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wn cultiva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표고 톱밥배지 영양원, 접종 및 배양조건에 따른 균사배양 및 자실체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ycelium Cultivation and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the Sawdust Media Nutrients and Inoculation and Cultivation Conditions)

  • 정연석;김민준;장영선;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69-80
    • /
    • 2023
  • 표고버섯의 배양조건은 버섯의 생산량과 품질에 많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의 배양조건을 변화시켜 생산성 및 품질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체와 고체 두 가지 형태의 종균을 사용하였고, 톱밥배지의 영양원으로 옥수수가루를 사용하였다. 명배양 과정에서는 광조건을 청색광으로 변화시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품종으로는 산백향을 이용하였다. 옥수수가루를 이용한 결과 배양 21일까지의 균사생장률이 최대 2.7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지의 중량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종균을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톱밥종균을 이용하였을 때 보다 자실체의 생산량이 1.2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청색광을 이용한 실험군에서는 1.1배의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자실체의 무게와 갓 크기는 톱밥종균을 사용한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버섯의 무게 및 대두께는 청색광을 이용한 조건에서 더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혀를 통한 맛 분석 결과 옥수수가루를 사용하였을 때 짠맛이 증가하였고, 청색광을 사용하면 시큼한 맛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까시재목버섯이 옻나무 껍질의 urushiol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enniporia fraxinea on Eliminating Urushiol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 이지현;정석태;강지은;최한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7-3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urushiol 제거에 적합한 장수버섯 종균용 원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세 가지 곡물조, 현미, 통밀에서의 장수버섯 균사체 증식속도는 각각 4.92±0.05, 2.20±0.03, 1.93±0.03 mm/day 이었다. 장수버섯이 배양된 곡물종균의 laccase의 활성은 각각 0.86±0.02, 0.04±0.01, 0.01±0.00 U/mL 이었다. 증식속도와 효소활성 측면에서 장수버섯 종균용 곡물로는 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조에 배양된 장수버섯 종균을 옻나무에 배양하였더니 3일차에 urushiol이 최대 86.6% 감소하였고 7일차에 98.5%까지 감소하였다. Urushiol 제거를 위한 적정 배양기간은 3일이었으며 이때 flavonoid 잔존량은 68%, phenolic 성분의 잔존량은 42% 이었다. 액체종균을 사용하여 배양한 것과 비교했을 때 urushiol을 제거하기 위한 증식기간이 10일에서 3일로 단축되었다.

전통적인 버섯재배지에서 사용되는 미강의 역할 (The Role of the Rice Bran Employed in the Traditional Spawn Sawdust Medium)

  • 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1991
  • 톱밥배지에서 생성되는 탄산까스를 정량하여 생리실험을 하였다. 14일 배양 기간에서, 탄산까스생산량을 균의 성장을 표시하는 균의 무게성장으로 간주하였으며, 이는 톱밥배지에서 균의 생리 parameter 측정에 응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종균 배양에 흔히 사용되는 미강의 역활로서, 미강은 전분, 질소영양분, 및 금속영양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으로 미강은 종균배양에서 빠른 속도의 성장으로 다른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느타리버섯 종균의 미강함량이 재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Bran Added at Spawn-making on th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전창성;김광포;신철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
    • /
    • 2000
  • 느타리버섯 벗짚재배에서 사용되는 종균에 영양원으로 첨가되는 미강의 첨가량이 버섯재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종균에 사용된 미강의 첨가량은 톱밥배지 상태에서 균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균사생장 및 밀도가 가장 우수한 것은 $10{\sim}20%$이었다. 2. 미강첨가량에 따른 종균을 볏짚배지에 사용한 결과 미강첨가량에 따른 균사생장의 차이는 없었으며, 접종된 종균의 균사밀도는 미강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았다. 3. 포장시험에서는 $15{\sim}20%$의 미강 처리구에서 수량이 가장 많고, 초발이소요일수는 짧으며, 병해의 발생이 없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표고톱밥재배시 톱밥종균과 액체종균의 접종량 차이에 따른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Productivity according to Different Quantity of Sawdust and Liquid Spawn for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 박원철;이봉훈;가강현;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4
    • /
    • 2008
  • 중온성 품종을 사용했을 때 톱밥종균과 액체종균의 접종량에 따라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했다.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은 수확이 차수별로 분산되고 자실체도 산발적으로 발생되었다. 반면에, 액체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은 톱밥종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확이 1차 발생에 집중되었고 자실체들도 조밀하게 발생되었다. 7차 발생까지의 총수확량과 버섯 개수도 액체종균 처리구가 톱밥종균 처리구보다 더 많았다. 또한 배지무게의 30%가 생산된 액체종균 20 ml 접종 처리구의 생물적효율은 69%로 처리구들 중 가장 높은 반면에, 톱밥종균 10 g 접종 처리구의 생물적효율은 42%로 처리구들 중 가장 낮았다. 그리고 비록 총수확량 중 10 g 이상 되는 버섯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지만, 10 g 이상 되는 버섯의 양은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이나 액체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복령의 인공 재배법 개선과 항산화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prove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ia cocos)

