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blight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2초

Wilt of Perilla Caused by Fusarium spp.

  • Kim, Woo-Sik;Kim, Wan-Gyu;Cho, Weon-Dae;Yu, Seung-H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93-299
    • /
    • 2002
  • A survey of Fusarium wilt of perilla was conducted in 12 locations in Korea from 1999 to 2001. The disease occurred in 74 out of 187 fields in the 12 locations surveyed, and incidence of the disease reached up to 30% at its maximum in some perilla fields in Seosan and Dangjin. Incidence of the disease in the other locations ranged from 0.2 to 20%. A total of 327 isolates of Fusarium spp. were obtained from stems and roots of the diseased perilla plant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ut of the 327 isolates of Fusarium, 277 isolates from 12 locations were identified as F. oxysporum, 11 isolates from three locations as F. solani,17 isolates from two locations as F. equiseti, 4 isolates from one location as F. avenaceum and 6 isolates from one location as F. subglutinans. The other 12 isolates of Fusarium from four locations were unidentified. Twelve isolates of F. oxysporum and two isolates each of the other Fusarium spp. were tested for their pathogenicity to five cultivars of perilla. Seven isolates of F. oxysporum were strongly pathogenic to some perilla cultivars, but the other five isolates were weakly or not pathogenic. One isolate of F. solani was strongly pathogenic to all the perilla cultivars tested, but another isolate was not pathogenic. All the isolates of F. equiseti, F. avenaceum, and F. Subglutinans tested were not pathogenic to any of the perilla cultivars tested. Symptoms on the perilla plants induc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ith strongly pathogenic isolates of F. oxysporum and F. solani appeared as wilt, stem blight, and root yet,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The isolates which induced symptoms by artificial inoculation were re-isolated from the lesions of the perilla plants inoculated. All the isolates of F. oxysporum tested were not pathogenic to eight other crops inoculated.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F. oxysporum is the main pathogen of perilla wilt and that it is host specific to perilla. forma specialis of F. oxysporum causing wilt of perilla is proposed as perillae.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해바라기 분홍빛썩음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n Pink Rot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in Korea)

  • 김상규;허온숙;성정숙;고호철;;이주희;백형진;류경열
    • 식물병연구
    • /
    • 제23권2호
    • /
    • pp.202-205
    • /
    • 2017
  • 해바라기 재배포장에서 화뢰 부분이 썩는 증상이 나타났다. 병징은 감염된 화뢰 부분이 갈변되어 줄기로 번져갔다. 감염된 화뢰의 종자에는 주황색의 포자덩어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병징으로부터 곰팡이를 순수 분리하여 감자 한천배지에 배양한 결과, conidiophores에 포자를 형성하여 흰색에서 분홍빛을 띠었다. Conidiophores는 단순형 또는 분지형으로 길이는 $62.5-123.1{\mu}m$였다. 분생포자는 무색의 격막이 없거나 하나 있는 둥근타원형에서 서양배 모양으로 크기는 $10.2-21.4{\times}7.5-12.6{\mu}m$였다. 이 균은 건전한 해바라기 잎에 접종하였을 때 잎에서 윤문형의 검은색 반점을 형성하였다.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ITS 염기서열 분석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Trichothecium roseum으로 동정되었으며 해바라기 분홍빛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Bacillus subtilis GDYA-1로부터 분리한 benzoic acid의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enzoic Acid from Bacillus subtilis GDYA-1 against Fungal Phytopathogens)

