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oordinates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의 좌표지각능력과 위치표상능력과의 관계 연구 (Young Children's Ability to Use Spatial Coordinates and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 김지현;이정욱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13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abilities to use spatial coordinates and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by children's age and sex,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bilities. It also explored whether the young children could use coordinates as the frames of reference for representing spatial locations. Seventy 5- and 6-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Seoul and in Bu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on the children's ability to use spatial coordinates and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on these two abiliti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ses two abilities of using spatial coordinates and representing spatial locations. Most of the young children used landmarks as the frames of reference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while some of the children were partially able to use spatial coordinates. Twenty percent of 6-year-old children were fully able to use spatial coordinates as the frames of reference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 PDF

유아의 정보처리양식과 연령이 공간좌표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Spatial Coordinates)

  • 오미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25-13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a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in understanding spatial coordinates. For sampl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Korean version K-ABC Intelligence Test(Moon, Soo-Back, 1997)was conducted with 165 children aged 5-6 who were attending I and G kindergarten in D city. From this pool 30 children who possessed sequential processing style and 30 children who possessed simultaneous processing style were sampled. In order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spatial coordinates, a test tool was formulated according to methodology of Blades & Spencer(1989) which was modified. Acquired data was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rrived at: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year-olds and 6-year-olds in understanding spatial coordinates. The 6-year-old group got statistically higher grades than the 5-year-old group in locating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and reading the coordinate numbers.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in understanding spatial coordinate. Children with high simultaneous-low sequential processing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locating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and reading coordinate numbers than children with high sequential-low simultaneous processing. Thirdly, after verify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teractivity between young children's age and children's processing strength,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in both tasks.

자율 이동로봇의 경로추정을 위한 적응적 공간좌표 검출 기법 (Adaptive Spatial Coordinates Detection Scheme for Path-Planning of Autonomous Mobile Robot)

  • 이정석;고정환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5권2호
    • /
    • pp.103-109
    • /
    • 2006
  • In this paper, the detection scheme of the spatial coordinates based on stereo camera for a intelligent path planning of an automatic mobile robot is proposed. In the proposed system, face area of a moving person is detected from a left image among the stereo image pairs by using the YCbCr color model and its center coordinates are computed by using the centroid method and then using these data, the stereo camera embedded on the mobile robot can be controlled for tracking the moving target in real-time. Moreover, using the disparity mad obtained from the left and right images captured by the tracking-controlled stereo camera system and the perspective transformation between a 3-D scene. and an image plane, depth information can be detected. Finally, based-on the analysis of these calculated coordinates, a mobile robot system is derived as a intelligent path planning and a estimation.

A binocular robot vision system with quadrangle recognition

  • Yabuta, Yoshito;Mizumoto, Hiroshi;Arii, Shir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80-83
    • /
    • 2005
  • A binocular robot vision system having an autonomously moving active viewpoint is proposed. By using this active viewpoint, the system constructs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images of a feature points on the right and left retinas and calculates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feature points. The system incorporates a function of detecting straight lines in an image. To detect lines the system uses Hough transform. The system searches a region surrounded by 4 straight lines. Then the system recognizes the region as a quadrangle. The system constructs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quadrangles in the right and left images. By the use of the result of the constructed correspondence, the system calculates the spatial coordinates of an object. An experiment shows the effect of the line detection using Hough transform, the recognition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calculation of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object.

  • PDF

GPU를 사용한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처리 (An Efficient Technique for Processing of Spatial Data Using GPU)

  • 이재일;오병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71-379
    • /
    • 2009
  • 최근 그래픽 프로세서(GPU)의 발전에 따라 대량의 프로세서를 탑재한 고성능 그래픽 카드가 개인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GPU를 사용하여 CPU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복잡한 연산을 처리해야 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공간 데이터 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GPU의 병렬 처리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원본 공간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그래픽 처리 연산이 필요하며 같은 종류의 연산을 모든 데이터에 적용해야 하므로 GPU의 SIMD 병렬 처리를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663-690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감각 중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핀란드, 독일, 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지도 학년과 학년별 내용, 위치, 방향, 좌표, 경로, 거리의 공간 방향 요소와 요소별 내용과 현실 맥락을 중심으로 국가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교과서 비교 분석 결과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교육과정에 공간 방향 내용과 기간 확장 및 고학년의 공간 방향 지도 강화, 공간 방향 내용 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경험 제공, 학생들 주변의 친숙하고 현실적인 맥락 활용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전송 효율 향상을 위한 공간 데이터 압축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al Data Compression Methods for Improvement of Mobile Transmission Efficiency)

