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understanding

검색결과 1,081건 처리시간 0.032초

논의 중심 과학 탐구에 대한 예비과학교사의 이해와 인식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Views of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 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658-66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의 논의 중심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도시 소재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서 예비과학교사 17명을 대상으로 화학교과교재 및 연구법 수강이전과 이후에 실시한 서술형 설문과 사후개별 면담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사후 설문 및 면담에서 과학 탐구의 중요한 요소로서 논의를 언급하고, 탐구 문제에 대한 주장과 근거를 협상하는 과정으로서 논의의 역할을 이해하는 예비과학교사의 수가 사전보다 늘어났다. 예비과학교사들은 논의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었다. 사전에는 학생들의 소극적인 논의 참여를 어려움으로 인식하는 반면, 사후에는 예비교사 자신의 수업지도안 계획 또는 학생들의 논의를 안내하는 어려움에 대하여 언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 이해에 대한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Letters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소희;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139-154
    • /
    • 2008
  •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 적용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에 대한 이해 실태를 조사한 것으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292명의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상위 수준의 문자 사용 유형일수록 정답률이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문자 사용에 제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의 학생들만이 문자를 특정한 미지수로 여기거나 일반화된 수로 여길 수 있었다. 약 40%의 학생들이 문자 이해 수준 3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문자 이해 수준별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수 교수 학습 방향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중학교 학생의 과학 학습 방법 및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eferred Methods and Strategies of Science Learn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효진;김연규;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2-56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교재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전략을 조사${\cdot}$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 Preferred Method of Study(PMOS)를 사용하였고, 임상 면담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생들이 교과서 새 단원을 통독하는 횟수와 과학 점수간에는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제의 유형보다는 시험의 유형에 따라 학습 방법 및 전략을 더 쉽게 바꾸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과서를 학습할 때 좀처럼 요약, 도표, 그림 등과 같은 조직적인 도구를 활용하지 않았고, 한 가지의 학습 방법 및 전략을 선호${\cdot}$사용하였다. 또한 극소수의 학생(1%)만이 선행지식을 교과서 안의 새로운 개념과 연결시키려고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과학 교과를 공부할 때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자료로 교과서를 선택하지만 직접적인 학습에 있어서는 참고서와 문제집을 신뢰${\cdot}$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학습재로서의 교과서 개발과 효과적인 과학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의 학습 방법 및 전략과 인지심리학, 동기심리학 등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인지 수준의 이해를 통한 교수와 더불어 학생들의 학습 양태(learning style), 학습 방법 및 전략(learning method and strategy)을 파악하여 능동적인 의미구성의 장으로서 교과서의 역활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 집필의 기초 자료로서 학생들의 교과서 활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 분석이 요구된다.

  • PDF

한의과대학 학생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한의대생 인식도 연구 - 1개 한의과대학을 중심으로 - (Survey Research about Student Support Programs In Korean Medicine College)

  • 소의지;목태영;박부창;배지용;이지영;이현호;채지원;황성호;박선영;조학준;이주아;박정수;김영지;성현경;공경환;고호연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20
    • /
    • 2016
  • Background and objectives : Student support programs in Korean Medicine (KM) college have been not much activated as compared to other colleges. So, this research is aim to offer a baseline data to plan and run any kind of student support programs by understanding Korean Medicine student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Methods : The survey was taken for 4 weeks from 2nd may 2016 to 27th may 2016, asking 162 out of a total of 255 students from $1^{st}$ grade to $6^{th}$ grade (pre-med to med). 3 Korean medicine doctors and 8 general students in Korean medicine college made the questionnaire by reviewing and modifying used questionnaire for student support programs. It consists of 13 questions (3 question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of overall awareness about student support programs). Results : 'Advanced clinical training course' was the most preferred with 23.4% among 13 different student support programs when multiple voting was allowed. 'Chinese Medicine college tour' got 21.6%, and 'Major training in Chinese Medicine college (for 17 days)' followed next with 19.4%. Expected satisfaction score to student support programs was 7.30 on average out of 10. Conclusions : Expected satisfaction to student support program was likely to be high.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assessment and analysis when developing new student support program for Korean Medicine college students.

학생지원체계 개선을 위한 학생주도 교육평가 사례 (Student Engagement in Student Support System Reform: A Case Study)

  • 장예나;김서윤;강지윤;강동화;권나현;김가연;김나래;김상훈;김성우;김주희;김채연;박신영;박주연;박지수;이건호;임보라;윤보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2호
    • /
    • pp.174-183
    • /
    • 2023
  • Educational evaluation involves data collection and the analysis of various education-related factors to make decisions that improve educational quality. Systematic educational evaluation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reports a case of student-conducted process evaluation of a medical school's student support system and the procedure for devising improvement plans. Sixteen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Evaluation Committee (IUCM-EEC)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improvement process as learners and actively achieve improvement. The Quality Improvement Committee of th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UCM-QIC) decided to reform its student support system based on a previous educational evaluation in 2019.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 support system was conducted for 10 months in 2021 by the student subcommittee, under the guidance of the IUCM-EEC. The CIPP (context-input-process-product) evaluation model was used for a systematic evaluation. Accordingly, the subcommitte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and analyzed relevant data collected from surveys and the previous literature. For further recommendations and revision ideas, the student subcommittee members interviewed faculty members from six other medical schools and also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dean and vice deans of IUCM. Finally, the student subcommittee submitted a report to the IUCM-QIC. Communication with various stakeholders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evaluation process. In this case, students, as key stakeholders in education, evaluated the student support system. Their active participation helpe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process.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Self-assessment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 남정희;김지연;한인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7-29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3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2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과 자기평가만 실시하고 피드백은 제공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수업은 9주(2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과학 개념 이해 검사는 사후, 과학 관련 태도 검사는 사전, 사후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자기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자기평가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도 자기평가를 이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은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평가에 대해 학생들은 자기평가가 후속 학습에 영향을 주며, 학습 태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분류 지식의 생성과 이해 형태 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두뇌활성 변화 (Learning-Related Changes on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Classification of Knowledge-Generation and -Understanding)

