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amed garlic powd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7초

증숙 마늘 및 유자 분말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Added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 신정혜;최덕주;권오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2-398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0, 2, 4, 6, 8 and 10%) of freeze-dried steamed garlic and Yuza(Citrus junos Sieb ex Tanaka) powder, combined at the same ratio. The cake height and specific loaf volume were highest in the 4%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group. Moistur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 and 4%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With increasing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content, the L- and b-values of the crust decreased, but the a-value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value of the crumb was insignificant within each group. Compared to the a-value of the $0{\sim}2%$ added groups, the a-value of the $4{\sim}10%$ added group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contents. However the b-value decreased in the 8 and 10%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groups.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6{\sim}10%$ added groups, and the gumminess of the 10% addi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ung the groups, except for moistness.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recommended optimal level of steamed garlic and Yuza powder in sponge cake is a 4% addition.

증숙 마늘 분말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Steamed Garlic Powder)

  • 신정혜;최덕주;권오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96-702
    • /
    • 2007
  • 마늘을 첨가한 기능성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마늘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함에 있어 매운맛을 감소시키고자 증숙한 후 진공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농도별로 첨가 한 스폰지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증숙 마늘 분말을 4% 이상 첨가할 경우 분말 첨가량과 더불어 증가하였다. 증숙 마늘 분말을 $4{\sim}8%$ 첨가하였을 때 스폰지 케이크의 높이는 $3.53{\pm}0.12{\sim}3.60{\pm}0.15cm$로 증숙 마늘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3.11{\pm}0.05c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체적은 증숙 마늘 분말 4% 첨가군에서 $3.86{\pm}0.07mL/g$으로 가장 높았으며, 6% 이상 첨가시는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Crust(케이크 껍질부)의 L값과 b값은 증숙 마늘 분말이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a값은 L값과 상반되는 경향으로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점차 증가되었다. Crumb(케이크 내부)의 L값은 증숙 마늘 분말 4% 이상 첨가시는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어 어두워지는 경향이었다. a값은 증숙 마늘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4% 이상 첨가할 때는 실험군간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스폰지 케이크의 물성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대조군에서 $812.42{\pm}56.69g$이었는데, 증숙 마늘 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1005.36{\pm}43.65{\sim}1522.78{\pm}204.95g/cm^2$의 범위로 마늘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스폰지 케이크의 관능평가 결과 촉촉함이나 전체적인 기호도를 중심으로 평가할 때 증숙 마늘 분말 4%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모든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증숙 마늘 분말 첨가시 케이크의 품질 및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첨가 가능한 범위는 8% 이내로 판단되며, 4% 첨가시 가장 우수한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조건을 달리한 마늘 첨가식이가 1%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with Different Processing on Lipid Metabolism in 1% Cholesterol Fed Rats)

  • 강민정;이수정;신정혜;강신권;김정균;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2-169
    • /
    • 2008
  • 처리조건을 달리한 생마늘, 증숙마늘 및 흑마늘 분말을 3% 농도로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급이하였을 때 혈액 및 간장의 지질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마늘 분말 급이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체중 및 식이효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장의 무게는 생마늘 분말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당은 생마늘 분말과 흑마늘 분말첨가 급이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총 지질은 흑마늘 분말 급이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마늘 분말 급이군들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마늘 분말을 급이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증가되었고, LDL- 및 VL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GOT 활성은 증숙마늘 급이군에서 가장 낮았다. 간장조직의 지질 함량은 마늘 분말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 조직의 TBARS 함량은 마늘 급이 유무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마늘 급이군에서 증가되었다. 고지방식이에 3%의 생마늘 및 흑마늘 분말 첨가식이는 혈액 및 간장의 지질 함량 저하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흑마늘의 경우 동맥경화 예방 및 체내 지질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우육조리법(牛肉調理法)의 역사적(歷史的) 고찰(考察) -III. "찜"-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III. steaming-)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89-49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various kinds of cooked beef products focusing on 'Chim' (a steamed beef products)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s written from 1670 to 1945 in korea. 'Chim' was recorded 25 times in the references and could be classified to 5 groups based on major ingredients such as stomach, intestine, lean meat, tail and ribs. Among the eleven cooked products of 'Chim', 'Kalbi-chim' (a steamed ribs) was recorded most frequently and 'Sundae-chim' (sausage-like product) was the next. Though 'Kalbi-chim' has been used untill present day but 'Sundae-chim' was disappeared in the early 19th centuries. Ribs were most popular ingredient among the major ingredients such as stomach, intestines, lean meat, tail, feet and ribs. Twenty one kinds of subingredients including pheasant meat, blood clot and flour were used for 'Chim'. Decorating ingredients such as roasted sesame power, pine nut and thin-layer fried eggs and seasonings such as pepper, roasted sesame powder, tripe, garlic, soy sauce and seasonings such as pepper, roasted sesame powder, tripe, garlic, soy sauce and sesame oil were used for 'Chim'.

