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fic plants

검색결과 1,419건 처리시간 0.031초

알루미늄 가공 공장 배출 방류수의 독성 원인물질 탐색 (Application of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Procedures for Toxic Effluents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 나진성;이지호;김기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05-313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xicants causing acute toxicity in effluents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that violate the discharge limits in Korea. Methods: Whole effluent toxicity tests (WET) were conducted on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following the US EPA WET test methods. We collected effluent samples three times and evaluated acute toxicity by using Daphnia magna. We employed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TIE) procedures to identify toxicants causing toxicity in the effluent. Results: No specific chemical groups were identified in the seven different manipulations applied to the of wastewater effluent samples showing 1.3 toxic units (TU) according to the TIE phase I procedures. Water quality parameters for water hardness, electric conductivity and heavy metals (Mn) were 4,322 mg/l as $CaCO_3$, 11.39 mS/cm, and $5,551{\mu}g/l$, respectively. Considering water hardness and reference toxicity, high concentrations of Mn can be disqualified from the causative toxicants. Consequently, high ionic concentrations of $Na^+$(1,648 mg/l), $Ca^{2+}$(1,048 mg/l), $Mg^{2+}$(1,428 mg/l) and $SO_4{^{2-}}$(7,472 mg/l) were identified to be causative toxicants. Water hardness and electric conductivity exceed the $EC_{50}$ value obtained by biological toxicity tests using Daphnia magna. Conclusion: According to TIE procedures, high salt concentration is determined to be a major toxicant in the effluent of agr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receiving wastewater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소규모 풍력발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mall-Scale Wind Turbin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 김도영;김영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9호
    • /
    • pp.1808-1818
    • /
    • 2015
  • 최근 신재생 에너지 중 각광을 받고 있는 풍력 발전의 경우 경제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부분의 풍력 발전단지들이 해상에 조성된다. 그러나 풍력단지 관리자가 해상에 설치된 풍력발전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헬기 또는 보트를 이용해야하며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유지 및 관리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써 풍력발전기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상태 정보 계측 및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풍력발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센서를 풍력발전기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상태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 장치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풍력발전기의 센서 장치 및 제어 장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센터와 계측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한다. 제어 센터에서는 GUI 기반의 모니터링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중앙 집중형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풍력발전기를 관리한다. 또한 제어 센터 이외의 지역에서 원격으로 풍력발전기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단말기 기반의 웹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애기장대 MYB7 유전자의 리그닌 생합성 억제 조절 (AtMYB7 Acts as a repressor of lignin biosynthesis in Arabidopsis)

  • 김원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3호
    • /
    • pp.215-220
    • /
    • 2016
  • 식물의 이차생장의 결과로 생산되는 바이오매스의 대부분은 식물의 이차세포벽에 축적된다. 식물의 이차세포벽은 크게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이라는 3가지 물질로 구성되며 이들 중 페놀성 복합 화학 물질인 리그닌은 셀룰로스나 헤미셀룰로스와 달리 알코올 발효과정의 저해 물질로이다. 따라서, 식물의 이차세포벽 생합성의 과정을 조절함으로 전체 바이오매스의 생산량과 조성을 바이오 에너지 생산을 위해 최적 조건으로 조절함으로써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최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기장대 유래 MYB7 유전자를 CaMV35S 프로모터 조절 하에서 과별현되게 한 식물체와 식물의 전사조절에서 하위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진 SRDX 융합 단백질 즉, MYB7-SRDX 과발현체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YB7 전사조절 인자가 리그닌의 생합성을 억제 조절한다는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는 MYB7 전사조절인자를 이용하면 바이오 에탄올 발효과정에 저해 물질로 작용하는 리그닌을 경감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산 나문재속의 종내·종간 RAPD marker 변이 (RAPD marker variations between and within the species of Korean Suaeda)

  • 심현보;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4
    • /
    • 2004
  • 나문재속은 염습지에서 가장 흔히 자라는 식물인데, 한국산 나문재속은 형태적 변이가 심하여 종 식별이 어렵다. 본 연구는 RAPD분석을 통해 한국산 나문재속의 종간 분류학적 한계를 명확히 하고, 서, 남해안에서 칠면초 집단간의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6개의 primer로부터 65개의 유용한 band를 얻었는데, 그 중 61개가 다형성이었다. RAPD 분석결과 Schanginia절에 속하는 나문재는 Heterosperma절에 속하는 나머지 종들과 조사된 모든 primer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외부형태적으로 구별이 어려운 칠변초, 해홍나물, 기수초에서 종간에 차이가 있는 DNA band가 발견되었다. 칠면초 집단에 대한 조사에서 지역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 RAPD marker가 나타났으나, 지역 내 생육지에 따른 변이는 없었다.

