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ide oxidation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2초

Fe-EDTA계 액상촉매 산화법에 의한 분뇨처리장 악취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odorization in the Nightsoil Treatment Plant with liquid Phase Catalytic Oxidation Method by Utilization of Fe-EDTA)

  • 이인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5.1-113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removal system of the offensive gases, including hydrogen sulfide of acid gas, ammonia or amice of base gas, from the nightsoil treatment plant. In order to remove the offensive gases, the Fe-EDTA system liquid phase catalytic oxidation method with the bubble lift column reactor was employed. From the results obta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offensive gases can be deodorized simultaneously and also hydrogen sulfide of acid gas, ammonia of base gas completely removed at pH 6.45. In addition, as input gases feed rate the efficiency of acid gas did not change but the efficiency of base gases decreased to approximately 90 % at pH 6, 0. From the result of particle size analyzer, it was found that the particle sizes including sulfur and other impurites grew up to $21{\mu}m$ over 72hour reaction time.

  • PDF

Characterization of Methane Oxidation by a Methanotroph Isolated from a Landfill Cover Soil, South Korea

  • Lee, Eun-Hee;Yi, Tae-Woo;Moon, Kyung-Eun;Park, Hyun-Jung;Ryu, Hee-Wook;Cho, Kyung-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7호
    • /
    • pp.753-756
    • /
    • 2011
  • A methane-oxidiz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enriched culture of a landfill cover soil. The closest relative of the isolate, designated M6, is Methylocystis sp. Based on a kinetic analysis, the maximum specific methane oxidation rate and saturation constant were 4.93 mmol gdry cell $weight^{-1}{\cdot}h^{-1}$ and 23${\mu}M$, respectively. This was the first time a ki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ure methanotrophic culture. The methane oxidation by M6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aromatic (m- and pxylene and ethylbenzene) or sulfur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methanthiol) compounds. The methane oxidation was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aromatic or sulfur compounds.

산화·환원 전위 변화에 따른 도시폐기물 매립지 침출수의 수질 변화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on MSW Landfill Leachate with variation of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 허목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1호
    • /
    • pp.127-133
    • /
    • 2001
  • 미분해 유기물이 다량 존재하는 매립초기에 발생되는 침출수는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소화가 진행됨에 따라 침출수중의 유황성분이 유황환원세균 등에 의해 황화물이온으로 환원되고, 이것이 금속이온의 양보다 과잉으로 많을 경우 sol화된 금속황화물이 되어 침출수를 검은색으로 변색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은 검은색의 입자상 물질을 형성하여 침전물을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침출수 처리를 위해 과잉의 황화물이온을 당량이상의 금속이온과 반응시킨다면 부동태화시킬 수 있다는 향후의 경제적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중요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바이오가스에 포함된 고농도 황화수소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미생물반응기 (A Bioreactor for the Effective Removal of the Hydrogen Sulfide from Biogas)

  • 남궁형규;윤창노;송지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11-817
    • /
    • 2013
  • A two-stage bioreactor system using sulfur-oxidizing bacteria was studied to abate high strength hydrogen sulfide ($H_2S$) from biogas. The two-stage bioreactor consisted of a $H_2S$ absorption column (0.5 L) and a microbial oxidation column (1 L) in series, and the liquid medium was continuously recirculated through the colum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bioreactor for biogas desulfur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dium circulation rate on the system performance. An averaged concentration of $H_2S$ introduced to the bioreactor was 530 ppm, corresponding to an overall loading rate of $44.4g/m^3/hr$. During the initial 20 days period at the medium recirculation rate of 8 reactor volumes per hour (12 L/hr), the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in the oxidation column was 6 mg/L, while the DO in the absorption column was 0.5 mg/L showing that the oxygen contents of the biogas stream was not altered. Because of the biological oxidation of $H_2S$ in the oxidation column, the sulfate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200 mg/L to 5,600 mg/L in the liquid medium. The removal efficiency of $H_2S$ was greater than 99% in the initial operation period. After the initial period, the medium recirculation rate between the two columns was stepwise changed eight times from 1.0 to 40 vol/hr (1.5~60 L/hr). At the recirculation rate of faster than 4 vol/hr, the $H_2S$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to be high, but the efficiency declined at the lower recirculation rates than the threshold.

