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strate inhibitor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5초

Plasma renin activity(PRA) and Active renin concentration(ARC)비교를 통한 ARC 유용성 실험 (ARC availability experiment by comparing plasma renin activity (PRA) and active renin concentration (ARC))

  • 박준모;김한철;최승원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84-89
    • /
    • 2018
  • Purpose Renin is a proteolytic enzyme synthesized and secreted from epidermal(juxtaglomerular) cells in kidney. Renin acts on the renin substrate angiotensinogen to produce angiotensin I, and then angiotensin II is produced by the ac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This causes the adrenal glands to boost blood pressure (vasoconstriction) and promote aldosterone secretion. While Plasma renin activity (PRA) is to test angiotensin I, the active renin concentration (ARC) is a renin test directly. They have different test methods and their own substrates. However, these two methods are sometimes interpreted as the same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ARC test by comparing the results between PRA and ARC.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diversity of the experiment, 26 samples were requested to test with PRA(TFB company) and ARC(Cisbio company) to other institu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PRA(Immunotech company) and ARC(Cisbio company) tests using 28 samples from September $15^{th}$ to October $13^{th}$ in 2017.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PRA/ARC evaluated the usefulness using Microsoft Excel program by verifying a correlation analysis of Aldosterone/PRA ratio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Aldosterone/ARC ratio and conducting T-test. Results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PRA(Immunotech company)/ARC(Cisbio company), which was tested in the department, was y = 0.0619x + 0.4615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3.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PRA(TFB company)/ARC(Cisbio company), which was tested in the other institution, was y = 0.0888x + 0.3316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1. In addition, The regression equation of Aldosterone / PRA ratio and Aldosterone / ARC ratio was y = 0.875x - 11.688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7. Plus T -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Both test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ut this only represents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sts. Furthermore, the actual results showed somewhat differences. It is presumed that the measured value was influenced by the endogenous renin group mass in the plasma, the condition of the enzyme reaction and the kind of the inhibitor. When the active renin concentration (ARC) test is performed, it is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ests as they are complementary.

희렴의 Nitric Oxide 유리를 통한 평활근세포에서의 Apoptosis유도 (Production of Nitric Oxide by Siegesbeckia Glabrescens is Associated with Apoptosis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 전수영;신동훈;손창우;신흥묵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55-1060
    • /
    • 2004
  • Apoptosis is the ability of cells to self-destruct by the activation of an intrinsic cellular suicide program when the cells are no longer needed or when they are seriously damaged. Morphologically, apoptosis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membrane blebbing, cell shrinkage, chromatin condensation, DNA cleavage, and the fragmentation of the cell membrane-bound apoptotic bodies.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 (Siegesbeckiae Herba, SG) has been widely used as treatments for arthritis, and fever, as well as detoxification properties.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if SG has an anti-apoptotic property.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XTT and tryphan blue st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HASMC) were visualized with a phase-contrast microscope. SG significantly reduced HASMC, but not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HUVEC),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fluent untreated cells at 24hrs showed normal morphology, flat with a uniform polygonal shape. SG-treated cells (0.5㎎/㎖) at 24hrs showed apoptotic morphology. Cells became irregular with elongated lamellipodia, and exhibited condensed chromatin in nuclei with occasional endoucleation.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rounding-up and being detached from the substrate. TUNEL staining of SG-treated cells showed dark-brown stains in nuclei and cytosol. Caspases are central components of the machinery responsible for apoptosis and are general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initiator caspases, which include caspases-2,-8,-9, and -10, and the effector caspases, which include caspases-3,-6, and -7. SG decreased anti-caspase-3 protein expression, which means activation of caspases-3 activit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NO formation and apoptosis. NO production was accelerated by SG treatment in HASMC. L-NNA, NOS inhibitor, inhibited SG-induced apoptosis. These results, therefore, indicated that both caspases-3 and NO production are involved in apoptosis in smooth muscle cells. According to these results, SG may have a potential effect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ve atherosclerosis.