  • 윤미영;서국화;이상현;최경자;장경수;최용호;차병진;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8권2호
    • /
    • pp.109-116
    • /
    • 2012
  • 전라남도 영남지역의 감나무 줄기로부터 다양한 식물병에 대해 방제 효과를 보이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16S rRNA sequenc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B. subtilis로 동정되었으며, B. subtilis GDYA-1로 명명하였다. In vivo 생물검정에서 GDYA-1 액체 배양액은 벼 도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에 항균 활성을 보였다. 액체 배양액으로부터 한 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으며,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해 분리한 물질은 benzoic acid로 동정되었다. Benzoic acid는 M. oryzae, R. solani, S. sclerotiorum 및 P. capsici의 균사생육을 62.5-125 ${\mu}g/ml$에서 완전히 억제하였다. 또한 benzoic acid는 고추 역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benzoic acid의 식물병원성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Benzoic acid와 B. subtilis GDYA-1는 식물병원성곰팡이로부터 작물을 친환경적으로 보호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호도나무 줄기와 가지의 병원균(病原菌) 삼종(三種)의 동정(同定)과 균사생장(菌絲生長)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 구명(究明) (Identification of Three Fungi Associated with Stem and Twig Diseases of Juglans sinensis in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ir Growth)

  • 이명옥;이영희;조원대;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91-199
    • /
    • 1992
  • 본(本) 실험(實驗)의 목적(目的)은 천원(天原), 영동(永東), 괴산(塊山)에서 재배(栽培)하고 있는 호두나무(Juglans sinensis Dode)에 가지마름과 고사(枯死)를 일으키는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하여 동정(同定)하고 이들 병원균(病原菌)의 병원성(病原性) 및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 발병율(發病率) 등(等)을 조사(調査)하는 것이었다. 분리(分離)된 병원균(病原菌)의 균학적(菌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이들균(菌)은 Botryosphaeria dothidea (Mou g. ex Fries) Casati et de Notaris(가지마름병(病)), Phomopsis albobestita Fairman (Phomopsis 가지마름병(病)), Melanconis juglandis (Ellis et Everhart) Graves(검은 돌기 가지마름병(病))로 동정(同定)되었다. 온실내(溫室內)에서 이들균(菌)의 병원성(病原性)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2년생(年生) 호도나무 묘목(苗木)에서 병원성(病原性)이 입증(立證)되었다, 균사생육(菌絲生育)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B. dothidea와 P. albobestita는 $25{\sim}30^{\circ}C$ 사이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 하였으며, M. juglandis는 $20{\sim}25^{\circ}C$에서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으며 세 가지 균(菌)모두 $4^{\circ}C$$40^{\circ}C$에서는 생장(生長)하지 않았다. 분리(分離)된 세 균(菌)의 생육(生育)은 배지(培地)에 따라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생육최적(生育最適) pH는 B. dothidea와 M. juglandis의 경우 4.0~8.0의 범위(範圍)이며 P. albobestita의 경우(境遇) 4.0~5.0으로 나타났다. 균사생육(菌絲生育)에 미치는 탄소원(炭素源)과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B. dothidea의 경우(境遇) 탄소원(炭素源)으로는 glucose, sucrose, starch 및 maltose을, 질소원(窒素源)으로는 histidine과 potassium nitrate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이 좋았다. P. albobestita의 경우(境遇) 탄소원(炭素源)으로 glucose 와 sucrose를 질소원(窒素源)으로 alanine과 potassium nitrate를 함유(含有)한 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이 좋았으며 M. juglandis는 glucose, sucrose, potassium nitrat, 함유(含有) 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이 좋았다. 주요 호도나무 재배지역(栽培地域)에서 발병(發病) 상황(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조사지역(調査地域) 모두에서 P. albobestita에 의한 피해(被害)가 가장 심하였으며, 15년생(年生) 이상(以上)된 수목(樹木)이 어린나무보다 더 피해(被害)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옥수수 종자(種子)에서 검출(檢出)된 Fusarium moniliforme와 그 병리학적(病理學的) 중요성(重要性) (Fusarium moniliforme Detected in Seeds of Corn and Its Pathological Significance)

