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lit application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and its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on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in Sorghum × Sudangrass Hybrids [Sorghum bicolor (L.) Moench]

  • Jung, Jeong Sung;Kim, Young-Jin;Kim, Won Ho;Lee, Sang-Hoon;Park, Hyung Soo;Choi, Ki Choon;Lee, Ki-Won;Hwang, Tae-Young;Choi, Gi-J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5-222
    • /
    • 2016
  • Nitrogen (N) fertilizer manag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of economic production of sorghums in sustainable agricultur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N application rates and its split N application methods on productivity, growth characteristics, N accumulation, N use efficiency (NUE), and feed value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 Treatments consisted of five N application rates (0, 150, 200, 250, and $300kg\;ha^{-1}$) and two split N application methods (40% in basal N, 30% at the growing stage, and 30% after the first harvest vs. 50% in basal N and 50% after the first harvest). Plant height, leaf width, and stem diameter were increased ($p{\leq}0.05$) with increasing N fertility rates at each harvest. Chlorophyll content (expressed as SPAD values) was the highest at a rate of $300\;kg\;N\;ha^{-1)$ (first harvest, 46.32; second harvest, 33.09). It was the lowest at zero N (first harvest, 21.56; second harvest, 18.5). Total N, N uptake, and NUE were increased with higher N rates. Split N application had little effect on total N, amount of N uptake, or NUE. Total dry matter yields were the highest ($21,715\;kg\;ha^{-1}$) at a rate of $300\;kg\;N\;ha^{-1}$. It was the lowest ($10,054\;kg\;ha^{-1}$) at zero N. Our results suggest that more than $300\;kg\;N\;ha^{-1}$ can improve dry matter yield to be above 116% compared to zero N, thus enhancing the agronomic characters of sorghums.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had been found for split N application. Further work is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N levels and the effect of split N application rates.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심층추비시용(深層追肥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Deep Layer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on the Growth of Rice Plant)

  • 맹도원;김원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147-155
    • /
    • 1977
  • 본도(本稻)에 심층추비(深層追肥)를 하여 초기무효분벽(初期無效分蘗)을 억제(抑制)하고 유효경비율(有效莖比率)을 높여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 지속적(持續的)인 질소공급(窒素供給)으로 수량증수(收量增收)를 위하여 품종(品種)은 동일(統一)과 진흥(振興), 토양(土壤)은 식양토(埴壤土)와 사양토(砂壤土), 배수조건(排水條件)은 무배수(無排水) 배수(排水)로 구분(區分)하여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를 표준시비(표층추비)標準施肥(表層追肥)와 대비(對比)하여 추비비율(追肥比率)을 50%액비(液肥), 50%단자비(團子肥) 80%단자비(團子肥)로 하여 출수(出穗) 35일전(日前) 12cm의 토양(土壤)깊이로 심층추비(深層追肥)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경수변화(莖數變化)를 보면 진흥(振興)은 표층추비(表層追肥)에서 경수(莖數)가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다가 감소경향(減少傾向)도 심(甚)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낮으며 심층추비(深層追肥)에서는 경수(莖數)의 증감(增減)이 완만(緩慢)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현저(顯著)하게 높았다 나) 통일(統一)에서는 진흥(振興)처럼 표층추비(表層追肥)와 심층추비간(深層追肥間)의 경수증감(莖數增減)의 폭(幅)이 크지않으나 80%단자심층추비(團子深層追肥)는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83{\sim}93%$로 가장 높았다. 다) 진흥(振興)에서 80%단자심층추비(團子深層追肥)는 시비량(施肥量)이 많은 것 같다. 라)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은 통일(統一)보다 진흥(振興)이 높은 경향(傾向)이다. 2. 주당총립수(株當總粒數)는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입수(粒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등숙비율(登熟比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다. 3. 진흥(振興)에서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지엽(止葉)의 길이가 길며 수량(收量)과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4. 심층추비(深層追認)는 수확기(收穫期) 고(藁)중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을 증가(增加) 시켰으며 수량(收量)과도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조고비율(粗藁比率)이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증가(增加)하였으며 통일(統一)보다 진흥(振興)이 높았다. 6.정조(精粗收量)은 80%단자심추(團子深追)>50%단자심추(團子深追)>50%액심추(液深秋)>표층추비(表層追肥)의 순(順)으로 심층추비(深層追肥)의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증수요인(增收要因)으로는 표층추비(表層追肥)에 비(比)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의 증가(增加) 및 수수증가(穗數增加)와 진당총립수(振當總粒數)의 증가(增加)로 본다. 7. 토양별(土壤別) 심층추비효과(深層追肥效果)는 통일(統一)은 사양토(砂壤土)에서 진흥(振興)은 식양토(埴壤土)에서 증수(增收)하였다. 8. 통일(統一), 진흥(振與) 다같이 식양토(壇壞土)에서는 80%단자심층추비(鬪子深層追肥)를 제외(除外)하고는 무배수(無排水)에서 증수(增收)하였다. 9. 본(本) 실험실시중(試驗實施中) 출수기(出穗期) 등숙기(登熟期)에 저온(低溫)이 계속(繼續)되어 통일(統一)에서 등숙비율(等熟比率)이 낮았으나 표층추비(表層追肥)에 대(對)한 증수효과(增收效果)는 진흥(振興)보다 통일(統一)이 높았다.