Changes in the Pharmacokinetics of Rosiglitazone, a CYP2C8 Substrate, When Co-Administered with Amlodipine in Rats

  • Kim, Seon-Hwa;Kim, Kyu-Bong;Um, So-Young;Oh, Yun-Nim;Chung, Myeon-Woo;Oh, Hye-Young;Choi, Ki-Hwa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3호
    • /
    • pp.299-304
    • /
    • 2009
  • Rosiglitazone maleate (RGM) is widely used for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RGM is a moderate inhibitor of cytochrome P450 2C8 (CYP2C8) and is also mainly metabolized by CYP2C8.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f RGM on CYP2C8 is altered by co-treatment with other drugs, and whether amlodipine camsylate (AC) changes the pharmacokinetics (PK) of RGM. Of the 11 drugs that are likely to be co-administered with RGM in diabetic patients, seven drugs lowered the $IC_{50}$ value of RGM on CYP2C8 by more than 80%. In vitro CYP2C8 inhibitory assays of RGM in combination with drugs of interest showed that the $IC_{50}$ of RGM was decreased by 98.9% by AC. In a pharmacokinetic study, Sprague-Dawley (SD)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1 mg/kg of RGM following by single or 10-consecutive daily administrations of 1.5 mg/kg/day of AC.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RGM were observed after a single administration of AC, but the AUC and $C_{max}$ values of RGM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36% and 31%, respectively, by multiple administrations of AC. In conclusion, RGM was found to be affected by AC by in vitro CYP2C8 inhibition testing, and multiple dosing of AC appreciably changed the pharmacokinetics of RG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drug interaction exists between AC and RGM.

Azotobacter vinelandii에서의 생물학적 질소고정 작용 메카니즘 (Mechanism of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in Azotobacter vinelandii)

  • 김용웅;한재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189-200
    • /
    • 2005
  • 생물학적 질소고정과정의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총설에서는 공업적 질소고정과 비교되는 생물학적 질소고정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고, Azotobacter vinelandii에서 연구되고 있는 생물학적 질소고정효소의 특징을 다룬다. 생물학적 질소고정과정은 다양한 생명체에서 일어나며, 최근에는 미생물인 A. vinelandii에 그 작용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어 있다. 공기중의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시키는 질소고정은 화학적으로 환원 반응에 해당하므로 전자의 공급이 필요하다. 생물학적 질소고정을 담당하는 질소고정효소는 촉매반응을 위해 생물학적인 환원력을 사용하여 전자를 공급받아, Fe 단백질의 $Fe_4S_4$ cluster와 MoFe 단백질의 P-cluster를 거쳐 질소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FeMo-cofactor로 전달한다. 이러한 전자전달의 과정과 수소이온의 전달 과정은 질소고정효소의 반응 메커니즘 이해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FeMo-cofactor와 질소분자의 상호작용은 생물학적 질소고정 메커니즘의 중심에 있다. 질소고정 작용 메커니즘의 연구에는 X-선 단백질 결정학, EPR과 $M{\ddot{u}}ssbauer$ 등의 다양한 분광학적 방법과, 효소의 기질과 저해제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mutant와 비교하는 생화학적 접근방법, 그리고 FeMo-cofactor의 모델 화합물을 합성하여 연구하는 화학적 방법 등이 적용되었다. 이들 분야의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새로운 질소고정효소의 작용 기작이 제안하였다.

2-Phenyl-1,4-benzopyrone 유도체 (Flavones)의 Tyrosinase 저해활성에 관한 3D-QSARs 분석과 분자도킹 (3D-QSARs analyses fo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2-Phenyl-1,4-benzopyrone (Flavones) Analogues and Molecular Docking)

  • 박준호;성낙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4호
    • /
    • pp.225-231
    • /
    • 2010
  • 기질분자로서 polyhydroxy 치환된 2-phenyl-l,4-benzopyrone 유도체(Flavones)(1-25)들의 hydroxyl 치환기($R_1-R_9$)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PDB ID: oxy-form; 1WX2)에 대한 저해활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분자도킹과 3차원적인 정량적 구조활성관계 (3D-QSARs: CoMFA 및 CoMSIA)가 연구되었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CoMFA 1 및 CoMSIA 1 모델이 가장 양호한 3D-QSARs 모델이었다. 또한, 순차 혼합화 분석결과로부터 CoMSIA 1 모델($dq^2'/dr_{yy'}^2$=1.009 및 $q^2$=0.511)이 우연상관성에 저촉되지 않는 최적화 모텔이었으며 최적화된 CoMSIA 1 모델의 tyrosin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기질분자의 정전기장(51.4%)에 의존적이었다. Tyrosinase의 반응점에 대한 3D-QSAR 모델의 등고도는 수용체로서 tyrosinase과 저해제로서 2-phenyl-l,4-benzopyrone 기질분자 사이의 새로운 상호작용 관계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 결과들은 새로운 잠재적인 tyrosinase 저해제의 최적화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흰쥐 말초 혈액 림프구의 분자량 44 kD 단백의 인산화 (Phosphorylation of 44-kilodalton Proteins in Peripheral T-lymphocyte of Rat)

