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factors

검색결과 2,395건 처리시간 0.032초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n Late Childhood)

  • 배주영;도현심;이선희;신정희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9-83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n late childhood. A total of 299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141 boys and 158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relationships with friend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as seen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friends. Thir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relationships factors established in both family and school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in order to explai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chool-aged children, as compared to the relationships with both their friends and their teachers at school.

정신질환자의 노화불안과 주관적 안녕감 (Aging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 강문희;고희성;이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29-338
    • /
    • 2019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노화불안과 주관적 안녕감 정도를 확인하고 노화불안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술적 조사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D와 C 지역에 거주하는 정신질환자 107명(조현병=48명, 기분장애=5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해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노화불안은 7점 만점에 $3.95{\pm}0.80$이었고, 주관적 안녕감은 6점 만점에 $3.53{\pm}0.73$이었으며, 노화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r= -.48, p <.001)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노화불안, 주관적 건강상태, 직업상태는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의 총 설명력은 31.1%이었다. 따라서 정신질환자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화불안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의 심미성이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esthetics of Smartphones on Usability)

  • 오의택;박민용
    • 감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249-258
    • /
    • 2012
  • 본 연구는 작업속성에 따른 스마트폰의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아직까지도 심미성과 객관적 사용성의 관계는 모호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다른 심미성을 가진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36명의 피실험자에게 3가지 타입의 작업(정보입력작업, 정보검색작업, 정보유희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이때의 수행도와 주관적 평가가 기록되었다. 그 결과 높은 심미성이 낮은 심미성에 비해 주관적 사용성이 사용 전과 후에 높게 평가되었지만, 사용 전에 비해 사용 후에는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또한 심미성이 높은 것이 작업수행시간이 더 오래 소요되었다. 하지만 작업속성과 심미성에 의한 교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미성은 감성적 만족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성 평가에서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 PDF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수면의 질, 주관적 행복감이 웰니스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n the Wellness Lifestyle among Adults)

  • 하영옥;박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59-367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웰니스 생활양식의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에 거주하는 성인 390명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수면의 질, 주관적 행복감, 웰니스 생활양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웰니스 생활양식 정도는 정신적 웰니스 3.60점, 지적 웰니스 3.58점, 사회적 웰니스 3.51점, 정서적 웰니스 3.41점, 신체적 웰니스 2.94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웰니스 생활양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행복감, 수면의 질, 지각된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웰니스 생활양식에 대한 변수의 설명력은 34%였다. 결론적으로 성인의 웰니스 생활양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동시에 수면의 질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전략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략들을 적용한 웰니스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효과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골프운동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융합 연구 (Convergent research on how golf affects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윤선오;김우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47-54
    • /
    • 2015
  • 본 연구는 골프운동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융합연구를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및 T-검정,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에서 연령 40대, 학력 대졸, 종교 불교, 무교, 직업 가사, 가정형편은 보통, 대부분이 건강하였다. 또한 골프구력, 골프타수, 필드, 연습빈도, 연습시간에서 기술통계 모두가 평균이상이다. 둘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골프운동에서 골프구력, 골프타수, 필드, 연습빈도, 연습시간에서 정적, 부적관계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관계가 제시되었다. 셋째, 필드, 연습빈도, 연습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mong Elderly People

  • Ahn, Eunsuk;Lee, Jin-Ha;Kim, Sun-Mi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7-73
    • /
    • 2020
  • Background: Owing to the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have become important social problems.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longing the life of elderly people. It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s the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in elderly people using representative data. Methods: In this study, data from a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15 involving 63,929 elderly people aged over 65 years were analyzed. T-test and ANOVA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nd perception about social support. Additionally,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about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Results: We found that sex,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the presence of a spouse, existence of an unmet dental need, and regular oral check-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p<0.05). In addition, when controlled for all factors,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This suggests that community-level or government investment is required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particular, policy intervention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that promote social networks, especially facilities based on friendship networks, are needed.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Structural Relationship of Subjective Health, Ability to Work, Participation on Economic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 장신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05-31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 삶의 만족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각 사회에서는 생산적 노화, 적극적 노년 등의 관점을 통해 노인에 대한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부정적 인식을 완화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특히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과 참여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0차 데이터(2015년)에서 65세 이상인 노인 3,3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건강과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은 근로능력과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근로능력은 경제활동 참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 요인으로써 건강과 근로 관련 요인들에 대해 중요하게 고려할 것을 제언하였다.

방과 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Attend a Community Child Center after School)

  • 김정이;박영미;이지현;조은주;장선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5-24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e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who attend a community child center.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43 children attending a community child center in P city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20, 2016.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version 18.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rade,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ubjective well-being (${\beta}=.56$) and grade division (${\beta}=.19$). These variables explained 38.0% of the total varia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esirable to develop measures to increas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provide support according to grade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SNS 환경에서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 (Key Factors Influenc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 김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49-1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사용자들의 이용과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자기 표현, 관계 형성, 정보 검색을 SNS의 주요 사용 욕구로 정의하였다. 이 사용 욕구들은 사용자 만족, 주관적 행복, 정보 게시 행동을 통해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페이스북 사용자 199명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자기 표현과 정보 검색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관계 형성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용자 만족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직접적으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행복은 정보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정보 게시 행동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 증진의 핵심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대한 학문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인가구의 건강관련 습관적 소비, 생활시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비1인가구와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Health-Related Habitual Consumption and Lifetime on Subjective Health of One 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Non-One Person Households and Generations)

  • 하지경;이성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141-152
    • /
    • 2017
  • Recently, one-person households have surpassed nuclear families. On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have many problems with health due to an irregular life style and a tendency to be more isolated from society. In addition, we need to divide the generations and survey each generation due to differences in one-person household factor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unique physical conditions of each gene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is survey examined health behavior differences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non-on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generation (respectively) as well as studied how one-person households and health behavior influ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e major result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First, one-person households reveal a higher rate in the negative health behavior than non-one-person household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of all households reveals a high rate of non-activity. Third, health scores of one-person households are lower than that of non-one-person households; consequently, the analysis of health scores for one-person households and non-one-person households indicated that the middle age health scores for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lowest in generations. Fourth,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indicated that one-person household and health behavior has meaningful influence; in addition,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f one-person households are lower than non-one-person households under controlled health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