  • 김완규;오인석;유승헌;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5-110
    • /
    • 1984
  • 1. 강원도(江原道) 농촌진흥원(農村振興院)에서 분양(分讓)받은7개의 옥수수 종자시료(種子試料)를 공시(供試)하여 표준습지법(標準濕紙法)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Fusarium moniliforme가 전시료(全試料)에서 $6.0{\sim}79.5%$의 범 위(範圍)로 검출(檢出)되었으며, 이 균(菌)의 검출율(檢出率)이 높은 종자시료(種子試料) 에서는 종자(種子)외 발아율(發芽率)이 매우 저조(低調)하였다. 2. 옥수수 종자내(種子內)에서 F. Moniliforme의 감염부위(感染部位) 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첨모(尖帽)에서 가장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심(甚)하게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는 과피(果皮)와 배유(胚乳)는 물론 배(胚)에 까지 감염(感染)되어 있었다. 3. F. moniliforme에 심(甚)하게 감염(感染)된 옥수수 종자(種子)를 살균토양(殺菌土壤)에 파종(播種)한 경우(境遇), 종자부패(種子腐敗)와 유묘고사(幼苗枯死)의 피해(被害) 가 크게 나타났으며, 약(弱)하게 감염(感染)된 종자(種子)에서는 피해(被害) 가 적었다. 그러나 외부(外部)에 뚜렷한 병증(病徵)이 없이 생육중(生育中)인 옥수수의 줄기내에서도 F. moniliforme가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어, 이 균(菌)이 종자(種子)로부터 지상부(地上部) 식물체로 전신감염(全身感染)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4. 옥수수 종자(種子)에서 분리(分離)하여 배양(培養)한 F. moniliforme 의 균주(菌株)를 70일(日) 된 옥수수 줄기에 접종(接種)하여 병원성(病原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모두 줄기썩음을 일으켰으며, 황옥(黃玉) 3호(號)가 수원(水原) 19호(號) 보다 더 이병성(罹病性)인 것으로 나타났다./TEX>는 5.1 3mg salicin/ml이었다. 반응시간(反應時間)에 따른 환원당(還元糖)의 생성(生成)은 Avicelase는 120분(分) CMCase와 ${\beta}-glucosidase$는 60분(分)까지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금속(金屬) ion의 영향(影響)은 $Ca^{2+}$$10^{-2}M$농도(濃度)에서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을 증가(增加)시켰으나 $Hg^{2+},Ag^+$은 크게 저해(沮害)하였다.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계를 나타낸 집단은 몽고마로서 Da genetic distance에서 0.1517로 나타났고, 제주경주마와는 0.2628의 유전적 거리를 보였다.터링이 필요하였고 유역과 저수지의 통합적인 수질관리계획 이 요구되었다.group으로,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pH, 인산염이 정점 3, 4, 5에서 같은 group으로 묶였다.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im502^{\circ}C)$의 온도범위(溫度範圍)에서 분해(分解)되며 공기중(空氣中)에서는 $750\sim935^{\circ}F$ 범위(範圍)에서 분해(分解)한다.첫째, 무엇보다 아동이 성장기임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아동들의 식이, 운동습관 및 비만과 관련된 행동의 변화가 생활 가운데

  • PDF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추출물의 제초, 살균 및 살충활성 효과 (Effect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Extracts on Herbicidal, Fung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 윤영범;김진화;장세지;김도익;권오도;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8-106
    • /
    • 2012
  • 본 연구는 야콘의 잎, 줄기, 괴경 추출물 중 어느 부위에서 제초, 살균 및 살충효과가 가장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 부위별로 물, 열수 그리고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또한 위의 추출방법 중 제초활성능력이 뛰어난 것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OH, $H_2O$로 용매분획하여 잠정적 제초 성분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억제에 대한 추출방법 중에 메탄올 추출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식물체 부위별로는 괴경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Ethyl acetate, butanol, chloroform, hexane, water의 용매분획에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저해는 물층에서 가장 좋았고 그 밖의 분획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와 10%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해 바랭이와 까마중은 각각 70~80%와 95~100% 방제되었다. 그러나 이들 농도의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한 오이와 보리 경엽처리에 의한 저해 효과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야콘 잎 추출물 처리 후 3일째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률은 50%이었다. 벼멸구의 경우 5% 줄기와 잎(중륵 포함) 추출물에 의한 살충률은 24%로 낮았고 중륵이 배제된 잎 추출물에서 57% 살충률을 보였다. 그러나 5% 잎 추출물에 대한 탄저병, 시들음병, 청고병, 흰잎마름 병원균에 대한 살균효과는 없었다.

