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7초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62-169
    • /
    • 2010
  • 도화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도화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500ppm에서 90.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BHT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40.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 ppm에서 vitamin C와 유사한 30.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열수 추출물에 비해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 효과 측정으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에서 3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acrophage 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추출물 모든 농도에서 12시간 이후부터 NO 생성량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염증 유발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Propionibacterium acnes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Antioxidant an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northern shrimp (Pandalus borealis) by-products hydrolysate by enzymatic hydrolysis

  • Kim, Sang-Bo;Yoon, Na Young;Shim, Kil-Bo;Lim, Chi-W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29.1-29.6
    • /
    • 2016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o the antioxidant an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northern shrimp (Pandalus borealis) by-products (PBB) hydrolysates prepared by enzymatic hydrolysis. The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five enzymatic hydrolysates (alcalase, protamex, flavourzyme, papain, and trypsin) of PBB were evaluated by the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reducing power and Li's method for ACE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PBB hydrolysates, the protamex hydrolysate exhibited the most potent ACE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 of $0.08{\pm}0.00mg/mL$. The PBB protamex hydrolysate was fractionated by two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3 and 10 kDa (below 3 kDa, between 3 and 10 kDa, and above 10 kDa). These three fractions were evaluated for the total amino acids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Among these fractions, the < 3 kDa and 3-10 kDa fractions showed more poten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at of > 10 kDa fraction, while the > 10 kDa fraction exhibited the significant reducing power than others. In addition, 3-10 kDa and > 10 kDa fractions showed the significant ACE inhibitory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high molecular weight enzymatic hydrolysate derived from PBB could be used for control oxidative stress and prevent hypertension.

사물탕 재료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능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amultang Ingredient Extracts)

  • 최미애;김미림;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2-5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Here, Samultang ingredients (Rehmannia glutinosa, Cnidium officinale, Paeonia lactiflora and Angelica giga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and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test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were found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aeonia lactiflora (100 g) at 843.2 mg and 721.1 mg, respectively (p<0.05). The ethanol extract of Cnidium officinale demonstra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and that from Paeonia lactiflora against S. aureu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the water extracts ranged from 67 to 84%, and those of the ethanol extracts ranged from 68 to 84% at 1,000 ppm.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s ranged from 47 to 50%, and those of the ethanol extracts ranged from 50 to 56% at 1,000 ppm.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of the water extracts at 1,000 ppm of the water extracts ranged from 30 to 49%, and those of the ethanol extracts ranged from 42 to 54% at pH 1.2, respectively. The NSAs of the extracts were highest at pH 1.2, and then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The highest levels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ccurred with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aeonia lactiflora, which ha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among the Samultang ingredients. Over all, the ethanol extracts of the Samultang ingredients had higher activities than the water extracts. Considering the combined results, one can conclude that Samultang ingredient extracts would be useful as natural preservatives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산벚나무 수피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페놀성 화합물 분리 (Biological Activity Investigation, and Phenol Compounds Isolation from Barks of Prunus Sargentii R.)

  • 박정미;이진영;박태순;박근혜;박강수;김태훈;조영제;권오준;최경임;안봉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3-182
    • /
    • 2008
  • Prunus sargentii of Rosaceae familiy, has been reported to hav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n these fac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pharmaceutical activities of the bark extracts P. sargentii.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raction (Fr) -5${\sim}$10 isolated from P. sargentii was higher than 80% respectively at 10ppm.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Fr-5, 9 were about 97, 84%, respectively at 1,000 ppm.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Fr-9, 10 were about 75, 78%, respectively at 1,000 ppm.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related to skin-whitening was 72, 68% in Fr-2, 9 isolated from Prunus sargentii R. at 1,000 ppm.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y related to the anti-inflammation effect was 98% for Fr-8 at 500 ppm. Isolation of the methanol soluble fraction from P. sargentii yielded two major phenol compounds, (-)-epicatechin and taxifolin.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certainly determined by chemical analyses, as well as NMR and Mass spectroscop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a search for new cosmetic material from the bark from P. sargentii. and, (-)-epicatechin and taxifolin were isolated as active principles. So P. sargentii R. methanolic extracts may be used for the cosmetic material.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Ascidian shell Extract Using Zebrafish model

