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list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32초

우포늪의 홀로세 동안 퇴적환경 변화 및 돌말류 분포 특성 (Holocene Paleoenvironmental Changes and Characteristic of Diatom Distribution in Upo Wetland of Korea)

  • 이호일;이상득;이진영;임재수;권대률;박미례;윤석민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09-137
    • /
    • 2020
  • Upo Wetland is the largest riverine wetland in Korea which has been inscribed on the Ramsar List of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in 1998. In this study, sediment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Upo Wetland during the Holocene. The drilling work for recovering the Quaternary sediments was conducted on the inner part (UPW17-01, UPW17-02, and UPW17-03) and the outer part (UPL17-01, UPL17-02) of the Upo Wetland. The recovered sediments are commonly characterized by gravel-dominated deposits in the lower part and silty clay-dominated deposits in the middle to upper parts respectively, which are seemed to be changed from fluvial to palustrine/lacustrine environments around 4,000 cal yr BP. In order to establish the Holocene diatoms distribution from Upo Wetland, we identified 63 diatom taxa. Of these, 14 species were new records for Korea: Gomphonema consector, Gomphonema jadwigiae, Hantzschia abundans, Luticola pseudomurrayi, Luticola spauldingiae, Neidium suboblongum, Ninastrelnikovia gibbosa, Oricymba rhynchocephala, Pinnularia borealis var. lanceolata, Pinnularia latarea, Pinnularia paliobducta, Pinnularia saprophila, Sellaphora laevissima, Stauroneis pseudoschimanskii. All identified diatom species are illustrated by high-quality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d light microscopic microphotographs. The ecological habitat for all taxa are presente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Galchi- and Myeolchi-Jeotgal by 16S rRNA Gene Sequenc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and PCR-DGGE

  • Lee, Yoonju;Cho, Youngjae;Kim, Eiseul;Kim, Hyun-Joong;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112-1121
    • /
    • 2018
  • Jeotgal is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salt. In this study, w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galchi (Trichiurus lepturus, hairtail) and myeolchi (Engraulis japonicas, anchovy) jeotgal on MRS agar and MRS agar containing 5% NaCl (MRS agar+5% NaCl), and identified them by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as culture-dependent methods. We also performed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as a culture-independent method to identify bacterial communities. Five samples of galchi-jeotgal and seven samples of myeolchi-jeotgal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A total of 327 and 395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galchi- and myeolchi-jeotgal samples, respectively.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MALDI-TOF MS revealed that the genus Pediococcus was predominant on MRS agar,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on MRS agar+5% NaCl. PCR-DGGE revealed that T. halophilus, Tetragenococcus muriaticus, and Lactobacillus sakei were predominant in both types of jeotgal. T. halophilus was detected in all samples. Even though the same species were identified by both culture-dependent and -independent methods, many species identified by the culture-dependent methods were not in the bacterial list identified by the culture-independent methods.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galchi-jeotgal was more diverse than in myeolchi-jeotgal. The diverse LAB in galchi- and myeolchi-jeotgals can be further studied as candidates for starter cultures to produce fermented foods.

해산복족류, Batillaria cumingii CROSSE 에 기생한 흡충류의 유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ercaria of Trematodes Parasitized in the Marine Gastropods, Batillaria cumingii CROSSE)

  • 김영길;최지성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4
    • /
    • 2005
  • 우리나라산 해산 복족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유미자충의 종류를 조사하여 기생종별 형태적 특징과 분류 list를 작성 할 목적으로 2004년 4월부터 2005년 2월까지 2개월마다 1회씩 서해안 금강하구의 내초도에서 해산 권패류인 댕가리를 채집하여 조사한 바, Pygidiopsis summus의 cercaria와 Cercaria pseudogranifera가 검출되었다.검출된 Pygidiopsis summus의 cercaria는 한국 미기록 종으로 기생률은 0.67-20.67%로 8월에 가장 높았고, 10월에 가장 낮았으며, 12월에는 기생패를 검출 할 수 없었다. 반면에 Cercaria pseudogranifera는 기생률이 9.3-74.0%로 간석지 온도가 16$^{\circ}C$인 12월에 가장 높았다.양종의 cercaria가 기생된 댕가리는 이들 기생흡충류의 중간숙주로 새로이 추가된다.

