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conceptions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초

중 .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한지숙;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5
    • /
    • 1997
  • 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growth of interest in how the philosophy of science can be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can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eacher and student. The 6th curriculum in Korea has also placed emphasis upo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o ensure effective school sci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eachers and students ar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To do this 45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191 students of 7 schools in Seoul are administered Nott and Wellington's questionaire(1993). This questionaire is consisted of 24 Likert Scale statements and asks questions on 5 subscales of philosophy of science :Relativism-Positivism, Inductivism-Deductivism, Contextualism-Decontextualism, Instrumentalism-Realism, Thinking science education as a Process or a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eacher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experience and gender. 3. Student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udent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schools level(middle vs high) and gender. But,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core than male students on deductivism(p<.05). 5. Teachers' and student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 PDF

중학생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증거 평가 (Middle School Student's Evidence Evaluation)

  • 박종원;장병기;윤혜경;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5-145
    • /
    • 1993
  •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rior conceptions and evidence evaluation about Light and shadow. One hundred twenty six students were given Explanation-after-choice type Questions to investigate student' prior conceptions and Choicd type Question to identify student's idea about scientific method and characteristics od observation. Forty-four of the 126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explore student's evidence evaluation. Eighty students (63.5%) thought that the shape of material affected the shape of shadow but the shape of light source did not Only 58.8 precents of all responses were evidence-based responses. Characteristics of evidence affected student's evidence evaluation : student made evidence-based responsed to the accord evidence more frequently than discord evidence. Among evidence-based response to the discord evidence. 35.5% of responses were the case that student felt cognitive conflict or explored other variables by recognizing discord between his/her own ideas and evidence or distort the evidence. Student's idea about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did not affect the evidence evaluation, but student's idea about scientific method affected the evidence evaluation.

  • PDF

수열의 극한 개념에 대한 인지적 장애의 극복 방안 연구 (A Study on a Model of Overcoming Cognitive Obstacles Related to the Limits of Mathematical Sequences.)

  • 박선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47-262
    • /
    • 2000
  • This study suggests a theoretical model and examples of overcoming cognitive obstacles related to the limits of mathematical sequences. The model includes 3 stages, that is, an exposure of obstacles, the awareness of conflicts, and the resolutions of conflicts. Also this model emphases discussions of teacher and students or among students. Such a discussion stimulates reflections of students having cognitive obstacles, helps them to cast away their old conceptions and to obtain right concepts.

  • PDF

공룡의 멸종 관련 불일치자료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유형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Anomalous Data related to Dinosaur Extinction)

  • 정철;정진우;김선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543-551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학생들이 가지고 있던 기존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공룡의 멸종 관련 불일치자료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유형을 조사, 분류하는 것이다. ‘공룡의 멸종원인’이라는 지구과학 소재를 이용해 기존이론과 불일치자료에 해당하는 자료지를 구성하였다. 불일치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유형을 분석한 결과, 거부, 재해석, 판단불확실, 신뢰감소, 부분적 이론변화, 이론변화 등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일치자료를 이용한 개념변화 학습에서 불일치자료의 제시로 반드시 개념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불일치자료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교수전략을 구상하여 처치함으로써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지구와 달 표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일반 중학생들과 과학영재학생들의 개념 (Middle School and Science-gifted Students' Conceptions about Motion of Object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 Moon)