벼 유기재배 시 녹비작물 처리에 의한 작물의 생육, 수량 및 품질 비교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y Green Crop Treatments in Rice (Oryza sativa L.) Organic Cultivation)

  • 차광홍;오환중;박흥규;안규남;박노동;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2011
  • 벼 재배포장에서 녹비작물의 이용성을 조사하고자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적용하여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무농약 4년차 벼 재배포장에서 벼 수확 후 재배한 보리를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녹비구),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파한 다음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벼 수확 후 녹비작물을 재배하지 않은 방임구(나지방임구)와 보리를 재배한 후 수확한 처리구(관행구)에서 호품벼를 2009년 6월 15일 평당 60주를 기준으로 기계 이앙하여 얻어진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수장은 관행구가 조금 길었으며,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백미 수량은 관행구를 100%로 볼 때 보리녹비구가 90.3%,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가 95.9%로 나타났다. 2. 벼 품질 평가에서 보리녹비구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의 단백질 함량은 관행구 6.6%에 비해 5.7%로 낮았다. 아밀로스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18.8~19.1% 범위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백도는 관행구 37.7에 비해 보리녹비구 38.9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39.1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3. 취반미 윤기치는 관행구 77.6에 비해 보리수확구가 82.0, 나지방임구가 83.8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4. 완전립율이 나지방임구는 95.5%인 반면에 관행구, 보리녹비구,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에서 93.8~94.2% 범위로 약간 낮게 나타났다. 쇄립율도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분상질립율은 관행구가 1.7%로 가장 높았다. 5. 본 시험에서 발생된 병해는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이었다. 해충으로는 굴파리류, 혹명나방, 줄점팔랑나방, 끝동매미충이었다. 기상환경이 병해충발생에 불리한 조건으로 경과되어 병해충 발생이 전반적으로 적었으며 처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s)

  • 이상무;전병태;구재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41
    • /
    • 1994
  • 본 시험은 사초용으로 생산성이 우수한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잡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도입 9품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시험은 3년간(1989-1991)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부속 사료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용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년간 평균초장은 $NC^+855$, Sordan79와 T.E. haygrazer가 다른 품종에 비해 길었으며, Super grazer는 173cm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p<0.01). 1차예취시 생육단계에 있어서는 $NC^+855$와 Pioneer988이 빨랐으며, G83F, FP5, Super grazer는 늦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2. Super grazer와 Sordan79는 경이 굵은 품종인 반면, $NC^+855$, Garst757과 FP5는 타 품종에 비해 경이 가늘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3. 평균 벽자수는 3.1~4.0개이며, $NC^+855$와 PF5는 4.0개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고사솔은 Sordan79가 4.0%로 가장 낮은 반면, Super grazer가 9.8%로 가장 높았다(p<0.05). 4. GW9110G, G83F, T.E. gaygrazer는 도복성이 심하며(pM0.01), 붉은 반점 출현은 Grarst757, $NC^+855$, Sordan79에서 특히 심하였고(P<0.05), 서리피해도 전 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5. 상대기호성은 GW9110G, Sordan79, Garst757이 높았으나 G83F와 Super grazer는 낮게 나타났다(P<0.05). 나머지 4품종은 이들 중간이였다(73-78%). 6.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공시 품종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나 Pioneer988과 Sordan79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품종이 연작에 의한 감수현상을 나타냈다. 이상 수수$\times$수단그라스의 9품종중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면에서는 Pioneer988과 Sordan79가 가장 좋았으나 GW9110G와 Garst757은 기호성이 타 품종에 비하여 높은 반면 다소 수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