형태적 특징과 유전자분석을 통한 반하(半夏) 감별 연구 (Discrimination of Pinellia tuber throug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analysis)

  • 김홍준;이미영;홍성미;고병섭;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93-104
    • /
    • 2002
  • The following is a list of morphologic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Pinellia tuber. 1. The original plant of Pinellia tuber is Pinellia ternata$(T_{HUNB})$$B_{REIT}$. With regards to its external morphology, it is smaller than other Araceae species and its spadix is longer than its leaves, which trifurcate. 2. As regards its internal morphology, its mucous cell is elliptical and the vessel is helical or annular-shaped. Granules exist in abundance and in various shapes. 3. Distribution and size of laticifers are the key criteria on which to differentiate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Pinellia tuber. Laticifer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epidermis in domestic Pinellia tuber and in the cortical parenchyma in imported Pinellia tuber. The size of laticifers is somewhere between 1,3 and $8{\mu}m$ in diameter in imported Pinellia tuber bigger than its domestic counterpart. 4. RAPD markers display a great similarity in bands between domestic and Chinese Pinellia tuber. However, RAPD primers 352, 358, 365, 368 and 374 are distinctive markers for domestic Pinellia tuber. In the meantime, North Korean Pinellia tuber, morphologically similar to domestic Pinellia tuber, is genertically distinctive from its domestic counterpart in primers 354, 358, 365, 368, 374 and 379, a finding that supports the postulation that North Korean Pinellia tuber is tuber of another Araceae species.

  • PDF

Recent Development of Rapid and Automation Technology for Food Microbiological Examination

  • Hiroshi Kurata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6년도 제11회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식품의 위생 안전성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 /
    • pp.33-33
    • /
    • 1996
  • Interests in the field of rapid methods and automation in microbiology have been growing steadily on an international scale in recent years. International meetings concerned this problem have been held in elsewhere in the world countries since the past twenty years. But, unfortunately in the field of microbial examination in food hygiene, this problem have not yet been developed so much as in the field of clinical microbiology. Today, I would like to introduce you here present aspects of rapid and automation technologies, those which are manly carrying in milk and meats industries. My illustration will be given recent improved technologies using automatic apparatus and instruments along with process of microbial count procedure. Recent direct microbiological counting system (ChemeScan \ulcorner) as real time ultrasensitive analysis created by Cheminex Ltd., France is now most evolutional instrument to provide direct microbial counts, down to one cell, within 30 minutes. The results from these evaluations how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ChemScan system and the standard plate count method. This system will be successful application for not only in the field of pharmacology but also food microbiology. In addition, current identification of microbes by sophisticated instruments suitable for food microbiology, one of which Biology is manual system (BIOLOG\ulcorner), provides reference-level capability at a modes price. For the manual system, the color reactions in the microplate are read by eye and manually keyed into personal computer. Species identification appears on the computer screen within seconds, along with biotype patterns, a list of closely related species, and other useful statistics. In present this is useful application for microbial ecology and epidemiological survey. RiboPrinter system newly produced by DuPont is now focusing among microbiologists in the world, and is one of the biggest microbial characterization system using a DNA-based approach. The technology analyzer is bacterial culture for its genetic fingerprint or riboprint pattern. Finally Bio-cellTracer system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fungal growth and Fukitori-Maseter, a Surface Hygiene Monitoring Kit by using swabe procedure in food processing environment are briefly illustrated in this presentation.

