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swelling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7초

산 처리 쌀 전분의 성질 (Properties of Lintnerized Rice Starches)

  • 박양균;김성곤;김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2-67
    • /
    • 1991
  • 동진벼(일반계)와 삼강벼(다수계) 전분의 구조적 성질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전분을 2.2N HCl로 48시간 산처리한 가수분해율과 산가수분해하여 전분 구조에 변화를 준 산처리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DSC 및 gluco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율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산 가수분해율은 동진벼가 약간 높았으며, 가수분해속도는 산처리 24시간을 기준으로 초기에는 늦고 후기에는 빠른 2단 거동을 보였다. 산처리에 따라 ${\lambda}_{max}$ 청가 및 아밀로오스 함량은 감소하였고, 물결합 능력, 팽윤력, 용해도 및 결정도는 증가하였다. 요오드 반응에 의한 최대흡수 파장은 동진벼가 높았으며 최대흡수파장 및 680 nm에서의 흡광도도 동진벼가 높았으나 산처리 24시간 후에는 삼강벼가 높았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모든 산처리구에서 동진벼가 높았고, 물결합 능력, 팽윤력 및 용해도는 삼강벼가 높았다. 산처리 중 전분의 결정형태는 A형이 유지되었으며 상대결정도는 동진벼가 높았다. DSC특성값은 산처리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gluco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율은 산처리에 따라 증가하여 산처리 48시간에 동진벼는 59%, 삼강벼는 56%로 전체적으로 동진벼가 높았다.

  • PDF

신선찰벼와 찰흑미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Shinsun (Waxy) and Black Rice Starch)

  • 최경철;나환식;오금순;김성곤;김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953-959
    • /
    • 2003
  • 흑미 (상해항혈나)와 신선찰벼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찰벼와 흑미 전분의 일반성분은 시료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무기성분은 신선찰벼 전분의 경우 Ca, Mg, P, Na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흑미 전분의 경우 Ca, P, Fe, Mg 순으로 나타났다. 입도분포는 두 시료 모두 1.15∼l.75$\mu\textrm{m}$의 작은 피크와 6.27∼6.97$\mu\textrm{m}$ 입자의 큰 피크를 보이는 이중 분포를 보여 두 품종 모두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전분의 요오드 반응에서 최대흡수파장과 λmax에서의 흡광도는 신선찰벼 전분이 각각 518 nm와 0.164, 흑미 전분이 521nm와 0.184로 흑미 전분이 다소 높았으며, 625nm에서의 흡광도 값은 신선찰벼 전분이 0.112, 흑미가 0.140으로 나타났다. 고유점도는 신선찰벼 전분이 178 mL/g, 흑미 전분이 183 mL/g으로 흑미 전분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물결합능력은 103.5%와 103.3%로 두 시료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분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두 시료 모두 55∼6$0^{\circ}C$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6$0^{\circ}C$를 경계로 $65^{\circ}C$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7$0^{\circ}C$이후에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신선찰벼와 흑미 전분의 X-선 회절도는 전형적인 A형을 보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입자의 형태 관찰에서는 두 시료간에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전분의 젤화에 관한 연구 -강남콩 조전분 및 정제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Gelation of Starch)