  • 안영수;주일로;오도연;임승욱;박경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5-144
    • /
    • 1991
  • 흰쥐 말초혈액에서 얻은 T 림프구를 아드레날린성 ${\beta}-$수용체 효현제 및 concanavalin A(Con-A)로 자극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의 주 인산화 단백은 분자량 44kD, 등전점 6.8의 단백이었으며 효현제로 자극시키면 분자량 44kD, 등전점 6.3의 단백이 새로이 인산화되어 나타났다. 이 분자량 44kD, 등전점 6.3의 단백은 forskolin에 의해 역시 인산화되며 A-kinase 억제제인 H-8을 전처치하면 인산화의 억제가 나타났다. 또한 Con-A로 자극시키면 44 kD/pI 6.3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이 인산화의 증가는 CaM kinase 억제제인 W-7 전처치에 의해 억제되었다. H-7은 분자량 44 kD, 등전점 6.8 단백의 인산화를 감소 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분자량 44 kD 등전점 6.3의 단백은 A-kinase와 CaM kinase 모두에 의해 인산화 되는 기질단백으로서 tryptic peptide map상에서 44 kD/pI 6.8 단백과 44 kD/pI 6.3 단백은 서로 다른 단백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Pseudomonas putida KT-3의 Methyl Ethyl Ketone 및 Methyl Isobuthyl Ketone 분해 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hyl Ketone by Pseudomonas putida KT-3.)

  • 김민주;이태호;이경미;류희욱;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5-401
    • /
    • 2002
  • 각종 산업시설에서 유기용제로 사용되는 methyl ethylketone(MEK)과 methyl isobutyl ketone(MIBK)을 유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Pseudomonas putida KT-3 균주에 의한 이들 물질의 생분해 특성을 조사하였고, MEK/MIBK 혼합물 분해에 미치는 이들 기질 상호간의 작용을 규명하였다. MEK 단독 기질 조건에서 MEK 첨가농도가 0.5에서 5.5mM로 증가함에 따라 KT-3 균주에 의한 MEK 분해속도도 3.15에서 10.58 mmol/g DCW$\cdot$h로, MEK 첨가량이 5.5mM인 경우와 거의 유사한 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MIBK 단독 기질 조건에서 KT-3 균주에 의한 MIBK 분해속도는 3.0mM 이상의 MIBK 농도에서는 MIBK 농도에 상관없이 4.69-4.96 mmol/gDCW$\cdot$h로 거의 일정하였다. KT-3 균주의 MEK/MIBK 혼합물에서의 생분해 속도의 감소는 두 기질 상호간의 경쟁적인 저해작용에 의한 것임을 알 수있었고, 속도론적 해석 결과 얻는 MEK와 MIBK의 최대분해속도 ($V_{max}$), 포화상수 ($K_{m}$) 및 저해상수 ($K_{1}$)는 다음과 같다. $V_{max,MEK}$=12.94 mmol/g DCW$\cdot$h; $K_{m,MEK}$=1.72 mmol/L; $K_{l,MEK}$=1.30 mmol/L; $V_{max,MIBK}$=5.00 mmol/g-DCW$\cdot$h; $K_{m,MIBK}$=0.42 mmol/L; $K_{l,MEK}$=0.77 mmol/L.

UDCA를 함유한 생약추출물혼합제제의 항염효과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and mixture of natural extracts combined with ursodeoxycholic acid)

  • 류인철;김상년;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4호
    • /
    • pp.1013-1021
    • /
    • 1996
  • There are many important factors in periodontal inflammation. $IL-1{\beta}$, $PGE_2$ and collagenase are predorminantly key factors. These inflammatory mediators induce gingival tissue and alveolar bone destruc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it is necessary to inhibit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Ursodeoxycholic acid(UDCA) has immunomodulatory properties, and there is evidence that some natural extracts show antiinflammatory activity to some degr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hibitory effect of UDCA and its mixture with natural extracts on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Accordingly we assessed the effect of UDCA and its mixture combined with some natural extracts on inhibition of $IL-1{\beta}$, $PGE_2$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For the $IL-l{\beta}$ inhibition study, cultured cells were exposed to $25{\mu}g/ml$ LPS. $IL-1{\beta}$ activity was measured by $IL-1{\beta}$ enzyme immunoassay system.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prepared and cells (l05/well) were seeded into culture plates. $rhIL-1{\beta}$ was added to induce $PGE_2$. The amount of $PGE_2$ in sample media was measured using enzyme immunoassay system. Crude collagenase was prepared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collagenolytic activity was determined using a Collageno kit CLN-100. The test inhibitor was added to the assay mixture consisting of 0.1ml of 50mM Tris buffer(pH 7.5) and 0.2ml of substrate solution. UDCA and UDCA combined with natural extracts generally inhibited $IL-1{\beta}$ production. groups above 0.01% UDCA strongly inhibited $IL-l{\beta}$ synthesis. Both groups inhibited $IL-1{\beta}-induced$ synthesis of $PGE_2$. In low concentration, the degree of inhibition was as same as prednisolone. In high concentration, each group was superior to prednisolone. UDCA group and UDCA mixture group exerted a moderate inhibition of collagenolytic enzyme.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UDCA and its mixture with natural extracts could be further investigated as antiinflammatory drug for periodontal disease.