광물명에 대한 제언 1: 금속광물 (Suggestion for Mineral Species Name 1: Metallic Mineral)

  • 조현구;구효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5-150
    • /
    • 2019
  • 최근 남북한 사이에 화해의 분위기가 무르익어가고 있으므로, 미래에 발생할 한반도 통일을 대비하는 관점에서 남북한 사이의 광물명을 통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외래어 표기법에 다른 언어에서 빌려온 어휘를 한글로 표기하는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물명의 경우 이를 준수하지 않고 같은 외래어 광물명에 대하여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외래어 표기법에 맞도록 통일해야 한다. 금속광물과 비금속광물 모두에 ${\bigcirc}{\bigcirc}{\bigcirc}$석을 사용하고, 외래어 표기법 용례 찾기에 포함된 약 70개의 광물명은 용례 찾기에 나와 있는 대로 표기하고, 인명이나 지명에서 유래한 광물명은 인명이나 지명 + 석으로 표기할 것을 제안한다.

Aquilaria 속 식물 분포도에 근거한 심향(沈香)의 학명 (The Scientific Name of Aquilariae Lignum based on distribution of Aquilaria spp.)

  • 김인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3-19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rrect the scientific name of Aquilariae Lignum in Korean Herbal Pharmacoepia. Methods : The production areas of Aquilariae Lignum and its trading status with China in Chinese history, Sanscrit-Chinese Translation Sutra, Naming year and the discovered district in main Aquilaria spp., Several nation's Pharmacoepia, The Plant List(TPL),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CITES) and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IUCN) were cross-checked. Results : The records in the Jiaozhouyiwuzhi written in the early 2nd century said that Aquilariae Lignum was produced in Vietnam. NanfangCaomuZhuang written in 304 said that Agarwood in Vietnam had white flowers. Vietnam had led production and trading of Aquilariae Lignum until Qing Dynasty. Aquilariae Lignum from Malaysia and Indonesia was not traded with China. In Sanscrit-Chinese Translation Sutra, India Aquilariae Lignum was translated as Vietnam Aquilariae Lignum. Aquilaria malaccensis was discovered from Malay-Peninsular in 1783, and has green or dirty yellow flowers. A. agallocha from North-Eastern India in 1814, white flowers. A. crasssna from Vietnam in 1914, white flowers. A. crassna is different from A. malaccensis in several ways, such as flower, fruit, seed and disribution. In several Nation's Pharmacoepia, A. crassna was a synonym of A. agallocha. But in TPL, CITES and IUCN, A. malaccensis was an accepted name, and A. agallocha was a synonym of A. malaccensi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at the original species of Aquilariae Lignum in Korea Herbal Pharmacoepia should be reversed from A. agallocha to A. crassna Pierre ex Lacomte.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 다양성 및 특이종 분포 양상 (Diversity of Aquatic Insects of Taean Area in South Korea, with Notes on Species-Specific Distribution)

  • 정상우;민홍기;황호성;서예지;배연재;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8-70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2회에 걸쳐 충청남도 태안군 일대의 담수생태계를 중점으로 수서곤충의 다양성, 섭식기능군, 서식기능군 및 분포특이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태안군 전체에서 수서곤충은 총 6목 30과 72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별 출현종수는 정수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잠자리목이 22종(30.56%)으로 가장 높게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 21종(29.16%), 노린재목 17종(23.61%), 파리목 8종(11.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천에 풍부하게 서식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과 날도래목(Trichoptera)은 각각 2종(2.78%)으로 매우 낮게 출현하였으며, 청정수역을 대표하는 강도래목(Plecoptera)과 유수지역에 서식하는 뱀잠자리목(Megaloptera)은 출현하지 않았다. 섭식기능군은 잠자리목(Odona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이 우세하게 출현하여 Predators(48종, 66.67%)의 비율이 높았고, Shredders와 Scrapers는 출현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은 Swimmers(24종, 33.33%), Climbers(18종, 25.0%), Sprawlers(12종, 16.6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섬과 같은 정수지역에 서식하는 무리의 구성으로 내륙지역의 수서곤충 무리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환경부지정 분포특이종 및 위기(EN), 준위협(NT), 취약(VU) 종으로 적색목록 범주에 포함되어있는 동쪽애물방개(Cybister lewisianus), 투구물땡땡이(Helophorus auriculatus), 단발날도래(Agrypnia pagetana), 각시물자라(Diplonychus esakii) 4종의 서식처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외반출승인종인 새노란실잠자리(Ceriagrion auranticum)와 작은등줄실잠자리(Paracercion melanotum) 2종,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북방아시아실잠자리(Ischnura elegans) 1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포특이종 및 야생에서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4종에 대해서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2006년~2012년) 자료를 포함하여 국내 전국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낙동강 지류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상주: 병성천, 북천, 외서천) (Aquatic and Riparian Flora of the Nakdonggang River Tributary (Sangju: Byeongseong-cheon, Buk-cheon, Oeseo-cheon))