황환원균과 3가철을 이용한 Trichloroethylene의 제거에 관한 연구 (Trichloroethylene Removal Using Sulfate Reducing Bacteria and Ferric Iron)

  • 황기철;민지은;박인선;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1호
    • /
    • pp.24-31
    • /
    • 2008
  • 혼합균에서 분리 배양한 황환원균에 의해 발생되는 황화수소가 염소계유기오염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환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염소계유기오염물질에 대한 환원력이 있다고 알려진 2가철은 황화수소가 존재할 경우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환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환원균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준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농도에서 황화수소 발생 및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황산염의 환원으로 발생한 황화수소의 농도는 4.38 mM,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농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황환원균에 의해 발생되는 황화수소의 농도가 트리클로로에틸렌을 환원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황화수소의 농도가 위 실험에서 발생된 농도보다 100배 정도 높을 경우(438 mM)에는 트리클로로에틸렌에 대한 환원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산화철인 $Fe_2O_3$(3가철)를 첨가하였을 경우, 황환원균의 생장에 따라 황화수소, 2가철 및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농도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황환원균에 의해서 발생된 황화수소가 산화되면서 3가의 산화철을 2가철로 환원시키고 황화수소에 의하여 환원된 2가철이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하여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농도의 황화수소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환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다만, 황화수소에 의해 환원된 2가철이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해수중에서 황환원균과 $Fe_2O_3$가 공존할 경우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의 제거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한 결과 황환원균이 황화수소를 생성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의 제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응들은 황환원균 생장에 필수적인 탄소원의 농도가 확보될 때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황화수소 상온 산화를 위한 바나듐계 촉매의 제조 조건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Preparation Conditions of Vanadium-Based Catalyst for Room Temperature Oxidation of Hydrogen Sulfide)

  • 강혜린;이예환;김성철;장순웅;김성수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326-3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황화수소를 상온에서 산화시키기 위한 TiO2 기반 바나듐계 촉매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촉매의 지지체로써 4종의 상용 TiO2를 선정하였으며, 함침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양한 바나듐 함량별 V/TiO2의 황화수소 상온 산화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TiO2 중 TiO2(A)를 기반으로 하며 바나듐(V) 함량이 5%인 촉매의 황화수소 전환율이 58%로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지지체의 비표면적과 우점하는 바나듐의 종이 촉매 성능의 주요인자임을 도출하였다. 활성이 저하된 촉매의 재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400 ℃에서 2 h 동안 열처리하였으며, 재생된 촉매에 황이 일부 침적되어 황화수소 산화량이 10% 감소하였으나 초기 성능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수관거에 퇴적된 유기물에 의한 악취 발생과 산화전리시스템을 이용한 악취 저감 (Odor Emission from Sediments in Sewer Systems and Odor Removal using an Electrolytic Oxidation Process)

  • 안해영;신승규;송지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3-710
    • /
    • 2011
  • Odor emission from domestic sewer systems has become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n investigation on a sewer manhole revealed that anaerobic decay of sediment organic matters (SOMs) and related declines of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in the sediment layer were the main reason of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addition, as the anaerobic decaying period continued, the odor intensity rapi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H_2S$ and dimethyl sulfide. As a feasible method to control SOMs and to minimize odor emission potentials, an electrolytic oxidation process has been employed to the sediment sludge phase. In this study, voltages applied to the electrolytic oxidation process were varied as a main system parameter, and its effects on odor removal efficiencies and reac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t the applied voltages greater than 20 V, the system efficiently oxidized the organic matter, and the ORP in the sludge phase increased rapidly. As a consequence, the removal efficiency of hydrogen sulfide was found to be >99% within 60 minutes of the electrolytic oxidation. Overall, the electrolytic oxidation process can be an alternative to control odor emission from sewer systems, and a threshold input energy needs to be determined to achieve effective operation of the process.

