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ompatibility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개별균열 연결망 모델에 근거한 추계적 연속체 모델의 구성기법과 두 모델간의 적합성 분석 (A Methodology to Formulate Stochastic Continuum Model from Discrete Fracture Network Model and Analysis of Compatibility between two Models)

  • 장근무;이은용;박주완;김창락;박희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1권2호
    • /
    • pp.156-166
    • /
    • 2001
  • 균열암반에서의 지하수유동 모사를 위한 추계적 연속테 모델링 기법이 개발되었다. 추계적연속체 모델은 균열수의 제한을 가지는 개별균열연결망 모델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별균열연결망 모델에서 가능한 확률론적 해석과 전도성이 큰 균열을 통한 지하수 유동을 근접하게 모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추계적연속체 모델은 개별균열연결망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개별균열연결망 모델은 일정크기의 소블록으로 나누어지며 각 소블록 투수계수의 확률밀도함수와 베리오그램 함수로부터 추계적연속체 모델에서의 투수계수의 공간적 분포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추계적연속체 모델과 개별균열연결망 모델의 적합성을 보여 주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통하여 지하수 유동 이동시간을 계산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그리고 추계적연속체 모델은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확률론적 안전성 펑가를 위해 필요한 지하수 유동속도의 확률분포를 제공할 수 있는 모델임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가축분뇨실태조사를 위한 양분수지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Nutrient Budget Model for Livestock Excreta Survey)

  • 김덕우;유홍덕;임도영;정유진;김용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69-779
    • /
    • 2017
  • Nutrient (i.e., nitrogen and phosphorus) budgets are required under a 'Livestock Excreta Survey'. A nutrient budget is one of the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tha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s and outputs of the amount of nutrients within a certain boundary and for a certain time period (e.g., 1 year). In this study, a nutrients budget model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determine the surplus of nutrients within a region in Korea. The C# program language was us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ploymen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o enhance compatibility. Also, the model was developed on Windows OS, which is the commonly used operating system in Korea. The model was based on the OECD/Eurostat nutrient budget method, and it was modified to consider manure composting procedures as well. There are key features of the nutrient budget model, including directly use of the original data sets from various input and output sources, and a collectively exchange of the address in different formats. The model can quickly show the results of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with the same data, as well as perform a sensitivity analysis with coefficients and easily compareresults using tables and graphs. Further,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utilization, such as the application of various nutrient budget methods. It would also be helpful to investigate both pre and post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linking input data through online systems.

재생 환경에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타이틀 생성 방법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for Generating Independent Multimedia Title in Display Environment)

  • 박대혁;강의선;홍마리아;서정만;임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06
  •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에 의존적인 재생기가 필요하다. 재생기의 중복 개발에 따른 데이터 호환성 및 소모적인 리소스 사용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타이틀 컨텐츠를 인터넷 문서로 제작하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멀티미디어 타이틀에 저작된 내용을 인터넷 페이지로 재생성하고자 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간동기화를 위해서 CSS Layer를 기반으로 화면 구성을 하고, 졸업앨범에서와 같이 학생의 신상 정보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멀티페이지 화면을 인터넷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전용 DB 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사용 가능한 XML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넷 문서에 연동하여 서비스 가능하도록 하였다. 인터넷 페이지의 스크립트에 의해서 인적정보를 갖는 XML 데이터와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전용 재생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터넷이 접근 가능한 어떤 곳이든 전용 재생기 없이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재생할수 있다.

  • PDF

2차원 지리 객체를 위한 시공간 객체 모델 설계 (Design of a spatiotemporal object model for 2D geographic objects)

  • 이현아;남광우;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1호
    • /
    • pp.43-56
    • /
    • 2002
  • 지금까지 시공간 객체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표현하려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대부분의 연구는 GIS적 관점과 시간 데이터베이스 관점, 그리고 객체 지향적 관점 및 데이터타입 접근 방법으로 시공간 객체를 표현하고 있다. 시공간 객체는 공간 속성이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객체, 위치 정보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객체, 그리고 면적과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객체로 분류된다. 그러나 기존의 시공간 모델들은 한 종류의 객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유클리드 평면상에서 세가지 형태의 객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시공간 객체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유효시간 개념을 확장한 시간 모델과 함께 객체의 연속된 두 버전간의 관계성을 정의하여 이동 객체와 이력 객체 모두를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제안하는 2차원 시공간 객체 모델은 개방형 GIS 명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2차원 공간 객체 모델을 따름으로써 표준 공간 모델과의 호환성을 보장한다.