  • PDF

벼 육묘일수가 지연된 어린모 이앙재배시 질소분시 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Nitrogen Management for Infant Rice Seedlings with Extended Nursery Duration by Delayed Transplanting)

  • 한희석;양운호;박정화;윤영환;김제규;양원하;박종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39-243
    • /
    • 2008
  • 벼 어린모의 육묘일수가 지연될 경우 모소질이 불량하여 본답의 이앙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답 이앙재배시 질소 분시방법이 노화된 어린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린모(8일모) 비하여 육묘일수가 지연된 8일 지연된 16일모는 성묘율, 배유양분 잔존율 및 근활력이 낮아졌다. 2. 초기생육은 육묘일수가 지연된 16일모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보다 낮았으나, 16일모 기비중점 시비구(70-0-30%)의 초장, 경수, 신근수 및 근활력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3. 출수기 생육은 육묘일수가 지연된 16일모 기비중점 시비구(70-0-30%)가 경수, 건물중, 엽면적이 가장 높았고, 16일모 관행 시비구(40-30-30%)는 가장 낮았다. 4.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육묘일수가 8일로 지연될 경우 등숙비율, 천립중이 떨어지며, 기비중점 시비구(70-0-30%)는 수수와 수당립수가 많았고, 수량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 비해 3% 증수되었다. 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육묘기간이 8일정도 지연된 어린모를 본답에 이앙하여 재배할 경우 기비중점 시비가 생육 및 수량에 유리한 재배방법으로 사료되었다.

영상미디어 형태 분류에 따른 화면 분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lit Screen according to the Form Classification of Visual Media)

  • 주헌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1-139
    • /
    • 2015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split screen as visual media can attain the effect of diversity through providing rich information and accepting diverse contents as gorgeous aesthetics. Single images are analyzed as appropriate to a demanded concentration genre such as news and dramas, entertainment. In contrast, images with natural images and ads images those are more appropriate and analyzed as the genre of the split-screen which is highly efficiency to the contents and also highly efficiency to the spatial diversification. In introducing various genres of digital contents into split screen, the synergy of contents is induced by plac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lit screen pos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split-screen image, using the left area and right area above i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

수도 기계이앙 재배에서 질소시비가 건물생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Split-application on the Rice Growth and Yield Production under Machine-transplanting in Rice (Oryza sativa L.))

  • 김정곤;이선용;김종호;임무상;조정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8-54
    • /
    • 1987
  • 수도 기계이앙 재배에 있어 관행 시비법과 추비시기 및 비율를 달리하여 적정 분시방법을 밟히고자 '85년 호남작물시험장(이리)에서 동률벼를 공시하여 시험을 실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신질소함량은 기비중점시비(T$_1$, T$_2$)에서는 최고분얼기에 수비중점 (T$_4$, T$_{5}$) 및 5회분시(T$_{7}$)에서는 감수분열기에서 높았다. 2. 출수이후의 CGR, RGR, NAR은 5회분시구(T$_{7}$)가 가장 컸다. 3. 각 생육시기별 CGR과 NAR, NAR과 RGR, CGR과 RGR 간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생육시기가 진전됨에 따라 상관계수가 커지는 경향이었다. 4. 수량에 대한 각 생육시기별 CGR의 상여도는 출수후의 CGR이 가장 컸다. 5. 수량은 기비중점(T$_1$, T$_2$) 보다 수비중점(T$_4$)및 기비 30%후 4회 분시구(T$_{7}$)에서 높았다.