4Methyl-2,6,7-trioxa-1-phosphabicyclo[2,2,2]octanel-sulfide의 산화반응 중 생성되는 반응성 중간체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s of Reactive Intermediate formed in the oxidation of 4-Methyl-2,6,7-trioxa-1-phosphabicyclo[2,2,2] octane 1-sulfide)

  • 김정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27-234
    • /
    • 1996
  • 4-Methyl-2,6,7-trioxa-1-phospbicycle[2,2,2]octane 1-sulfide (BPS)와 4-Methyl-2,6,7-trioxa-1-phosphabicyclo[2,2,2]octance 1-oxide (BPO) 및 관련 단고리화합물을 합성하였고 반응성 중간체와 반응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BPS를 chloroform 및 methanol중에서 MCPBA로 산화시켰다. Chloroform에서는 BPO만이 생성되었고 methanol중에서는 두고리 구조가 열려서 만들어진 반응성 중간체가 methanol을 인산화하여 생성된 이성질체의 단고리화합물이 관찰 되었으며 또한 소량의 BPO도 생성되었다. 인산화 능력을 소유한 반응성 중간체를 여러 가지 기기분석을 동원하여 연구한 결과 그 구조는 단고리 methyl sulfenyl ester로 제안하였다.

  • PDF

Facile Preparation of Copper(I) Halide-Dimethyl Sulfide Complex and Its Application

  • Park, Il-Hyun;So, Myung-Sub;Park, Koon-H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9호
    • /
    • pp.1515-1518
    • /
    • 2007
  • A preparative method of Me2SCuX (X = Cl, Br) via one-pot reaction was developed from common chemicals such as benzyl halide, DMSO, and Cu(0). In the reaction mixture small molecules such as methyl halide and dimethyl sulfide etc. were efficiently generated in situ,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Me2SCuX. Oxidation of Cu(0) in reacting with both benzyl halide (starting material) and methyl halide (in situ generated product) to Cu(I) followed by complexing with dimethyl sulfide (in situ generated product) could explain the formation of Me2SCuX. In particular we found out that heterogeneous reaction of Me2SCuX and arenediazonium tetrafluoroborate in acetonitrile was so effective to afford corresponding bromoaromatics under mild conditions.

해상 어류가두리양식장의 환경영향 평가: II. 가두리 양식장 퇴적물의 산소-황화수소 경계면에서 황화수소의 산화율 및 무산소 퇴적층에서 황산염 환원율 추정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Marine Cage Fish Farms: II. Estimation of Hydrogen Sulfide Oxidation Rate at $O_2$-H$_2$S Interface and Sulfate Reduction Rate in Anoxic Sediment Layer)

  • 이재성;김기현;유준;이필용;정래홍;이원찬;한정희;이용화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2호
    • /
    • pp.64-72
    • /
    • 2004
  • 유기물이 많이 유입되는 해상어류가두리 양식장 퇴적물에서 전극 크기가 25$mu extrm{m}$인 미세전극을 이용하여 공극수의 산소, 황화수소, pH의 미세연직 농도를 측정하였다. 산소와 황화수소의 연직분포에서 얻어진 미세구간에 1차 확산ㆍ반응모델을 적용하여 각 구간에서의 산소 소모율, 황화수소 산화율, 황산염의 환원율을 추정하였다. 산소투과깊이는 0.75 mm였으며, 미세구간은 상부와 하부층 2개로 나누어졌다. 산소소모는 황화수소의 산화 영향으로 상부층에 비해 하부층에서 높았고 총산소소모플럭스는 0.092 $\mu$mol $O_2$$cm^{-2}$ $hr^{-1}$였다. 산화층에서 황화수소 산화는 0.7 mm 두께에서 0.030$\mu$mo1 H$_2$S $cm^{-2}$ $hr^{-1}$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 곳에서 황화수소의 turnover time은 약 2분으로 화학적 산화와 생물학적 산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었다. 황화수소와 산소의 소모율 비는 0.84로 황화수소 산화에 산소 이외의 다른 전자수용체가 사용되거나 산소-황화수소 경계면 주변에서 황 침전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었다. 추정된 총 황산염 환원 플럭스는 0.029$\mu$mol $cm^{-2}$ $hr^{-1}$로서 총산소소모플럭스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무산소 환경에서 유기물 분해가 산화환경에서보다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