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feedback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의 효과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Recording Video with Smartphone and Formative Feedback)

  • 채여주;하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285-294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관내 흡인실습교육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동영상과 형성적 피드백을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대상자의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 학생 54명이 모집되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7명씩 구성되었다. 실험군에게는 핵심기본간호술 지도 시 개별적인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수행과정을 스마트폰 동영상으로 촬영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일반적 실습교육인 4시간 자율실습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지식,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학습동기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 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반복학습과 형성적 피드백을 통한 정교한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POMY: 햅틱 피드백을 적용한 몰입형 영어 학습 시스템 (POMY: POSTECH Immersive English Study with Haptic Feedback)

  • 이재봉;이규송;;이호진;이근배;최승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815-821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CALL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system, which is called POMY (POSTECH Immersive English Study). In our system, students can study English while talking to characters in a computer-generated virtual environment. POMY also supports haptic feedback, so students can study English in a more interesting manner. Haptic feedback is provided by two platforms, a haptic chair and a force-feedback device. The haptic chair, which is equipped with an array of vibrotactile actuators, delivers directional information to the student. The force-feedback device enables the student to feel the physical properties of an object. These haptic systems help the student better understand English conversations and focus on studying. We conducted a user experiment and its results showed that our haptic-enabled English study contributes to better learning of English.

영작문 활동 중 동료 피드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Peer Feedback in English Writing)

  • 김희정;이제영;장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13-52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작문 수업 중 이루어진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한 예비 영어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5주간 영어 작문 수업을 수강하는 총 37명의 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설문의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피드백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작문 결과물의 내용, 아이디어 조직 부분에서 특히 큰 도움을 받았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을 비롯한 모든 학생들이 유사한 오류를 범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다른 학생들에 비해 작문 실력이 크게 뒤처지지 않는다는 점에 안도감을 느꼈다. 넷째, 피드백을 주는 입장과 받는 입장 모두에서 동료 피드백의 내용을 크게 신뢰하지 않았다. 특히 영어 능력이 낮은 동료로부터 받은 피드백은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다섯째, 학생들은 동료의 오류를 지적하거나 너무 자세한 제안을 했을 때 그들의 관계가 불편해질 것에 대해 걱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앱기반 피드백에 대한 피교육자의 학습동기 및 공정성 인식 변화 (The Educatees' Perception Change of Learning Motivation and Fairness on Feedback using App)

  • 김상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9-86
    • /
    • 2015
  • 교육 과정에서 동기부여와 몰입유지를 위해 적절한 피드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실의 교육 현장에서는 과다한 학생 수, 부족한 수업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적절한 피드백이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앱을 이용한 게임과 같은 피드백이 피교육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 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브레이브팝스에서 개발한 Class123이라는 피드백 앱을 사용하여 한 학기 간 수업을 운영한 후, 학생들이 앱을 통해 게임과 같은 피드백을 받도록 하였으며, 학습동기와 공정성인식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를 조사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를 보면, 앱을 이용한 피드백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특히, 부정적 피드백보다는 긍정적 피드백이 보다 더 중요한 동기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Perspectives on EFL Teachers' Responding to Students' Writing at the Semantic Level

  • 장경숙
    • 영어어문교육
    • /
    • 제3호
    • /
    • pp.185-201
    • /
    • 1997
  • This study explores perspectives on responding to EFL students' compositions at the semantic level. In the last three decades, there has been a shift from product-oriented approach to process-oriented one to teaching writing. The shift has led to the criticism of the traditional view on teacher response. The traditional view has been under attack for its overemphasis upon form and ineffectiveness on improving student writing skill. It is also noted that research into students' reactions to the traditional teacher response has been inconclusive.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on the other hand, draws its attention to meaning and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ought as well as linguistic matters.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discusses what EFL teachers need to take into account in providing the semantic-level feedback on students' compositions. Firstly, teacher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s on-going; teacher feedback involves teacher intervention in the drafting process, the revision process, and the presentation of product. Secondly, in the writing conferences, the teacher provides students an opportunity to talk about writing, assistance and advice on the content/meaning of the written text, helping them expand and clarify thinking about audience(reader) and purpose.

