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perspective research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2초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들의 수업문화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perspective and their instructional culture)

  • 권기영;이기영;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25-1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가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과 수업문화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이 수업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편의 표집한 설문지 21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win(v. 12.0)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가정과 교사가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을 조사한 결과, 해석적 관점, 해방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이었다. 또한 각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 요소에 대한 경향을 알아본 결과는 학습자, 사회에 대한 선호 경향은 전체 관점 경향과 일치하나, 교과지식에 대한 선호 경향은 해방적 관점, 해석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으로 전체 경향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과 교사들의 수업문화 실태는 '교사 간 협력', '학생 중심 수업', '수업자료 준비', '평가 활용 수업' 등의 요인에서는 긍정적인 수업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소극적 수업방식', '수업 중 학생행동' 등의 요인에서는 부정적인 수업 문화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이 수업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 간 협력요인, 수업자료 준비 요인, 수업 중 학생행동 요인, 학생 중심 수업 요인, 소극적 수업방식 요인 등 5개의 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넷째,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관점을 토대로 나눈 '교육과정 관점이 불분명한 집단'과 '교육과정 관점이 분명한 집단'의 수업문화는 4 가지 수업 문화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EFL 학생들의 자기평가 도구의 활용에 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Using Self-Assessment for EFL Students)

  • 나경희;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34-643
    • /
    • 2016
  • 평가도구가 갖는 객관성은 평가의 주요 원칙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지금껏 자기평가도구는 객관성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공식적인 평가도구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이 영어 강좌를 수강하는 과정에서 자기평가도구의 사용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해 나가며, 또한 평가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성취에 대한 평가를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는지에 대하여 양 질적으로 조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로서는 학생의 자기평가지와 심층면담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기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소규모 활동을 진행하면서 긍정적으로 되어 갔으며, 또한 자기평가라는 기제는 학생들이 그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장치로써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기평가의 가치를 타당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평가 연구가 교실 현장의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고 있다.

Cost-Effectiveness of Intensive Vs. Standard Follow-Up Models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Shiraz, Iran

  • Hatam, Nahid;Ahmadloo, Niloofar;Vazirzadeh, Mina;Jafari, Abdossaleh;Askarian, Mehrd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309-5314
    • /
    • 2016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amongst women throughout the world. Currently, there are various follow-up strategies implemented in Iran, which are usually dependent on clinic policies and agreement among the resident oncologists. Purpose: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ost-effectiveness of intensive follow-up versus standard models for early breast cancer patients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with 382 patients each in the intensive and standard groups. Costs were identified and measured from a payer perspective, including direct medical outlay.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follow-up models we used a decision tree along with indicators of detection of recurrence and metastasis, calculating expected costs and effectiveness for both cases; in addition,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results of decision tree showed expected case detection rates of 0.137 and 0.018 and expected costs of US$24,494.62 and US$6,859.27, respectively, for the intensive and standard follow-up models. Tornado diagrams revealed the highest sensitivity to cost increases using the intensive follow-up model with an ICER=US$148,196.2. Conclusion: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nsive follow-up method is not cost-effective when compared to the standard model.

Flipped Learning: Strategies and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 Miziuk, Viktoriia;Berdo, Rimma;Derkach, Larysa;Kanibolotska, Olha;Stadnii, All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63-69
    • /
    • 2021
  • Flipped learning is necessary for modern education but quite difficult to implement. In pedagogical science, the question remains to what extent the practical work of the teacher in combination with the technologies of flipped learning will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using flipped learning technologies, assessing their perception by students (advantages and problems), identified an algorithm for introducing flipped learning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search methods. The main method is an experiment.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observation method.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search hypothesis is that flipped learning allows the teacher to spend more time on an individu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real needs of students, and provide effective feedback,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learning and motivation of students, especially while studying complex materi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echnology of flipped education in the study of complex disciplines, courses, topics. The use of flipped learning strategies improves the self-regul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group work skills, improves students' ability to learn, overcome difficulties. The technology of flipped learning in the presence of modern technical means and constant work on improving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is an effective means for students to master complex topics and problematic issues that require additional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The perspective of further research is the consideration of integrated approaches to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echnologies to the principles of STEAM-education,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programs, etc. It is also worth continuing to develop a set of methods aimed at enhancing the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the formation of group work skills, direct participation in creating the foundations of higher education.