  • 이진영;안승요;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7-53
    • /
    • 1987
  • 강남콩 조전분 및 정제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가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제 전분의 amylose 함량은 77%이었다. 2. 조전분의 blue value는 0.375, 정제 전분은 0.410이었다. 3. 조전분의 ferricyanide number는 1.00, 정제 전분은 1.94이었고, 조전분의 알칼리수는 8.67, 정제 전분은 6.90이었다. 4. 정제 전분의 amylose분자량은 18,067, amylose 중합도는 112, amylopectin의 분지도는 포도당 100개당 3.7, 그리고 amylopectin 한 가지당 포도당 분자수는 27개이었다. 5. 조전분의 물 결합 능력은 202.1%, 정제 전분은 169.4%이었다. 6. 조전분과 정제 전분의 팽윤은 $70^{\circ}C$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9$0^{\circ}C$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single-stage pattern을 보였다. 7. 조전분 현탁액(0.2%)의 광투과도는 80~83$^{\circ}C$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정제 전분 현탁액(0,2%)의 광투과도는 77~83$^{\circ}C$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8. Amylograph에 의한 조전분 및 정제 전분의 호화는 농도(건물중, 6% 및 8%)에 관계없이 비슷한 양상의 C형을 보였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 from Rice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 고용덕;최옥자;박석규;하희숙;성낙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12
    • /
    • 1995
  • 저온적습$(5^{\circ}C$, 65%)과 고온다습($30^{\circ}C$, 85%) 조건에서 16주 동안 저장한 쌀로부터 분리한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물결합력은 저장 8주까지는 약간씩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같은 경우 저온적습보다 고온다습에서 저장하였을 때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팽윤력, 용해도, 광투과도, 요오드반응 및 총아밀로오스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각각 감소되었고, 저장기간이 같은 경우 저온적습에서보다 고온다습에서 저장하였을 때 약간 낮은 값을 보였다. 전분입자의 크기는 $2{\sim}6{\mu}m$ 정도이며 저장기간과 조건에 따른 입자의 크기나 표면형태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X-ray 회절도에 의한 상대적 결정화도는 저장 4주째부터 크게 낮아졌으며 그 이후는 약간씩 감소되었고, 저장기간이 같은 경우 저온적습보다 고온다습에서 더 낮았다. DSC분석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호화온도는 약간 상승되었으나, 호화온도 범위는 차이가 없었고 호화 엔탈피는 약간 낮았다. 저장기간이 같은 경우 저온적습보다 고온다습에서 변화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고온에서 나타나는 amylose-lipid complex melting peak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융해되는 온도범위가 다소 넓어졌고 정점온도도 약간 상승되었으며, 엔탈피도 증가되었다. 동일한 저장기간인 경우 저온적습보다 고온다습에서 저장하였을 때 위와 같은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 PDF

중국산 녹두전분의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Chinese Mungbean Starch)

  • 이종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1992
  • Recently, plenty of imported Chinese Mungbean is sold, for Korean Mungbean is expensive. But they say, Chinese Mungean has less delicacy and cooking quality. Above all, in comparison with Korean and Chinese Mungbeans properties they are different - Chinese Mungbean grain is twice in dimension, Chinese Mungbean is white and Korean one is yellow in peeled grain color. They are similar in size shape with the microscope. With Amylograph of Brabender the viscosity of Korean Mungbean is gradually and continually increased until heating from $25^{\circ}C$ to $92.5^{\circ}C$ and cooling to $25^{\circ}C$ again, but the one of Chines Mungbean is increased suddenly in 74$^{\circ}C$ and shows the abrupt break-down phenomenon. This same phenomenon is shown in swelling with melting-pointer, In $25^{\circ}C$, the cooling temperature, Chinese Mungbean is measured to 1400 B.U and Korean one 1600 B.U. With color-meter of Richard S. Hunter, 12% gel of Korean Mungbean starch is clear but Chinese one white. The texture of 12% gel of Chinese Mungbean starch with Rheo-meter becomes hardened much more than Korea one. As a result of sensory-test, color, cohesiveness, and flavors of Korean gel is preferred overwhelmingly.

  • PDF

Modified Silica with Cellulose/Starch by Gel-Adsorption Method as Reinforcing Materials for SBR Latex

  • Li, Xiang Xu;Cho, Ur Ryo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3권1호
    • /
    • pp.6-12
    • /
    • 2018
  • Styrene-butadiene Rubber (SBR) Latex composites, incorporated with cellulose/starch-silica hybrids synthesized by gel-adsorption method, were filled into rubber by the latex compounding method. The structure morphology,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of gel-silica hybrids were characterized. The states of hybrids which used as fillers were also characterized by SEM. As the fillers ratio increased, the difference for storage modulus of samples had been morphology by rubber process analyzer (RPA). Then, as more fillers ratio was filled into the matrix, the best tensile strength result, and the largest modulus value were also proved by UTM and RPA. As for thermal stability, increase in the ratio of fillers led to higher initial decomposition temperature, which was also proved by TGA. The swelling ratio of samples has also been characterized. From the results of all the tests, cellulose-silica hybrid showed the best results as a filler, and the best filling ratio of this hybrid is about 10 phr, which has the best storage modulus and great tensile strength.

