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ite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시판 건 해산물 중 아황산염류 함량 조사 (Sulfites Contents Survey on Dried Marine Products in Market)

  • 함희진;김무상;최병현;김명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0-385
    • /
    • 1999
  • 서울시내 건 해산물 도매시장인 중부시장으로 반입되는 국내산, 수입산 건 해산물에 대한 아황산염류 함량을 조사 한 결과 30ppm이상을 함유하는 검체가 0.29%(8/2770)이었고, 명태알포 1 건에서 195.3ppm, 중국산 쥐치포 1 건에서 114.2ppm 그리고 베트남산 쥐치포 6건에서 130.2∼573.4ppm으로 모니어-월리암스 변법에 의한 검사 결과 나타났다. 아연분말 환원법에 의한 간이 검사 결과에서는 이황산염류 함량 1-30ppm인 경우가 전체 2,710건 가운데 259건으로 9.35%를 차지하였고, 품목별로는 건 새우 93 건, 쥐치포 53 건, 건 오징어 34건, 명태채 및 건어채 33건 그리고 홍합 살 17건 등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이들 품목들의 가공에 아황산염류가 갈변방지와 방부 목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건 해산물에 대한 아황산염류 등 첨가물 검사가 강화되어야 하며 특히, 수입산 건 해산물에 대한 검사가 더욱 더 강화되어야만 안전한 건 해산물이 시민에게 공급될 수 있으리라고 보여진다.

  • PDF

Determining Method of Sulfites in Foods by Ion Chromatography

  • Kim, Myung-Hee;Chae, Young-Zoo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11-215
    • /
    • 1988
  • 아황산염류는 표백, 살균, 간별 방지 및 황산화 등의 목적으로 식품첨가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황산염류의 시험 방법은 우리나라 보사부의 공정시험으로 지정된 적정법과 비색법 이외도 GLC, HPLC, AAS 등을 이용한 많은 분석방법들이 연구되어 왔으나 그 정밀도, 검출한계, 안정성 등에 많은 문제가 있다. 이에 저자 등은 IC를 이용하여 아황산염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C를 이용하여 $SO_2^{-2}$로서 0.2ppm까지 검출할 수 있었으며 분석기산은 20분 이내였다. 2) 흡수액은 아호아산이온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3% $H_2O_2$을 사용함으로써 안정한 황산이온으로 산화시켜 정량하였다. 3) 증류수에 표준액을 첨가한 후 증류하여 측정한 회수율은 99.8%로 양호하였으나 실제 식품에 첨가한 경우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회수율의 차이가 있었다.

  • PDF

시판 건 해초류(미역, 김, 다시마 등) 중 아황산염류 함량 조사 (Sulfates Contents Survey on Dried Seaweeds in Market)

  • 함희진;김무상;김명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0-343
    • /
    • 2000
  • 서울시내 건 해산물 도매시장인 중부시장으로 반입되는 건 해조류에 대한 아황산염류 함량을 조사한 결과 30ppm 이상을 함유하는 검체가 0.19%(2/1063)이었고, 건 미역 2건에서 171.4ppm. 295.7ppm으로 모니어-월리암스 변법에 의한 검사 결과 나타났다. 아연분말 환원법에 의한 간이 검사 결과에서는 아황산염류 함량 1-30ppm인 경우가 전체 1063건 가운데 54건으로 5.08%를 차지하였고, 품목별로는 김 28건, 건 미역 27건 그리고 다시마 2건에서 단응을 보여 이들 품목들의 가공에 아황산염류가 문제시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앞으로도 건 해조류에 대한 아황산염류 등 첨가물 검사가 강화되어야만 안전한 건 해조류가 시민에게 공급될 수 있으리라고 보여진다.

  • PDF

감자 Polyphenol Oxidase의 효소학적 성질 및 아황산염에 의한 활성억제 효과 (Some Properties of the Polyphenol Oxidase from Potatoes (Solanum tubersum L.) and Inhibiting Effect of the Polyphenol Oxidase by Sulfites)