  • PDF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Fresh and Steamed Garlic Powders)

  • 이수정;신정혜;최덕주;권오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48-1054
    • /
    • 2007
  • 생마늘 및 증숙마늘 동결건조분말을 밀가루에 대해 0, 0.5, 1, 2, 4 및 6%(w/w)로 첨가하여 제조한 마늘 쿠키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퍼짐성은 생마늘 분말 6% 첨가시 $8.48{\pm}0.31$, 증숙마늘 분말 0.5% 첨가시 $8.62{\pm}0.21$로 가장 높았다. 쿠키 표면색 중 L값은 대조군에 비해 마늘 분말의 첨가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나, 마늘 분말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a값은 마늘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마늘 분말을 1, 2 및 4% 첨가했을 때 실험군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b값은 증숙마늘 분말 첨가군에서 마늘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도는 마늘 분말을 첨가함으로 높아졌는데 증숙마늘 분말 2% 첨가시 가장 높았다. 관능적 특성으로 표면의 색깔은 생마늘 분말에서 2% 이상 첨가시 다소 갈색을 띄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균열정도는 증숙마늘 첨가군에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쿠키의 마늘맛과 향은 마늘 분말을 6% 첨가시 증숙마늘 분말 첨가군에서 다소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0.5{\sim}4%$의 마늘 분말을 첨가시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마늘 분말을 1% 첨가한 쿠키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 0.5% 첨가군 순이었다. 관능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 분말 첨가 쿠키 제조시 적정 마늘 분말 첨가량은 1%이며, 생마늘 분말에 비해 증숙마늘 분말 첨가시 쿠키의 기호도가 더 높았다.

증숙마늘 분말 첨가 조청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Steamed Garlic Powder)

  • 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65-870
    • /
    • 2012
  • 마늘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전통식품과의 접목 방안을 모색하고자 증숙마늘 분말을 5~30% 첨가하여 전통적인 감미제인 조청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탁도 및 착색도는 증숙마늘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증숙마늘 분말 30% 첨가시 착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3배 더 높았다. 조청의 점도도 동일한 경향으로 증숙마늘 분말을 30% 첨가하였을 때 점도는 $(272{\pm}2){\times}10^3$ cps로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조청의 pH는 $4.31{\pm}0.11{\sim}4.58{\pm}0.02$의 범위로 대조군($5.35{\pm}0.12$)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환원당은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0% 첨가시에는 $44.66{\pm}0.26$ mg/100 g이었다. HMF 함량은 대조군과 증숙마늘 분말 5%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상 첨가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55{\pm}0.10{\sim}4.87{\pm}0.08$ mg/kg의 범위였다. 유리당은 maltose, glucose, raffinose 및 fructose 순으로 높게 정량되었고, 증숙마늘 분말 첨가 조청은 대조군에 비해 maltose 및 raffinose의 함량은 낮고 fructose의 함량은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증숙마늘 분말 20% 미만 첨가시는 색, 감미, 전반적인 선호도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조청 제조시 증숙마늘 분말은 20% 미만으로 첨가함으로써 관능적 특성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이 우수한 조청을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처리조건 및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마늘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Powders)

  • 장영은;김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80-1687
    • /
    • 2011
  • 마늘을 무처리(control), 자숙(boiling), 굽기(baking), 증자(steaming)의 처리방법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분말마늘을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비교조사 하였다. 열처리 후 열풍건조한 분말마늘은 동결건조분말마늘보다 수분함량이 높았고, 수분활성도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색차계로 분말마늘의 색도를 조사한 결과, 열풍건조구가 동결건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L 값은 낮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 값은 높았으며 특히 굽기 처리를 한 경우 갈변현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분말마늘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전자공여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가열처리를 하지 않고 건조시킨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고, 자숙, 굽기, 증자 등의 열처리를 한 경우는 열풍건조방법이 동결건조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아질산염소거능은 전처리방법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전용해능은 가열처리과정 없이 열풍건조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마늘이 가장 우수하였고, 가열처리를 한 경우는 열풍건조로 제조된 분말마늘의 혈전용해능이 동결건조분말마늘보다 2배 정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처리방법 중에서는 굽는 방법은 자숙처리법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사 결과, 모든 열처리구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무처리구의 경우 동결건조가 열풍건조보다 높은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균주별로는 Bacillus cereus,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음식디미방","규합총서(閨閤叢書)","조선무쌍신식요이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 usangsinsikyorijebub"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