수분-열처리에 따른 쌀보리 전분의 물리화학적 성질 (Modific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ked Barley Starch by Heat-Moisture Treatment)

  • 강길진;박양균;노일환;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7-101
    • /
    • 1987
  • 쌀보리인 영산보리 전분의 결정구조는 수분-열처리하지않은 것과 수분-열처리 한것 모두 A형을 나타냈고, 그 결정 정도는 수분-열처리 정도가 높아질수록 약해졌다. 물 결합능력은 수분-열처리 정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팽윤력 및 용해도는 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수분-열처리 정도가 높아질수록 같은 온도에서 팽윤력은 감소, 용해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가열에 따른 호화도의 변화는 수분-열처리 하지않은 것과 수분-열처리 한것 모두 $45^{\circ}C$이후 호화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알카리 호화에 의한 점도는 수분-열처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겉보기 점도가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람 특성값은 수분-열처리 정도가 높을수록 호화온도는 약간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점도는 약간씩 낮은 값을 나타냈다.

  • PDF

분질 및 점질 고구마 전분의 아밀로펙틴 특성 (Characterization of amylopectins isolated from dry and moist type sweet potato starch)

  • 김성란;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26-31
    • /
    • 1991
  • 한국산 고구마 중 분질인 수원 147과 점질인 황미로부터 전분을 분리하고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수원 147 전분은 황미전분에 비하여 팽윤력이 낮고 호화개시온도가 높았다. ${\beta}-Amyloysis\;limit(%)$는 수원 147 아밀로펙틴이 57.6%, 황미 아밀로펙틴이 57.0%를 나타내었고, 평균사슬길이는 수원 147 아밀로펙틴이 24.8 포도당단위, 황미 아밀로펙틴이 21.9 포도당단위였다. 아밀로펙틴을 pullulanase로 가지절단처리한 후 Sephadex G-50으로 분획한 결과는 중합도($\overline{DP}\;35{\sim}45$)와 $\overline{DP}\;10{\sim}20$의 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두 아밀로펙틴간 peak의 중합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 PDF

건열처리가 옥수수 전분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y-heat treatment on properties of corn starch)

  • 서정식;이만정;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89-394
    • /
    • 1992
  • 건열$(130{\sim}220^{\circ}C)$ 처리가 옥수수 전분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면 색도의 경우 L값과 a값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b값은 열처리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다. Blue value는 $190^{\circ}C$ 이상에서 약간 증가하였고 물결합능력은 열처리 온도의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다. 팽윤력은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90^{\circ}C$에서의 팽윤력은 $190^{\circ}C$ 이상의 시료에서 약간 감소하였고 용해도는 $190^{\circ}C$ 이상에서 증가하였다. $190^{\circ}C$ 이상에서 고유점도의 상당한 감소, 전분결정도의 감소, 산 또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율의 뚜렷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명반 첨가의 영향 (Effects of Alum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이신영;이상귀;김광중;권익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5-359
    • /
    • 1993
  • 명반이 멥쌀과 찹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멥쌀 및 찹쌀전분의 팽윤력은 두 전분 모두 대조구보다 명반 $0.05{\sim}1.0%(w/w)$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며, 이 농도 이상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용해도는 멥쌀전분의 경우 명반 $0.05{\sim}1.0%(w/w)$ 첨가구에서는 온도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한 반면, 찹쌀전분의 경우는 온도에 관계없이 감소하였으며, 이농도 이상에서는 두 전분 모두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Blue value값은 명반농도가 증가할수록 멥쌀전분의 경우는 증가한 반면, 찹쌀전분에서는 감소하였다. Amylography에 의한 호화양상에 있어서는 명반 1.0%(w/w) 첨가가 멥쌀 및 찹쌀전분의 호화개시 온도와 breakdown값을 증가시켰고 setback값은 감소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