  • PDF

시스템 사고기반 울혈성 심부전 간호교육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ystem Thinking-Based Approach with the Use of a Patient Simulator in Nursing Education : Focus on Congestive Heart Failure)

  • 김현영;윤은경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5권4호
    • /
    • pp.61-84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imulated skills package designe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knowledge integration and their system thinking(ST) skills about congestive heart failure(CHF) and to identify the change in students' ST levels using a ST-based learning approach. A simulated learning support package was developed by nurse educators and ST experts.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35 third-year nursing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 Seoul. The subjects improved their ST skills regarding CHF after intervention. Mean test scores for students completing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intervention scores, including measures of direction of causality, polarity of causal relationship, feedback loop, polarity of feedback loop (reinforcing, balancing) and time delay (t=2.26~6.53, p=.030~p<.001). It is suggested that more educational programs be developed on various topics in order for nurs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ST skills as well as knowledge integration in clinical nursing practicum packages.

  • PDF

외국인 대학생이 작성 중인 학술 보고서에 나타난 제(諸) 문제 (Procedural Problems in Academic Writing Faced by International Students)

  • 김지영
    • 한국어교육
    • /
    • 제28권1호
    • /
    • pp.23-47
    • /
    • 2017
  • This research analyzed procedural problems presented in academic writing fac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basis for suggesting methods of developing a curriculum in Korean writing as a liberal arts education design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analyze problems presented in academic writing by international students, the standard of assessment was divided into interaction, knowledge construction, and material quotation. Then, knowledge construction was divided into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and the items were subdivided in each category. These categories of assessment correspond to the genre of academic writing and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andard of assessment for academic writing. Applying these standards, this research analyzed 43 texts of academic writing in process for a final paper by international students in an class and presented problems in them.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give detailed feedback that can help solve those problems.

과학적 논의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교사 피드백 유형 사례 연구 (Teacher Feedback on Process-Centered Assessment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 김미숙;유선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1-289
    • /
    • 2020
  • 이 연구는 과정중심평가에서 나타나는 교사 피드백 유형의 사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정중심평가의 실행을 위하여 과정을 시각화한 협력적 모델링-논의 활동을 실시하였고, B고등학교 교사 4명과 학생 35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논의 수업을 촬영한 영상, 협력적 모델링-논의 활동지 및 교사의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드백의 유형화는 과학적 개념에 대한 피드백과 논의 과정에 대한 피드백의 범주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각 피드백의 유형에 해당하는 사례는 교사 4명을 중심으로 추출하여 수업의 맥락과 함께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개념에 대한 피드백 중 개념 준거 제시형, 사고 촉진형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 점검을 유도하였으며, 논의 과정에 대한 피드백 중 맥락 강조형 피드백, 과정 준거 제시형 피드백, 롤모델형 피드백, 그리고 인식 탐색형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 점검을 유도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중심 평가를 성공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피드백의 특성과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교사 피드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지역 일개 간호대학생의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한 뇌기능 향상 및 스트레스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Brain Function Enhancement and the Effects of Stress Reduction through Neuro-Feedback Training on Nursing Students of Busan)

  • 금명희;강영미;김혜경;정현숙;한미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119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euro-feedback program which improves brain function and stress reduction effect. The research design is one group pretest-posttest survey. 121 nursing students of a college in the Busan region took part in the study. Training involving the neuro-feedback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3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0 weeks. The collected data was encoded and analyzed using SPSS 12.0 Version. The brain function and stress level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the before-and-after results of the training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Q and SQ were enhanced as a result of the neuro-feedback.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RQ, ATQ, ACQ, and EQ of the BQ. SQ is correlated with the prevalence rate and resistance to disease, meaning not only psychological anxiety, uneasiness and excitement, but also physical anxiety and response to disease. Based on the study, by using the neuro-feedback training as a program for stress reduction, it is expected that nursing students will receive less stress from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heir ability to cope with stress will be enhanced.

자율실습에서 형성적 피드백이 간호대학생의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on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 efficacy)

  • 최동원;박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05-31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율실습에서 형성적 피드백을 적용한 후 학생의 실습만족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인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37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을, 전북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4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적용하였다. 중재를 적용하기 전과 후에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습만족도(t=-2.79, p=.007)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t=2.30, p=.024)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학습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기존에 동영상 촬영 후 동료피드백을 제공하는 것보다 교수자에 의한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자율실습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기 습득을 위하여 형성적 피드백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