  • Park, Sin-Ho;Kim, Bo-Ae;Yang, Jae-Cha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58-268
    • /
    • 2019
  • The extracts of AS contain in alloxanthin, halocynthiaxanthin, astaxanthin and 13 kinds of carotenoid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viability of A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by using DPPH radical inhibition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The results of cell viability assay showed that the extracts from AS were cytotoxic at concentrations above $5.0mg/m{\ell}$.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nflammation induced by LPS, protection effect by UVB and the toxicity of Ascidian shell extract(ASE)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Evaluation of embryo toxicity resulted in embryo coagulation and mortality when treated at 5.0, 10.0, $20.0mg/m{\ell}$. At the lowest concentration of $1.0mg/m{\ell}$, hatchability resulted in 100.0 % rate. The results of arrhythmia measurement in larvae showed similarity to the evaluation of embryo toxicity.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oxicity is present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5.0mg/m{\ell}$. The protective effect of ASE on LPS and UVB-induced in the zebrafish was investigat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ROS) generated by the exposure of zebrafish to LPS, UVB-radi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ASE at $0.1mg/m{\ell}$. As a result, ASE similarly reduced UVB-induced ROS generation and cell death in live zebrafsih.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SE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can possibly be used as a functional substance for skin protection in the future.

솔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Pine Bud (Pinus densiflora))

  • 조은경;정보림;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73-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2 mg/mL에서 71.4%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2 mg/mL 농도에서 85.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2 mg/mL에서 70.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순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H 1.2와 3.0에서 53~59%, pH 6.0에서 4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항고 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 captopril과 비교분석 하였는데, 0.1 mg/mL에서 93.0%였고 같은 농도의 솔순 열수 추출물은 14.6%의 낮은 저해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1 mg/mL에서 44.7%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솔순 열수 추출물의 비교적 양호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혈당강하능의 지표로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솔순 열수 추출물 3 mg/mL의 농도에서 43.3%의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 예방 효과의 지표로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59.6%의 저해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솔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는 것으로 천연의 건강 및 미용 소재로써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 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75-1682
    • /
    • 2010
  • 해조류 감태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감태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O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높은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는 BHA, VitC, catechin의 활성보다 높거나 유사하게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 positive control인 VitC와 감태 열수 추출물은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pH 1.2에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VitC 보다 약간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감태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은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능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미용효능은 tyrosinase와 elastaase 억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Tyrosinase 저해능 분석에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1 mg/ml의 농도에서 65%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8%의 저해효능을 보였다. 비록, 그 효능이 충분히 높지는 않지만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므로 충분한 미백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감태 열수 추출물 0.5 mg/ml에서 38%, 1 mg/ml에서 44%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Positive control로 elastase 저해 활성 효과가 알려진 VitC는 1 mg/ml의 농도에서 36%의 저해활성이 나타났고 elastase 활성저해제인 oleanolic acid는 농도 0.5 mg/ml에서 elastase를 32% 정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름 예방 효능에 있어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기능성이 예상된다.

마카 추출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Maca (Lepidium meyenii) Extracts)

  • 권윤숙;전인숙;황진현;임동민;강용수;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17-823
    • /
    • 2009
  • 본 실험에서는 마카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카분말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고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6.57%, 12.83%, 1.05%, 4.80 및 74.75%로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물을 사용할 경우 46.2%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으로 추출하는 것보다 약 $2{\sim}200$배 높게 나타났다. 추출용매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액에서 328.68 mg/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메탄올 추출액이 52.36%로 가장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물 추출액이 77.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적의 추출용매로 물을 선정하였고 물 추출 온도(30, 70, $100^{\circ}C$)와 시간(1, 3, 5시간)을 달리하여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3시간 또는 5시간 추출할 때 총 폴리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이 다른 조건에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의 효율적 측면을 고려하여 마카분말을 $100^{\circ}C$에서 3시간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막걸리 열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 조은경;김희연;변현지;김수원;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68-774
    • /
    • 2010
  • 전통발효주 막걸리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S사막걸리로부터 구입한 막걸리 침전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10 mg/ml에서 48.0%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98.7%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0.1 mg/ml에서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 10 mg/ml에서는 74.0%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1 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4~64%, pH 6.0에서는 45%의 소거능을 보인반면,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51~42%, pH 6.0에서는 2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막걸리 침전물의 우수한 기능성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표고버섯 추출물의 화장품약리활성 검증과 천연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smeceutical Activities from Lentinula edodes extracts and Application a Natural Cosmetic Material)

  • 서명성;장영아;이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03-1012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써 표고버섯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표고버섯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표고버섯을 열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농도 (100, 500, 1000) ${\mu}g/ml$ 에 따라 처리하여 항산화 실험인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2'-azino-bis ( 3-ethylbenzothiazoline - 6-sulph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과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식세포(Raw 264.7)를 이용해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표고버섯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과 SOD유사활성 측정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결과로는 표고버섯 추출물의 10, 25, $50{\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에 따르면 표고버섯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됨을 보아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고버섯은 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 $PGE_2$, $IL-1{\beta}$의 활성을 낮추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최고농도인 $25{\mu}g/ml$ 에서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표고버섯의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