  • 송영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3-207
    • /
    • 2013
  • 이 연구는 지구와 달 표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일반 중학생들과 과학영재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 중학교 중학생 1학년 61명, 2학년 51명, 3학년 51명 총 163명과 대학부속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과학영재학생 32명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은 지구와 달 표면에서 연직, 경사면, 수평면에 따른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으로 하였다. 각각 지구와 달 표면에서 크기는 같고 질량이 다른 두 물체를 동시에 놓거나, 같은 속력으로 위쪽으로 던지거나, 수평면에서 굴렸을 때 '어느 것이 먼저 도착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지구와 달 동시 상황에서는 같은 물체를 지구와 달 표면에서 동시에 놓거나, 던지거나, 굴렸을 때 '어느 장소에 먼저 도착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학생들이 일반 중학생들 보다 지구 표면에서 연직, 경사면, 수평면의 모든 조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달 표면에서 연직 위 방향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구와 달 표면 동시 상황에서는 연직 아래 방향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연직 위 방향, 경사면, 수평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개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첫째, 지구와 달 표면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을 할 때 진공에 대한 의미와 중력의 크기에 대한 학습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중학생들에게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서 물체의 운동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지도해야한다. 셋째, 중학생들은 상황을'동일시'하려는 사고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힘과 물체의 운동은 물리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단원이며, 교사가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때 위 결과들을 유념해서 가르쳐야 한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Lectures and Experiments of Law of Definite Propor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한감봉;민희정;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44-15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다루는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3명의 교사 수업을 관찰 기록하고, 면담을 통해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 성적과 인지 수준과 과학 태도, 실험 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에 따라 강의 수업에서 강조하는 점이 달랐으며, 특히 화학교사들은 기본 개념보다는 비례 관계의 계산과 응용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기본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실험 수업에서도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행 수준이 낮다고 보고, 실험 과정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그리고 실험 결과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다. 학생들은 실험 과정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실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사의 학교 과학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박종윤;남정희;유희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68-47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이 수업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의 2학년 4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4개 반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을, 비교집단에는 교사 강의식 전통적 수업전략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은 전통적 수업전략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는 효과적이나 과학 관련 태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에서 수업 전후에 과학 개념 이해의 향상 정도는 집단 내의 과학성적 수준이나 인지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수업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질문과 응답에 의한 상호작용이 많고, 이를 통해 사고를 촉진할 수 있고 반복학습의 효과가 있으며,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논증과 개념 분석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guments on Causes of Phases of the Moon and Concept Analysis)

  • 김영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1-17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논증 글을 통해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달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대표적인 대안개념을 포함한 5가지 설명 중 옳은 것을 선택하고 근거를 서술하도록 하는 논증 과제를 투입하였으며, 학생들의 개념 선택과 근거의 TAP 구조 및 하위 개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달의 위상변화 원인뿐만 아니라 관련 개념에서도 다양한 대안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70.5%가 불완전한 논증 구조를 보였으며, 대안개념의 유형에 따라 주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이 다르다는 특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이 지닌 선개념 점검의 중요성과 논증활동의 필요성, 대안개념의 유형에 따른 적절한 교육적 처방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교육적 흥미 이론이 수학교육에 주는 의미 고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s of Educational Interest Focused on Mathematics Learning)

  • 최지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흥미에 관한 교육 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수학 흥미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기초를 세우고 수학교육에서 흥미를 어떻게 발달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흥미 이론에 관한 Dewey의 이론,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의 구분, 그리고 수학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흥미'를 개인이 수학적 대상에 대해 더 알아볼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개인적인 경험의 총체로 정의하고, 흥미 이론에 근거하여 학교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수학 흥미가 발달되도록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수학 흥미를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로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흥미를 구성하는 요소를 정서, 인지, 가치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 흥미 함양의 원리로 활동의 원리, 긍정적 정체성의 원리, 그리고 점진적 확장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 흥미 함양을 위해서, 수학적 구조와 활동이 유기적으로 조직되어 학습자에게 수학의 가치와 활동의 목적을 제공할 수 있는 좋은 과제 개발을 제안하였다.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문제에서 갈등상황의 유형이 학생들의 인지적 갈등 유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flict Situation Types on Inducing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in Newton's Laws)

  • 임이숙;이영직;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3-483
    • /
    • 1998
  •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위해서는 갈등상황을 제시하여야 한다고 여러 연구자들이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문제에서 갈등상황을 제시하여 그 유형이 학생들의 인지적 갈등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읍소재지의 남자 고등학교 1학년으로 사전검사를 통하여 연구 목적에 합당한 34명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갈등상황의 유형 중 시범기구로 '현상'을 직접 보여주거나 논리적인 '논증'을 제시하는 두 가지 갈등상황을 이용하였다. 인지적 갈등 정도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준거에 따라 4단계의 Likert 척도로 연구자 외 2인이 면담에 함께 참여하여 판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정확하고 눈금이나 수치로 나타나는 '현상'이 효과적이며 외부변인이 개입된 현상은 학생의 주의를 오도하므로 갈등유발이 어려웠다. '논리'를 제시할 때, 오개념을 가진 학생은 과학적 논리에 대변하여 갈등을 회피하며 오히려 다른 오개념의 논리에 의하여 갈등유발이 잘되었다.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은 논리제시로써 갈등을 유발하기 어려웠다. '현상'을 제시할 때와 '논리'를 제시할 때, 유발된 갈등을 비교해 보면 '논리'보다는 '현상'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위해서는 직접 현상을 보여주는 인지적 갈등 전략이 바람직하며 이 때 제시되는 현상은 정확하고 분명한 것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