염료의 초기농도, 접촉시간, 온도를 흡착변수로 하여 조사하였다. 흡착평형자료는 Langmuir, Freundlich, Temkin, Redlich-Peterson 및 Temkin 등온흡착식에 적용하였다. Freundlich 등온흡착식이 가장 잘 맞았으며, 계산된 Freundlich 분리계수 값(1/n = 0.125 ~ 0.232)으로부터 입상 활성탄이 Acid Red 66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emkin의 흡착열관련상수(BT = 2.147 ~ 2.562 J mol-1)는 이 공정이 물리흡착임을 나타냈다. 동력학적 실험으로부터 흡착공정은 유사 이차 반응속도식에 잘 맞았다. 입자 내 확산식에 대한 결과는 경계층 확산을 나타내는 첫 번째 직선의 기울기보다 입자내 확산을 나타내는 두 번째 직선의 기울기가 작게 나타나서 입자 내 확산이 율속단계인 것을 확인하였다. 열역학 실험으로부터 활성화 에너지는 35.23 kJ mol-1로 흡착공정이 물리흡착공임을 확인하였다. Gibbs 자유에너지 변화(ΔG = -0.548 ~ -7.802 kJ mol-1)와 엔탈피 변화(ΔH = +109.112 kJ mol-1)은 각각 흡착공정이 자발적 공정 및 흡열과정임을 나타내었다. 등량흡착열은 흡착된 염료분자들의 측면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표면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IBC형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p-a-Si:H 증착층의 파이버 레이저 가공에 관한 연구 (Study on Fiber Laser Annealing of p-a-Si:H Deposition Layer for the Fabrication of Interdigitated Back Contact Solar Cells)

  • 김성철;이영석;한규민;문인용;권태영;경도현;김영국;허종규;윤기찬;이준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430-430
    • /
    • 2008
  • Using multi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 (Multi-PECVD), p-a-Si:H deposition layer as a $p^+$ region which was annealed by laser (Q-switched fiber laser, $\lambda$ = 1064 nm) on an n-type single crystalline Si (100) plane circle wafer was prepared as new doping method for single crystalline interdigitated back contact (IBC) solar cells. As lots of earlier studies implemented, most cases dealt with the excimer (excited dimer) laserannealing or crystallization of boron with the ultraviolet wavelength range and $10^{-9}$ sec pulse duration. In this study, the Q-switched fiber laser which has higher power, longer wavelength of infrared range ($\lambda$ = 1064 nm) and longer pulse duration of $10^{-8}$ sec than excimer laser was introduced for uniformly deposited p-a-Si:H layer to be annealed and to make sheet resistance expectable as an important process for IBC solar cell $p^+$ layer on a polished n-type Si circle wafer. A $525{\mu}m$ thick n-type Si semiconductor circle wafer of (100) plane which was dipped in a buffered hydrofluoric acid solution for 30 seconds was mounted on the Multi-PECVD system for p-a-Si:H deposition layer with the ratio of $SiH_4:H_2:B_2H_6$ = 30:120:30, at $200^{\circ}C$, 50 W power, 0.2 Torr pressure for 20 minutes. 15 mm $\times$ 15 mm size laser cut samples were annealed by fiber laser with different sets of power levels and frequencie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lifetime measurement and sheet resistance relation, the laser condition set of 50 mm/s of mark speed, 160 kHz of period, 21 % of power level with continuous wave mode of scanner lens showed the features of small difference of lifetime and lowering sheet resistance than before the fiber laser treatment with not much surface damages. Diode level device was made to confirm these experimental results by measuring C-V, I-V characteristics. Uniform and expectable boron doped layer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predict the efficiency during the fabricating process of IBC solar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