  • PDF

벼에 대한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분시효과 (Application effect in split doses of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plant)

  • 이윤환;신천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5-161
    • /
    • 1974
  • 약제(藥劑) 무방제상태(無防除狀態)에서 벼에 대한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분시효과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규회석(珪灰石)이나 합성고농도규산용융물(合成高濃度珪酸熔融物) 공(共)히 전량기비구(全量基肥區)의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이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 가장 높았으며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분시구(分施區)의 짚중규산함량(中珪酸含量)과의 차이(差異)는 좁혀지고 수확기(收穫期)에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비종간(肥種間)에 있어서는 역용성(易溶性) 규산용융물(珪酸熔融物)의 비효가 규회석(珪灰石)보다 높았으며 추비효과도 현저(顯著)하였다. 분시(分施)에 의(依)하여 무방서(無防徐)에 의한 50%의 엽도열병(葉稻熱病) 이병률(罹病率)을 규회석(珪灰石)은 20~40%로 감소(減少)시켰고 합성고농도규산용융물(合成高濃度珪酸熔融物)은 5~15%로 감소(減少)시켰다. 또한 수수도열병(穗首稻熱病)도 무방제구(無防除區)의 50% 이병율(罹病率)을 각각(各各) 20%로, 10%로 감소(減少)시겼다. 즉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비시기(施肥時期)는 전량기비(全量期肥)가 가장 우수(優秀)하나 추비(追肥)로써도 사용(使用)될 수 있으며 최고분벽기(最高分蘗期) 이전(以前)에 시용(施用)되어야 하고 추비용(追肥用)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는 난용성물질(難溶性物質)보다 유효규산함량이 높고 역용성(易溶性) 규산용융물(珪酸熔融物)을 사용(使用)하는 것이 추비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미세분말(微細粉末)의 풍산(風散)과 엽부착등(葉附着等)을 고려(考慮)한 시비방법(施肥方法)이 모색(摸索)되어야겠다.

  • PDF

불모(不毛)에 가까운 하해혼성충적과부식질배수불량조립질(河海混成沖積寡腐植質排水不良粗粒質)(을숙도(乙淑島)) 토양(土壤)의 개량(改良)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퇴비시용(堆肥施用)과 가리증시(加里增施) 및 분시(分施)가 대두수량(大豆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oor in Humus and Poorly Drained Coarse textured Soil Derived from Fuvio-marine Deposit Which is nearly unarable. -(1) Influence of compost application and increased dose and split application of potassium on the yield of soybean)

  • 김정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9-73
    • /
    • 1969
  •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 을숙도소재(乙淑島所在) 불모(不毛)에 가까운 하해혼성충적과부식질(河海混成沖積寡腐植質) 배수불량(排水不良) 조립질(粗粒質) 토양(土壤)을 개량(改良)할 목적(目的)으로 퇴비시용(堆肥施用)과 가리(加里)의 증시(增施) 및 분시(分施)가 대두품종함안(大豆品種咸安)의 발아(發芽)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할 수 있는 요인시험(要因試驗)을 현지포장(現地圃場)에서 실시(實施)하고 그 수량(收量) 및 생육조사성적(生育調査成績)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대략(大略) 다음과 같다. 1. 퇴비처리(堆肥處理)와 가리(加里)의 증시(增施) 및 분시(分施)는 대두수량(大豆收量)을 현저(顯著)하게 증대(增大)시켰다. 2. 퇴비처리(堆肥處理)는 발아수증가(發芽數增加)에 현저(顯著)한 효과를 보였고 3. 가리증시(加里增施)와 가리분시(加里分施)는 발아수(發芽數) 증가(增加)와 주당완전립수(株當完全粒數) 증가(增加)에 현저(顯著)한 효과를 보였다. 4.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여 주당(株當)꼬투리수(數)가 증가(增加)하면 주당립수(株當粒數)도 따라서 증가(增加)하는 관계(關係)를 보였으나 주당(株當)꼬투리수(數)의 증가(增加)는 대두수량(大豆收量) 증가(增加)에 직접영향(直接影響)을 주지는 못하였다. 5. 따라서 불모(不毛)에 가까운 을숙도(乙淑島) 사질염해지토양(砂質鹽害地土壤)에서는 퇴비시용(堆肥施用)과 가리(加里)를 증시(增施)하되 분시(分施)함으로서 대두(大豆)의 수량(收量)을 현저(顯著)히 증대(增大)시킬 수 있다.