  • 김업식;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6-375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usangsinsikyorijebub" over time. As food ingredients, seaweed, red pepper, salted fish, Korean hot pepper paste have been used in "Gyuhapchongseo". The use of cattle by parts, saltwater fish, Chinese cabbage, powdered red pepper, garlic have increased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Cooking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wheat flour, a double boiler by the use of steam, and boiling and then roasting cuisine were mostly used in"Eumsikdimibang", but reduced in"Gyuhapchongseo". In "Gyuhapchongseo", the cooking methods are primarily aimed at a positive visual effect, and slices of dried meat seasoned with spices have increased.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various Tang (Guk), the taste of food changed by controlling the gravy content (Gigimi, Chigye, Chorim), meat mixing oil, vegetable and mushroom together to cook and boiling down the main food ingredients to soak the seasoning were increased. Dog-meat steamed dish using the intestine of dog in "Eumsikdimibang" was changed to small intestine of cattle steamed dish in "Gyuhapchongseo". And seasoned dog meat with choncho in "Eumsikdimibang" influenced on beef tail soup with Korean hot pepper paste in "Gyuhapchongseo", and Yookgyejang soup using Korean hot pepper paste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In steamed young chicken, the stuffing such as soybean paste, choncho, welsh onion, leek and flour in "Eumsikdimibang" was changed to minced beef, welsh onion, dropwort and Shiitake mushroom in"Gyuhapchongseo". The steamed young chicken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with stuffing was added to chicken soup using glutinous rice, and ginseng powder. Now, the chicken soup was changed to Samgyetang with glutinous rice, and ginseng.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various vegetable dishes were cooked with beef.

꿩고기 조리법의 문헌적 고찰 - 1800년 대 말~1990년대까지의 조리서들을 중심으로 - (A Literature Review on the Recipes for Pheasant - Focus on Recipe Books from 1800's to 1990's -)

  • 국경덕;권용석;정혜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5-467
    • /
    • 201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various kinds of recipes for pheasant found in seventeen Korean cookbooks published from the 1800's to the 1990's. There were 95 pheasant recipes found in the literature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groups: cooking with moist heat, cooking with dry heat, and other. The three major groups were then broken down into thirteen smaller groups. A detailed look at the frequency of terms in each recipe shows that Gui Sanjeok (grilled Korean shish kebabs) appears 24 times, Guk Tang and Jeongol (soup and stew) 23 times, Kimchi (fermented cabbage) 11 times, Po (jerky) 9 times, Jorim (boiled in soy sauce) 7 times, Jjim (steamed) 6 times, Bokeum (stir-fried) 5 times, Twigim (deep-fried) 3 times, Buchim (fried) 2 times, Jigae jijim (stewed) 2 times, and Jang (paste), Myeon (noodles), Gooum (boiled) and Yeot (Korean hard taffy) 1 time each. The main ingredient is always the pheasant. We investigated the use of the whole pheasant cooked, how to slice and tenderize pheasant meat, use the meat only, or use only certain par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oking recipes, pheasants with thin, soft bones and organs were investigated for cooking. Substituted materials were used for a few of the vegetables, meat, and seafood in the recipes, and seem to go well together. Garnishes used included pine nut powder and fried eggs. Seasoned salt, soy sauce, pepper, sesame, sesame oil, chopped onion, garlic, and ginger were also reported to have been used.

진공포장 정어리 조미건제품의 제조 및 품질안정성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Vacuum Packed Seasoned-Dried Sardine)

  • 이응호;김진수;김한호;이진경;오광수;권칠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9
    • /
    • 1986
  • 일시다획성 적색육어류인 정어리를 원로로 상온유통이 가능하며 즉석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진공포장 정어리조미건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조건 및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가공조건은 머리, 내장을 제거한 정어리를 $95^{\circ}C$, 10분간 증자한 후 필레를 만들어 솔비톨 $28\%$, 설탕 $14\%$, 식염 $5.6\%$, 글루탐산나트륨 $1.8\%$, 마늘가루 $0.6\%$ 및 물 $50\%$로 된 조미액에서 $5^{\circ}C$, 15시간 조미한 다음, 다시 $10\%$ Smoke-EZ 훈액에 45초간 침지처리하여 이것을 $45^{\circ}C$에서 4시간 열풍건조시킨 후 적층플라스틱필름주머니(polyester/casted polypropylene= $12{\mu}m/70{\mu}m,\;15{\times}16cm$)에 $90{\sim}100g$씩 충전, 진공포장한 후 $95^{\circ}C$에서 30분간 열탕살균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제품S). 또 조미액에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한 제품(제품E)도 대조제품(제품C)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저장 중 수분함량, 수분활성 및 pH는 전제품 모두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휘발성염기질소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제품의 지방산조성은 원료 정어리의 조성비와 거의 비슷하여 20:5 및 22:6산을 주체로 하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41.1\%{\sim}43.3\%$로 상당히 높았으며, 16:0, 20:5, 18:1 및 22:6산 등이 주요구성지방산이었다. 저장 중 20:5산의 조성비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훈액처리제품(S)이 나 sodium erythorbate 첨가 제품(E)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보존효과가 좋았다. TBA값 및 과산화물값은 제품(E) 및 (S)의 경우 저장 중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나 대조제품(C)에 비해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어 지방산패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색조는 저장 중 전제품 모두 명도(L값)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a 및 b값)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중 제품의 생균수는 음성이었고, 히스타민한량은 전제품이 2.0mg/100g이하로 식품위생상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제품의 텍스튜어, 즉 경도, 탄성 및 응집력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관능검사 결과 훈액처리제품(S)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점을 얻었으며, 전제픔 모두 저장 40일째까지는 제품의 품질저하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