포장에서 케놀라 저온반응성 유전자 발현 (Resposes of Two Cold - Regulated Genes, BN28 and BN115, in Field -Grown Canola (Brassica napus L.))

  • 송문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9-76
    • /
    • 1995
  • 포장상태에서의 케놀라의 저온반응성 유전자인 BN28 과 BNl15 의 발현정도와 그 유전자들의 내 동성에 대한 역할을 구명하기 위하여 6개 품종 ( WRG86, CDH3, Dusul Ceres, Accord, KWC-4113)을 파종기를 달리 하여 파종하고 파종후 15일 간격으로 Sample를 채취하여 RNA를 추출하고 northern blot analysis로써 두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두 유전자의 발현시 기는 내동성이 증가하는 시기보다 조금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식물체가 내동성을 얻기 위하여 이 유전자의 발현을 필요로 하거나 혹은 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요인중 온도 이외의 환경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전자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가 세 파종시기 처리에 있어서 일치하는 점과 또한 내동성의 급격한 증가시기와 일치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저온인 것으로 생각된다. 2. 발현양식에 있어서 두 유전자간의 차이가 관찰 되었는데 이는 두 유전자가 각각 다른 조절기작을 통하여 발현이 통제되는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포장에서의 발현양식은 실험실에서의 그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전자가 발현되어 증가되는 시기는 식물체의 내동성이 증가되는 시기와 일치되었다. 하지만 특정한 시점에 있어서 각 품종간의 내동성의 정도와 유전자 발현정도는 일치하지 아니하였다.

  • PDF

당근 배양세포에서 RGD Peptide가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GD Peptide on Ethylene Production from Cultured Carrot Cells)

  • 이준승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91-398
    • /
    • 1993
  • 식물에서도 동물에서와 같이 RGD(Arg-Gly-Asp) sequence를 매개로 원형질막과 extracellular matrix(ECM)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으므로 RGD sequence가 식물세포의 생장, 분화 등의 여러 가지 생리적인 현상에 관여하리라는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RGD sequence가 당근(Daucus carota L.) 배양세포에서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GD sequence를 포함하는 합성 peptide는 당근 배양세포에서 에틸렌의 생성을 촉진시켰다. RGD peptide는 Indole-3-acetic acid(IAA)와 함께 처리한 경우 에틸렌 생성을 더욱 촉진시켰으며, ACC synthase의 활성도 증가시켰다. RGD sequence가 에틸렌 생성을 촉진시킬 때 어떠한 특이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RGE(Arg-Gly-Glu) peptide, RGK(Arg-Gly-Lys) peptide를 각각 처리하여 보았다. RGE peptide는 RGD peptide와 마찬가지로 에틸렌 생성을 촉진시켰으나 RGK peptide는 에틸렌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RGD peptide의 에틸렌 생성 촉진작용은 RGD dequence를 포함하는 RGD peptide가 ACC synthase의 활성을 증가시켜서 일어나는 현상이라 생각되며, 또한 특정한 아미노산 서열을 요구하는 특이적 반응이라고 생각된다.

  • PDF

노외 감시자를 이용한 압력용기 중성자 조사량 결정 (Fast Neutron Flux Determination by Using Ex-vessel Dosimetry)

  • 유춘성;박종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58-167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노외 중성자 선량 감시자를 이용하여 원자로 압력용기 중성자 조사취화의 핵심 요인이 되는 고속중성자 ($1{\ge}MeV$) 조사량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다양한 중성자 반응에너지를 갖는 다수의 선량감시자를 원자로 외벽 보온 단열재와 1차 생물학적 차폐체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한 주기 동안 조사시킨 후 인출하여 생성핵종에 대한 방사선을 측정하여 반응률을 도출하였다. 또한 상업용 코드를 이용한 중성자 수송계산을 통해 감시자 위치에서의 중성자 스펙트럼을 계산하였다. 두 결과로부터 감시자에 대한 반응률을 직접 비교할 수 있었으며 또한 최소자승 조정 절차를 통해 최적의 중성자 스펙트럼도 도출할 수 있었다. 감시자 측정 결과와 해석적으로 계산한 중성자 조사량 사이에는 관련 규정에서 제시한 ${\pm}30%$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Berberine Sulphate를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에 의(依)한 수목(樹木)마이코플라스마검정(檢定) (Detection of Mycoplasma-like Organisms in Some Tre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Berberine Sulphate)