  • 하영득;이미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8-204
    • /
    • 1988
  • 감자의 polyphenol oxidase에 의한 효소적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작(Solanum tuberosum L.)으로부터 polyphenol oxidase 를 분리하고 조정제하여 그것의 일반적인 성질을 조사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품첨가물로 인정된 아황산염에 의한 활성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남작 감자 polyphenol oxidase(E.C.1.10.3.1)의 최적 pH는 6.5이었다. 본 효소의 최적온도는 $37^{\circ}C$이었다. 본 효소의 pH에 대한 안정성은 측정 결과, pH5에서 가장 컸으며, $pH5{\sim}9$까지의 비교적 넓은 안정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열에 대한 안정성은 $40^{\circ}C$에서는 60분 경과 후에도 95%의 잔재활성을 나타내어 매어 안정하였으며, $50^{\circ}C$에서도 60분 후에 74%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어 비교적 안정하였다. 또한 $60^{\circ}C$에서는 60분 경과 후, 50%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0^{\circ}C$에서는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20분 후의 잔존활성이 24%였다. 남작 감자의 polyphenol oxidase의 기질 특이성은 ${\sigma}-diphenol$류인 catechol, chlorogenic acid 및 (+)-catechin에 대한 활성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보아 ${\sigma}-diphenol$ 화합물이 주 기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6.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황산염에 의한 남작 감자 polyphenol oxidase의 활성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Na_2S_2O_4,\;Na_2SO_3{\cdot}7H_2O,\;NaHSO_3$를 각각 0.1mM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에는 효소의 상대활성이 98%로서 활성억제 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1mM의 농도에서는 $NaHSO_3$가, 5mM의 농도에서는 $Na_2SO_3{\cdot}7H_2O$가 각각 가장 낮은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olyphenol oxidase의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는 아황산염의 농도는 $Na_2S_2O4$가 20mM, $Na_2SO_3{\cdot}7H_2O$가 15mM 그리고 $NaHSO_3$가 25mM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유통 나무젓가락 중 이산화황 이행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igration of Sulfite in Commercial Wooden Chopsticks)

  • 박나영;윤혜정;전대훈;최현철;엄미옥;김형일;성준현;최현락;이영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8-221
    • /
    • 2008
  • 통기증류알칼리적정법과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식품용 나무젓가락 중 이산화황 분석방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때 확립된 두 가지 분석방법에 대한 검증 결과, 각각 0.6 ${\mu}ml$ 및 0.2 ${\mu}ml$ 검출한계, 1.8 ${\mu}ml$ 및 0.5 ${\mu}ml$의 정량한계, $R^2=0.998$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식품유사용매에 대하여 70.2-100.2% 이상의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확립된 분석법을 각각 적용하여 국내 유통 나무젓가락 총 158품목을 대상으로 이산화황에 대한 이행량 실태를 조사한 결과, 158품목 중 30품목에서 $0.6{\sim}15.5$ ppm의 이산화황이 이행되었으나, 이때 최고 검출량 15.5 ppm은 추정 SML(280 ppm)의 5.5% 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Determination of Sulfites in crude drugs

  • Lee, Myung-Sook;Hwang, In-Sook;Park, Byung-Hyun;Kim, Myung-He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 /
    • pp.277.1-277.1
    • /
    • 2001
  • PDF

건조굴 저장중의 갈변방지 1. 방지제의 효과와 처리조건 (INHIBITION OF BROWNING REACTIONS OCCURRING IN THE STORAGE OF DRIED OYSTER 1. Inhibitors and Treating Conditions)

  • 이강호;최진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5
    • /
    • 1977
  • Brownish discoloration develops very rapidly in the storage of dried oyster. This undesirable browning is mainly caused by the series of reactions of sugar-amino condensation, enzymatic oxidation of tyrosine and/or the oxidative rancidity of lipids in the tissue of oyster. Sulfites are commonly used as inhibitors for Maillard type browning reactions in agricultural products. The inhibitory effect of sulfite treatment on canned oysters was also confirmed in some investigat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sulfites not only work on blocking tile amadori rearrangement but also on the reduction of free tyrosine which retards the progress of enzymatic oxidation of tyrosine tyrosinase. In this paper, the effect of sodium sulfite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reducing sugar and free tyrosine as a function i)f browning inhibition in oyster was tested and other treatment with glucose-oxidase and yeast were also applied. In preparation of samples, fresh oysters were soaked in sodium sulfite solution by various concentration for different treating times, washed in running water to remove the sulfite residue, and finally dried in the shade. In the result, the treatment of sodium sulfite was certainly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both free tyrosine and reducing sugars in fresh oyster.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0.5M sodium sulfite solution for 60 minutes each for soaking and washing. Treatment with, glucose-oxidase and yeast solutions, however, did appear somewhat effective but it required so much time for a certain effect that it seemed not practically applicable.

  • PDF

복숭아씨로부터 분리된 안식향산에 의한 사과주스의 효소적갈변억제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s by Benzoic Acid Isolated From Peach (Prunus persica Batsch) Seeds)

  • 이준영;홍순갑;최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3-107
    • /
    • 2000
  • Previously , the methanolic extract of peach sees was found to have a stro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an in vitro assay. Several phenolic compunds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by solvent fractionation ,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PLC , and one of them showing strong tyrosinase inhibition was identified as benzoic acid by UV, IR, $^1$H/$^1$$^3$C-NMR, and EI-MS spectrsopy. Benzoic acid (IC50= 250$\mu\textrm{g}$/ml) and L-ascorbic acid (IC50=28$\mu\textrm{g}$/ml), well-known tyrosinase inhibitors. In particular , benzoic acid inhibited markedly the enzymatic browing (melanosis) of apple juices at low concentration of 0.01% and 0.05, comparable to that of L-ascorbic acid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nzoic acid, one of an effective food preservatives, may be potentially useful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sulfites for the control of melanosis in fruit ju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