  • 강안석;강태수;손형락;서상명;강미선;김광포;이정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78-382
    • /
    • 1999
  • 복령의 인공재배기술을 개선하고 복령추출물의 생리활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균의 종류 및 접종법에 따른 검토결과, 종목 양면접종법이 균핵형성정도, 균핵 갯수, 균핵 생산수율 및 개당 평균 중량에서 가장 좋았으며, 톱밥 양면접종법이 균핵형성 및 생성수율에서 가장 낮았다 복령의 품질과 생산성을 종합하여 판단할 때, 최적 종균 및 접종방법은 종목 양면접종 > 종목 절단면접종 > 균핵 양면접종 > 톱밥 양면접종의 순이었다. 복령균핵으로부터 분리한 생리활성물질인 조 복령당의 함량은 83%이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점도가 상승하였으며, 염의 첨가 농도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EDA, POV, TBA)을 측정한 결과, TBA가의 경우에는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 E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POV와 EDA에 의한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에서는 BHT나 비타민 C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버들송이의 균사배양조건 및 최적 접종량 설정 (Condition of mycelial culture and inoculum volume of spawn on cultivation of Agrocybe cylindracea)

  • 이기권;유영진;최규환;정종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8
    • /
    • 2012
  • 본 연구는 버들송이버섯의 균사 생육 최적조건을 구명하여 액체종균을 제조하고 또한 톱밥종균의 영양원을 선발하기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고, 선발된 종균에 대한 종균 접종량을 설정하여 병재배에 적합한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버들송이버섯의 톱밥종균은 미송톱밥(70%)+밀기울(30%)의 비율, 포플러톱밥(80%)+옥수수가루(20%) 조건으로 배합할 때 균사 생육이 양호하였다. 액체종균에 대한 영양원 선발 및 첨가량은 백설탕 1.0~1.5%, yeast extract $0.7g/{\ell}$, 콩가루 $0.17g/{\ell}$, 무기물은 $MgSO_4{\cdot}7H_2O\;0.3g/{\ell}$, $KH_2PO_4\;0.5g/{\ell}$, $K_2HPO\;1.2g/{\ell}$가 최적 조건이었다. 이때 선발된 배지의 접종량은 액체 및 톱밥종균을 $25m{\ell}/850m{\ell}$$20{\sim}25g/850m{\ell}$로 접종 할 때 자실체 발생이 양호하였다.

배지 pH, 배지함수율 및 종균접종량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재배 특성 및 수량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parassis crispa according to medium pH, medium moisture content, and inoculum volume of liquid spawn)

  • 허병수;최규환;조영민;김희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3-310
    • /
    • 2020
  • 꽃송이버섯은 우리나라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재배를 시작하였고, 국내에서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육성한 '너울'이 2016년에 최초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꽃송이버섯에 대한 재배매뉴얼이 없어 여전히 농가마다 자실체 생산성의 차이가 큰 실정이다. 이에 꽃송이버섯 '너울'의 발이조건을 구명하고 안정생산 기술을 개발하고자 배지 pH, 배지함수율, 종균접종량 조건에 따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재배일수, 수확률과 자실체 중량을 고려한 연중 병당 수량은 pH 3.8 처리구가 363.6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H 3.6 조건에서는 수량이 189.5 g으로 급감하는 점, pH 4.0 조건이 배양일수가 짧고 pH 3.8 조건과 비교하여 재배일수가 같으며, 자실체 중량 차이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점, 농가에서 활용 시 정밀한 pH 조절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pH 3.9±1로 조절하여 재배해야 안정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배지함수율을 65%로 조절하고, 배지부피의 4%에 해당하는 액체종균을 접종 후 배양실 내 습도조건을 50% 이하로 설정하면 연중 병당 341.8 g을 생산할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재배(裁培)에 있어서 배지량(培地量) 및 종균(種菌) 재식량(載植量)이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the Quantities of the Rice Straw Substrates and Spawn on the Yield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박용환;장학길;고승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
    • /
    • 1977
  • 볏짚을 이용(理容)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us (Fr.) $Quacute{e}l.$] 재배(栽培)에 있어서 배지량(培地量) 및 종균재식량(種菌裁植量)이 자실체(字實體)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고자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 볏짚량(量)을 $90kg/3.3m^2$까지 증가(增加)시켰을 때 자실체(字實體) 수량(收量)은 $102kg/3.3m^2$으로 가장 높았고, 종균(種菌)을 표면(表面) 재식(裁植)할 경우(境遇) 종균량(種菌量)은 $8kg/3.3m^2$까지 증가(增加)시키므로서 증수(增收)되었으며 균사생장(菌絲生長) 기간(期間)도 단축(短縮)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