Small-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sarum sieboldii metapopulation in a valley

  • Jeong, Hyeon Ji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3호
    • /
    • pp.97-104
    • /
    • 2021
  • Background: Asarum sieboldii Miq., a species of forest understory vegetation, is an herbaceous perennial belonging to the family Aristolochiaceae. The metapopulation of A. sieboldii is distributed sparsely and has a short seed dispersal distance by ants as their seed distributor. It is known that many flowers of A. sieboldii depend on self-fertilization. Because these characteristics can affect negatively in genetic structure, investigating habitat structure and assessment of genetic structure is needed. A total of 27 individuals in a valley were sampled for measuring genetic diversity, genetic distance, and genetic differentiation by RAPDPCR. Results: The habitat areas of A. sieboldii metapopulation were relatively small (3.78~33.60 m2) and population density was very low (five to seven individuals in 20×20 m quadrat). The habitat of A. sieboldii was a very shady (relative light intensity = 0.9%) and mature forest with a high evenness value (J = 0.81~0.99) and a low dominance value (D = 0.19~0.28). The total genetic diversity of A. sieboldii was quite high (h = 0.338, I = 0.506). A total of 33 band loci were observed in five selected primers, and 31 band loci (94%) were polymorphic. However, genetic differentiation along the valley was highly progressed (Gst = 0.548, Nm = 0.412). The average genetic distance between subpopulations was 0.387. The results of AMOVA showed 52.77% of variance occurs among populations, which is evidence of population structuring.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a small-scale founder effect had occurred, an individual spread far from the original subpopulation formed a new subpopulation. However,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individuals would have been far and genetic flow occurred only within each subpopulation because of the low density of population. This made significant genetic distance between the original and new population by distance. Although genetic diversity of A. sieboldii metapopulation is not as low as concerned, the subpopulation of A. sieboldii can disappear by stochastic events due to small subpopulation size and low density of population. To prevent genetic isolation and to enhance the stable population size, conservative efforts such as increasing the size of each subpopulation or the connection between subpopulations are needed.

ORYZA2000 모델에 기반한 격자형 벼 생육 모의 지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Gridded Simulation Support System for Rice Growth Based on the ORYZA2000 Model)

  • 현신우;유병현;박진유;김광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0-279
    • /
    • 2017
  • 최적의 재배관리나 식량생산 관력 정책 수립의 위해 지역적인 작물 생산성 모의 정보들이 사용 될 수 있다. 국내 주요 작물인 벼의 생산성 예측을 위해 ORYZA2000 모델이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지역 규모에서 생산성을 예측하기 위한 격자별 작물 모델 구동 체계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형식의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작물 모델을 구동하고 공간적인 생산성 예측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입출력 처리 모듈과 격자별 모델 구동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각각의 모듈은 C++와 R을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사례 연구를 위해 남한의 논 지역을 대상으로 2000년대에 대한 생산성을 모의하였다. 1km 및 12.5km 해상도의 격자형 기상자료로부터 13000여개의 기상입력자료가 생성되었다. 관행적인 재배관리 설정을 사용하여 격자별로 구동을 하였으며, 출력자료는 다시 netCDF 형태의 격자형 자료로 취합하였다. 모의된 벼 생산성의 공간적 분포는 실제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실제 생산성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이앙시기, 품종 등의 재배관리의 차이 또는 기상자료의 불확실성에 의해 생기게 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격자별 모델 구동 시스템을 통해 다른 작물 모델을 이용한 격자별 모의가 가능할 것이다.

개인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절토사면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utting Slope Management System Using PDA)