  • 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253-1258
    • /
    • 2006
  • 모바일 벡터 지도 서비스 환경에는 공간 데이터의 특성상 큰 데이터 용량으로 인한 단말기 리소스 부족과 전송시간 지연과 같은 애로사항이 존재 한다. 정상적인 모바일 벡터 지도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들이 필요하다 그중에서 공간데이터 압축기법은 대역폭과 클라이언트에서의 대기 시간 축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압축과 복원에 소요되는 오버헤드가 전체 효율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고찰할 필요가있다. 본 논문은 공간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2가지 기법을 제시한다. 하나는 공간 객체별로 기준 좌표 및 상대 좌표를 전송하는상대좌표 변환 압축기법이고 또 하나는 클라이언트 좌표로 서버에서 미리 좌표 변환하는 클라이언트 좌표 변환 압축 기법이다. 그리고 구현 실험으로 그 효과와 효율을 평가한다.

MLCA와 비트 단위 연산을 이용한 컬러 영상의 암호화 (Color Image Encryption using MLCA and Bit-oriented operation)

  • 윤재식;남태희;조성진;김석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1-14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MLCA(Maximum length CA) 및 여원 MLCA를 이용한 영상 암호화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암호화 방법은 영상에서 인접한 픽셀간의 공간적 중복성(Spatial redundancy)으로 인해 암호화의 결과가 원 영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방법에서는 MLCA 기반의 난수열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픽셀의 공간좌표를 암호화된 공간좌표로 변환한다. 이후 영상의 픽셀 값을 난수열과 XOR 연산을 취해 색상정보를 암호화한다. 이러한 방법은 원 영상의 픽셀 값뿐만 아니라 공간좌표를 암호화하기 때문에 픽셀의 공간적 중복성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암호화 수준을 향상시킨다. 히스토그램 분석, 키공간 분석을 통해 본 암호화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Star Coordinates 기법을 이용한 원격탐사 데이터의 다차원 시각화 제안 및 클러스터링 (Multi-Dimension Visualization Proposition and Clustering of Remote Sensing Data Using Star Coordinates Technique)

  • 김대성;김용일;유기윤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313-318
    • /
    • 2005
  • 단 밴드 영상과는 달리 다차원 데이터는 분광적인 특성을 이용한 자동화된 영상 분석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3차원 이상의 데이터를 분광차익 상에 시각화 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정보 추출은 자동화된 영상 분석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분야 중 하나로서, 분광차원에서 구 형태의 조밀한 클러스터를 분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부정형(不定形)의 클러스터를 추출하는 방법에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든 차원의 데이터를 2차원 상에 시각화하여 화소간 인접성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Star Coordinates 기법을 제안한다. 데이터의 다차원 시각화를 통해, 부정형 클러스터를 제거하여 다음 단계의 영상 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명확한 클러스터를 확인 지정하여 클러스터링 정확도를 골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가적인 연구고서, Star Coordinates 기법을 적용하여 Plot된 영상 데이터를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감독 분류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평면상에 있는 점위치 결정을 위한 컴퓨터장 비젼의 응용 (Application of Computer Vision System for the Point Position Determination in the Plane)

  • 장완식;장종근;유창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24-1128
    • /
    • 1995
  • This paper presents the appplication of computer vision for the purpose of determing the position of the unknown point in the plane. The presented contrik method is estimate the six view parameters req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plane coordinates and the real physical coordinates. The estimation of six parameters is indispensable for transforming the 2-dimensional camera coordinates to the 3-dimensional spatial coordinates. Then, the position of unknown point is estimated based on the estimated parameters depending on the cameras. The suitability of this control scheme is demonstrated experimentally by determining of position the unknown point in the pla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