  • PDF

질소(窒素) 시용시기별(施用時期別) 질소흡수율(窒素吸收率)과 수도체내(水稻體內)의 분포(分布)에 관한 연구(硏究) (The effect of application time of fertilizer nitrogen on its uptake rate and distribution in rice plant)

  • 심상칠;김태순;송기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3-118
    • /
    • 1974
  • 수도(水稻)에 대한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의 분시효과(分施効果)와 시용시기(施用時期)에 따른 비료(肥料)의 흡수율(吸收率)과 흡수(吸收)된 비료(肥料)의 수도체내(水稻體內)에서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키 위하여 정보당(町步當) 10kg의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를 전양기비(全量基肥)와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4회(回)에 나누어서 분시(分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용한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는 중질소(重窒素)로 표식(標識)된 유산암모니아를 사용(使用)한 시험결과(試驗結果)이다. 1.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의 분시효과(分施效果)가 컸다. 질소전량기비구(窒素全量基肥區)의 해미(亥米) 수량(收量) 3.1 ton/ha에 대하여 분시구(分施區) 3.4 ton/ha이었고 질소결제구(窒素缺制區)는 1.9ton/ha었다. 2. 수당입수(穗當粒數)와 천입중(千粒重)은 분시구(分施區)가 높았고 주당수수(株當穗數)와 등숙비(登熟比)는 전량기비구(全量基肥區)가 높았다. 3. 기비(基肥), 1차추비(追肥), 2차추비(追肥)와 3차추비(追肥)로 시용(施用)한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의 흡수율(吸收率)은 각각 28%, 33%, 51%와 63%였다. 4. 경엽중(莖葉中)에 함유(含有)되었던 질소(窒素)가 출수(出穗)이후 이삭 부분으로 이동(移動)되며 지엽발생기(止葉發生期)에 시비(施肥)한 질소(窒素)가 제일 많이 이삭쪽에 분포(分布)되었다.

  • PDF

A Split Reservation Protocol for Mobile Hosts in Wireless Networks

  • Kang, Yoo-Hwa;Suh, Young-Joo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111-113
    • /
    • 2000
  • We discuss the problem of resource reservation, such as bandwidth, for delay sensitive application in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As multimedia application is becoming a critical role of the current mobile network, the resource reservation become very important to support the real-time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evaluate a new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called Split Reservation Protocol, in wireless network.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protocol outperforms an existing protocol called MPSVP in terms of network overhead.

  • PDF

호남평야지에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 (Reasonabl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Nitrogen Fertilizer for Early Dry Seeding Culture of Rice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최원영;백남현;최민규;박홍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60-464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을 구명하고자 '97~'98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소분시방법간 토양 중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보면 5엽기에는 관행(T1, 기비시용)보다 추비중점시비(T2, T3)에서 많았고 그 이후는 점차 줄어들어 출수기에는 질소 분시방법간에 차이가 적었다. 엽면적 및 지상부 건물중은 생육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고분얼기 이후에는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 한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질소 흡수량과 질소 이용율은 관행 분시방법보다 추비중점시비에서 높았는데, 2차 추비시기 간에는 5엽기보다 7엽기에 시비한 처리에서 높았다. 수량구성요소 중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질소 분시방법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m^2$당 수수는 T3 > T2 > T1 순으로 많아, 쌀 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3엽기:5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3%,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6%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분시방법은 3엽기:7엽기:수비로 각각 40:30:30%로 분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