  • PDF

질트리코모나스의 병원성과 단백 분해 효소와의 상관성 (Proteinase activity in the isolates of Trichomonas vaginalis according to their pathogenicity)

  • 심영기;박경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17-128
    • /
    • 1993
  • 이 연구는 환자로부터 분리하여 무균 배양된 10개의 질트리코모나스 분리주에 대하여 병원성 여부를 판정하고 단백분해효소 관련 여부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질트리코모나스 분리주들은 마우스 피내 접종 실험을 통한 병원성 판정에서 약병원성 주, 중등도 병원성 주 및 강 병원성 주 등 3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중성 단백분해효소 및 산성 단백분해효소 활성도는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 및 그 배양액에서 약 병원성 주에 비해 강 병원성 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피하농양 크기에 따른 병원성과 상기 단백분해효소의 비활성도(specific activi쇼)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p < 0.05) 질트리코모나스 단백분해효소는 gelatin을 기질로 하는 SDS-PAGE 전기영동에서 RF치를 달리하는 5가지 분획대가 나타났으며 그 분획양상은 각 분리주 의 병원성에 따라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여러가지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전기 영동 효소액에 처리했을 경우 antlpaln과 leupeptin 처리군에서는 분획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EUTA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그 활성이 약화된 분획이 관찰되었고, PMSF 처리군에서의 분획들은 대조군과 그 활성의 차이를 볼 수 없어 이들 단백 분해효소는 cystelne 단백분해효소로 추정되었다. 조직 세포에 대한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병원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추출물의 단백질 농도 $12.0{\;}\mu\textrm{g}/100{\mu}\ell$ 이상에서 세포 독성에 따른 병원성 구분이 용이하였다. 그리고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에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독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antipain 처리군에서는 조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ysteine계로 추정되는 질트리코모나스의 단백분해효소는 특이한 전기영동 활성 분획상을 나타내었는 바 이들은 모두 충체의 병원성 및 세포 독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생쥐 배아의 부화에 관여하는 Trypsin 유사 효소의 발현과 역할 (Expression and Role of Trypsin-Like Enzyme Involved in Hatching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 김수경;강희규;전진현;최규완;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17-21
    • /
    • 2001
  • 생쥐 초기배아의 체외배양 시 부화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효소의 발현 시기와 존재부위를 알아보고 trypsin억제제 benzamidine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부화효소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부화 효소로 제안되고 있는 trypsin 유사효소의 발현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rhodamine이 부착되어 있는 Trypsin subsfrate probe를 이용하여 형광염색하였다. 생쥐 배아의 발생과정에서 trypsin 유사효소의 발현은 후기 상실 배아에서부터 관찰되었으며, 포배기 배아에서는 영양배엽 표면에서 전체적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부화가 진행되고 있는 배아의 부화 개시 부위 (blebbing)에서 그 염색 정도가 상대적으로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쥐 4-세포기 배아의 체외배양 시 배양액에 trypsin 억제제인 benzamidine을 ImM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포배기로의 발생률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부화율은 15.8%로 대조군의 83.0%에 비해 유의하게 (p<0.02) 낮게 나타났다. 배아의 발생단계에 따라 5mM의 benzamidine을 12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부화율이 8.7%로 대조군의 83.0%에 비해 유의하게(p<0.01)낮았다. 결론적으로, trypsin 유사효소는 초기 포배기에서부터 발현되기 시작하며 특히, 후기 포배기에서 그 효소의 작용이 부화 과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배양중 부화 과정에서는 배아 자체에서 분비되는 trypsin 유사효소의 역할만으로도 부화할 수는 있지만 생체 내에서는 배아와 자궁내막 상피와의 상승적 상호 작용에 의해 부화과정이 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