  • 박원철;라용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32-236
    • /
    • 1991
  • 형광색소(螢光色素) berberine sulphate의 DNA 및 RNA-결합성질(結合性質)을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의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like organism ; MLO) 감염진단(感染診斷)에 대(對)한 효용가치(效用價値)를 조사(調査)하였다. 이병(罹病) 대추나무, 오동나무, 뽕나무 및 일일초(日日草)의 조직절편(組織切片)을 berberine sulphate로 염색(染色)하여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던 바, 사부조직(篩部組織)에서 MLO-특이형광반응(特異螢光反應)이 나타났으나, 건전조직(健全組織)의 사부(篩部)에서는 특이형광(特異螢光)이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berberine sulphate의 조직염색법(組織染色法)은 목본(木本) 및 초본식물(草本植物)의 MLO감염(感染)을 정확(正確)하게 진단(診斷)하는데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임을 보여 주었으며, 사용(使用)이 간단(簡單)하고 비용(費用)이 저렴(低廉)하므로 대량(大量)의 시료(試料)에 대한 신속(迅速)한 검정(檢定)에 이용(利用)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 주었다.

  • PDF

Utility of Selected Non-coding Chloroplast DNA Sequences for Lineage Assessment of Musa Interspecific Hybrids

  • Swangpol, Sasivimon;Volkaert, Hugo;Sotto, Rachel C.;Seelanan, Tosak
    • BMB Reports
    • /
    • 제40권4호
    • /
    • pp.577-587
    • /
    • 2007
  • Single-copy chloroplast loci are used widely to infer phylogenetic relationship at different taxonomic levels among various groups of plants. To test the utility of chloroplast loci and to provide additional data applicable to hybrid evolution in Musa, we sequenced two introns, rpl16 and ndhA, and two intergenic spacers, psaA-ycf3 and petA-psbJ-psbL-psbF and combined these data. Using these four regions, Musa acuminata Cola(A)- and M. balbisiana Colla (B)-containing genom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Some triploid interspecific hybrids contain A-type chloroplasts (the AAB/ABB) while others contain B-type chloroplasts (the BBA/BBB). The chloroplasts of all cultivars in 'Namwa' (BBA) group came from the same wild maternal origin, but the specific parents are still unrevealed. Though, average sequence divergences in each region were little (less than 2%), we propose that petA-psbJ intergenic spacer could be developed for diversity assessment within each genome. This segment contains thre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two indels which could distinguish diversity within A genome whereas this same region also contains one SNP and an indel which could categorize B genome. However, an inverted repeat region which could form hairpin structure was detected in this spacer and thus was omitted from the analyses due to their incongruence to other regions. Until thoroughly identified in other members of Musaceae and Zingiberales clade, utility of this inverted repeat as phylogenetic marker in these taxa are cautioned.

Zircaloy-4 핵연료 피복관의 신파괴인성 시험법 (New Fracture Toughness Test Method of Zircaloy-4 Nuclear Fuel Cladding)

  • 오동준;안상복;홍권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7권5호
    • /
    • pp.823-832
    • /
    • 2003
  • To define the causes of cladding degradation which can take place during the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new fracture toughness test of spent fuel cladding. The fracture toughness of Zircaloy-4 cladding was estimated using the recently developed KAERI embedded Charpy (KEC) specimen. Axially notched KEC specimens cut directly from unirradiated fuel claddings, were tested in a way similar to the standard toughness test method of a Single Edge Bending (SEB) specimen. The results of KEC fracture toughness test at room temperatures were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evious other studies. In conclusions, even though the KEC fracture toughness test of nuclear fuel claddings was easier and more reliable than those developed earlier, the results from the cladding fracture tests were no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but the specific fracture parameters which were deeply related to the specification of claddings. In addition, the phenomenon of a thickness yielding was not observed from the fracture surface.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lane strain condition of the KEC specimen was changed to the plane stress condition during crack advancing. It was also supported by the fractographic evidence that the formation of ductile dimples at the crack initiation became the similar appearance such as a quasi-cleavage after the sufficient crack advan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