DEA 방법론 활용을 통한 국가 HRD사업에 대한 동태적 효율성 분석 (Dynamic Efficiency Analysis of Korean HRD Program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이중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63-71
    • /
    • 2012
  • 국가 HRD사업 중 IT 연구개발 인력양성사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동태적 관점에서 인력양성사업에 대한 성과의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첫째 매년 ITRC 정부지원금은 SCI논문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시제품 및 SW 개발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특허와 기술이전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둘째, 년도별 ITRC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ITRC 인력양성사업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IT관련 연구인력 양성사업 간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ITRC와 IT SoC사업, 외국인 유학생 지원 사업을 대상으로 동태적 효율성 분석결과, ITRC는 타 사업에 비하여 인력양성사업의 운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효율성의 원인은 선진화된 인력양성사업의 Catch-up에 의한 모방의 효과보다는 새로운 운영기법 및 운영체계에 의한 인력양성사업 성과체계를 도입하고 이를 활용한 요인으로부터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Islamic Perspective on Students Wearing a Burqa at Universities in Indonesia: Results from a Survey at Three Universities

  • Hanafiah, Muhammad;Hafidzi, Anwar;Nadhiroh, Wardatun;Assyauqi, Moh. Iqbal;Abidin, Muhammad Zainal;Kurdi, Musyarrafah Sulaiman;Andini, Yokke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251-260
    • /
    • 2019
  • Burqa or in Arabic An-Niqab is used to cover the entire face of a woman, except the two eyes. The burqa is not obligatory according to Syafi'i madzhab, which is followed by the majority of Indonesian Muslims. In this study, researchers used a survey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veiled female students' attitudes about themselves, their experience wearing a burqa, interactions with peers, and their perception of how other members of their academic community perceive them. The survey used Likert-type items. The sample in this study was 100 students from three general universities in South Kalimantan: Antasari State Islamic University, Rasyidiyah Khalidiyah Islamic College, and College of Quranic Sciences. The key findings include that 58.2% indicated a willingness to form associations with any women; 17.7% said they were happy associating only with the veiled community. A total of 13.9% said that sometimes they were told to take off their burqa when they were in the classroom. While most said they were never bullied on campus (67.1%), 19% said they were often bullied. Most (78.5%) said that they were given freedom even though there was a suggestion to open their faces when education and learning were taking place.

딥러닝 기반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 ICT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edic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Focusing on ICT Factors)

  • 이영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51-15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문제 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5의 ICT 요인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다. PISA 2015의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 해결력 평가에는 한국에서 5,58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유의미한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딥러닝을 사용하여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모델을 생성하였다. 모델 생성 결과 테스트 데이터 셋에 대해 약 95%의 정확도로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 모델을 바탕으로 협력적 문제 해결력 예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ICT 관련 설문을 통해 협력적 문제 해결력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에서 ICT 투입 및 사용에 대한 정책 결정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가상적 자료 생성 과정에 기반을 둔 자료 표현 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Statistical Literacy of Fifth and Sixth Graders for the Data Presentation Task Based on the Speculative Data Generation Process)

  • 문은혜;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4호
    • /
    • pp.397-413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적 자료 생성 과정에 기반을 둔 자료 표현 과제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상적 자료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자료 표현 과제를 설계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료 표현 영역에 대한 통계적 소양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단계별로 제시하여 발달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학생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더 높은 수준의 수행 양상에 도달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통계적 소양 수준 평가의 기준안을 명확히 하고, 각 수준 별 학생 반응을 자세히 분석하여 학교 통계 교육에서 자료 표현 지도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PBL(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한 방재안전분야의 재해 심리 수업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ases of the Disaster Psychology Course in the field of Disaster & Security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 이미숙;김수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75-82
    • /
    • 2018
  • 본 연구는 재해심리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재해심리 수업을 수강한 56명의 대학생이다. 재해심리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방식을 혼합하여 실시하였고, 문제중심학습 수업은 3주간 진행되었다. 수업에 대한 결과물은 문제분석지, 조별활동일지, 성찰일기, 조별평가지이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반복비교법, 삼각측정법을 통해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지식 습득, 다각적 분석을 통한 자신감, 실제적 문제해결력, 타인의 관점 수용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직업적 소명의식, 유사상황 대처에 대한 효능감, 관점의 변화라는 7가지 범주의 역량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문제중십학습 수업 모델 적용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수학퍼즐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와 전략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Strategies Appeared in Solving Mathematical Puzzles)

  • 김판수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295-306
    • /
    • 2019
  • 퍼즐은 대중을 위한 놀이라는 인식에서부터 학습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데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학퍼즐이 수학뿐만 아니라 정보교육에서도 창의성, 문제해결력, 긍정적 태도와 사고력 발달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퍼즐이 가지는 대중성과 우수한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퍼즐의 다양성 때문에 퍼즐 자체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가 수학퍼즐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수학퍼즐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분석 대상은 잘 알려진 20개의 수학퍼즐과 중·고등학생에게 인기 있는 수학퍼즐 단행본에 실린 85개의 수학퍼즐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크게 논리-분석적 사고 기능과 창의적 사고 기능으로 분류되었으며, 논리-분석적 사고 기능은 순차적 연역 추리, 동시적인 조합적 사고, 단순화시킨 유추적 사고, 형식화하기, 수학 지식의 적용 등 5가지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그에 따른 문제의 특성과 해결에 요구되는 사고전략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