  • 황용;홍정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16-535
    • /
    • 2020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흐르는 병성천, 북천, 외서천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을 밝히고, 생활형을 파악하여 지역 자원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병성천, 북천, 외서천 등 3개 하천에서 실시하였고, 관속식물의 종조성은 78과 203속 300종 5아종 15변종 1품종 등 총 3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병성천은 46과 93속 124종 3아종 6변종 등 133분류군, 북천은 65과 155속 207종 4아종 12변종 등 223분류군, 외서천은 48과 104속 126종 2아종 4변종 등 132분류군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생 및 수변식물은 138분류군으로 그중 수생식물은 20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수변식물은 1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생활 형태별로 3개 하천에서 출현한 정수 식물은 13분류군, 부엽식물은 1분류군, 침수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육 형태별로 분류하면 1년생이 43분류군, 2년생이 24분류군, 다년생이 7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국가적색목록 대상 종은 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5분류군이 학인되었고 3급 이상은 5분류군이다. 국외반출승인종은 3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식물은 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생태계 교란종은 4분류군이 포함되었다. 귀화율은 16.1%, 도시화지수는 16.2%로 나타났다. 식물유용성에서는 213분류군 (66%), 약용 244분류군(76%), 향료용 10분류군(3%), 산업용 136분류군(42%), 관상용 137분류군(43%), 복원용 117분류군(36%), 사료/퇴비용 155분류군 (48%), 용도 미상 24분류군 (7%)으로 확인되었다.

생태복원 식물종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cological Restoration Plant Species Use - Focusing on the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Fund Return Projects -)

  • 조동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25-547
    • /
    • 2021
  • 이 연구는 생태복원을 하는 데 있어서 식물종을 사용하는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6년간 수행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58개소에 대한 식재 도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식재한 식물의 분석은 준공 및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전체 선정 현황과 함께 성상별, 규격별, 식생 기후대별, 육상 및 습지의 서식처별, 자생식물과 재배식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조사 및 분석 과정에서 식물 이름이 잘못된 경우가 많아서 이에 대한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58개 대상지에서 식재에 사용한 식물은 282 분류군이었으며, 교목류는 91종, 관목류는 69종, 만경목 11종, 초본류는 111종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식물종은 조팝나무, 팥배나무, 상수리나무, 잔디, 좀작살나무와 병꽃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교목 중에서는 팥배나무, 상수리나무, 이팝나무, 느티나무, 산수유 순이었으며, 관목류는 조팝나무, 병꽃나무, 좀작살나무, 산철쭉, 화살나무 순이었다. 초본류는 잔디, 구절초, 벌개미취, 물억새, 수크령 순이었다. 식생기후대별 분석에서는 온대중부산림대와 난대수림대 모두에서 조팝나무, 좀작살나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패턴은 기후대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서식처별 분석 결과, 습지에서는 물억새와 털부처꽃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자생식물과 재배식물의 선정 비율이 76% 대 24%로 재배식물의 선정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면에 적시된 식물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 및 국가생물종목록에 나타나지 않는 보통명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앞으로 식물명에 대한 올바른 사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식재 식물의 사용과 관련해서는 선정 식물의 다양화와 함께 기후대의 특성을 고려한 식물 선정, 생태복원에 사용하는 식물 규격을 낮추는 접근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지식물의 경우에는 생태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 접근이 중요했고, 자생식물 중심의 식물 선정을 위해 재배식물 사용 비율을 최소화하는 것들이 필요한 과제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