  • 권용주;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7-49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학습 방식(범주생성형 vs. 범주이해형)이 학생의 분류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두뇌 수준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생성 집단과 이해 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뉘어 12주간의 서로 다른 학습프로그램을 체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과제수행 과정에서의 두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습프로그램 경험 전후에 fMRI 측정과 지필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분류범주생성 과제의 수행에서 생성집단은 교수-학습 경험 후 대뇌피질 영역과 기저핵 영역이 함께 증가되었으며, 선택-갈등과 관련된 전두피질 영역과 해마옆이랑의 활성감소가 나타났다. 반면 이해집단은 의미 있는 활성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류범주이해 과제의 수행에서는 이해집단이 교수-학습 경험 후 대뇌피질 영역과 해마옆이랑의 활성증가가 있었으며, 우측 전두피질부와 소뇌의 활성감소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특정 교수-학습 양식에 의해 학생이 경험하는 학습양식은 이와 관련된 학생의 특정 두뇌 시스템의 발달을 강화 혹은 약화 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는 두뇌 맞춤형 과학적 분류 학습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Validity and Satisfaction for Objective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Administration Subsid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HRDP) and the Customized Employment Program(CEP) in Specialized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강철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8-87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와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107개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참여 학교(공업 농업 계열)의 담당 교원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본 사업의 목적을 특성화고의 취업 확대와 중소기업의 인력 제공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본 사업이 학교 성과 향상에 중요하며 실제로도 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중소기업에 대한 학생의 이해 증진,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 학생의 직업관 함양, 취업 과정을 기반으로 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체계화, 산학협력 교육 강화, 학생의 기술수준 향상, 현장견학보다 현장체험 및 실습 위주의 현장학습 실시, 협약기업에 대한 맞춤형 기능인력 양성,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 학교와 중소기업 간 취업 연계 기반 마련, 자기 조직(학교)의 외부에 대한 홍보, 산학협력 기회 확대, 산업 업종별 협회 및 단체와 학교 간 협력 체계 구축, 공동 교육 채용을 위한 취업 연계 모델 도입 및 운영, 교원의 현장 전문성 강화가 본 사업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 교육 강화,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를 제외한 나머지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셋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학생의 취업 기회 확대, 양질의 취업처 발굴, 산학협력 기회 확대, 현장 중심 교육 실시, 학생의 전공 기초 및 심화 기술 향상, 학생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문해 수리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학생의 업무 태도 향상, 학생의 바람직한 진로 탐색 결정이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신뢰가 학생침묵과 이탈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on Student Silence and Exit Intention)

  • 조현진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5호
    • /
    • pp.59-66
    • /
    • 2019
  • Purpose - Many studies show that dissatisfied customers are silent rather than expressing complaints directly to firms. Although silent voices are pervasive in service failure, they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Silence implies a multidimensional nature, not just the opposite of voice. This study focuses on two types of silent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This study also proposes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as variables affecting student sil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trust types on student silence and exit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test the proposed mode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selected silence in a dissatisfied relationship with a professor. Respon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recalling the dissatisfaction at that time. A total of 300 students was surveyed from whom 275 completed questionnaires was obtain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for the hypothesis test. Results - First, cognitive trust was negatively related to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Second, affective trust was negatively related to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Third, cognitive trust was negatively exit intention, but affective trust didn't significantly reduce exit intention. Forth, acquiescent sil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exit intention, but defensive silence didn'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xit intention. Thus, a key result of this analysis was that acquiescent silence enhances exit intention.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silence, and the role of trust, thus furthering the implication of student reactions to dis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value of student silence in the context of complaint management. Acquiescent silence should be more importantly managed because it has stronger negative motive than defensive silence. Acquiescent silence is reduced through various channels(mail, telephone, counseling) that can express complaints.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are a essential factors in reducing silence. Also, in explaining exit intention, cognitive trust plays a more important role than affective trust.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가치 변화 양상 (Changing Aspect of Teacher and Student's Valu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조수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3호
    • /
    • pp.273-287
    • /
    • 2018
  •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의 가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수학학습 가치 설문지를 활용하여 15차시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교사의 가치를 4차에 걸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치는 개인이 수많은 경험을 거쳐 내면화된 깊이 있는 판단 양식임에도 불구하고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교사는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무조건 강요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반영하여 자신의 목표를 수정해 나갔다. 수학적 가치의 경우, 합리주의, 객관주의, 미스터리는 교사와 학생이 서로 수렴하였고, 통제는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개방의 경우 교사와 학생모두 상향 하였다. 수학 교육적 가치의 경우에는 이해, 즐거움, 용어, 적용의 경우 서로 수렴하였고, 성취는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또한 교사는 효과적인 수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학생과의 가치에 대해 협상해 가면서 몇 가지 전략을 사용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 중심수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가치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