  • 김재철;박재국;양인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69
    • /
    • 2007
  • 자연재해의 규모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대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 피해 복구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지출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사후대책에서 예방위주의 정책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할 때이다. 예방위주의 정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IT기술, 첨단정보수집기술, 운영기술 등 첨단기술의 통합을 유도하여 광범위한 자연재해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IT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정보수집에 있어 여전히 종이양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과거 산사태 발생지와 사면정보가 종이형태로 유지되어 정보의 공유가 어렵고, 자료가 유실되거나 내용을 식별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수집과 시스템과의 호환성, 정보의 관리차원에서 절토사면을 대상으로 PDA를 이용하여 정보수집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시간으로 현장 정보를 다양한 형태(위치, 사진, 텍스트)로 수집이 가능하였으며, 현장에서 SMR법을 이용하여 암반사면의 안정성 여부를 개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전통교통계획과정에 있어서 GIS의 역할 및 기능적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Functional Intergration Strategy in the Conventional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 최기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7-140
    • /
    • 1993
  • 전통적인 교통계획 모형의 취약점으로서는 모형자체가 가지는 이론적 한계외에 이용자의 불편성(User-Unfriendness) 및 노동집약도(tabor-Intensiveness)를 들 수 있다. 본고의 핵심은 현재 정보 및 컴퓨터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있는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하여 기존 교통계획 모형이 가지는 몇 가지의 단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모형사용의 효율화를 증진 해 보자는 데 있다. GIS의 교통계획에의 응용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되어질 수 있는 바, 첫 번째는 GIS 자료구조의 변형을 통한 응용이고 두 번째는 GIS가 지니는 그래픽 기능의 직접적 사용이다. 교통계획 및 공학의 직접적인 대상인 교통망은 교통연구의 시발이 되는 기본 자료로서 수정 및 조정이 필수불가결 한데도 기존의 계획모형에서는 교통망의 준비부터 그 수정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었고 그에 따른 계획전반의 경직성이 나타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벡터방식의 GIS 자료가 가지는 특성의 하나인 위상관계로부터 교통망 자료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이 FORTRAN을 기본으로 하여 개발되었고 이는 교통망의 수정 및 조정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교통망상의 교통량을 산출하기 위해 교통죤과 교통망간의 적합성(Zone-Network Compatibility)을 검증하는데도 매우 편리한 도구가 된다. 또한 GIS 자료구조 중 하나의 특성인 인접성(Adjacency) 정보는 지역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갖는 지역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추출과 함께 교통죤(Traffic Analysis Zone:TAZ)의 공간적 재구성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미 기존의 교통계획 모형 중 그래픽을 제공하는 것들이 있지만 그래픽은 GIS 자체가 가지는 고유한 기능중 하나인 만큼 교통계획 패키지가 제공하는 것보다 더욱 생생한 교통망 묘사(Network descrition)를 통해 교통분석후의 제반 교통특성(교통량, 교통량/용량 비(比), 속도 등)을 교통망상에 표시할 수 있음으로서 의사결정에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A FUNDAMENTAL STUDY TO DEVELOP STANDARD TECHNOLOGY CRITERIA FOR IT-CONSTRUCTION FUSION TECHNOLOGIES, TO BE APPLIED TO A U-CITY

  • Kyoon-Tai Kim;Jae-Goo Han;Chang-Ha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52-1358
    • /
    • 2009
  • As the demand for a convergence between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IT is on the rise, as seen in the visualization of U-City construction, studies on the ways in which IT in should be utilized in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field have been continuously and actively performed. However, there has been almost no development of standardized technology criteria relating to the life cycle of a building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at is, there are almost no examples of efforts made to combin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IT in a fundamental way, considering the environment, the facility, its spatial characteristics, engineering, materials, and structure, aspects that are commonly required not only for interior spaces but also for exterior construction of U-City. Despite the fact that a state-of-the-art infrastructure has been built, and the competency of users with the cutting-edge technology, composite studies on technologies, facilities, services and spaces are still lacking, and basic research on the composite operation method including compatibility and linkage between facilities and services within a U-City has been insufficient as well. It is generally known that by fusing IT with construction technologies, the total period of construction taken can be reduced and construction expenses can be curtailed, while construction quality can be improved. For this reason, it is vital to prepare a standardized base to connect cutting-edge IT with the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preparing such a base, the most urgent issue is to develop standardized technology criteria.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technological criteria system required to apply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to U-Cities, and to develop the technological criteria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U-Cities. This paper, whose objective is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by way of analyzing the criteria for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jects, the necessity of criteria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U-Cities' development, is the underlying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strategies established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criteria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and to contribute to a knowledge base in the construction-IT field. In addition, based on the strategies established, criteria for construction-IT fused technologies, such as design criteria and construction standards, will be developed, and by applying these criteria and standards, the ultimate objectives of U-Cities, which are the enhancement of urban competitiveness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will be attained

  • PDF

IFC 기반 GIS와 BIM 프로젝트 통합관리 및 상호 운용성 강화 (Enhancing Project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GIS and BIM Based on IFC)

  • 김태희;김태현;이용창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89-102
    • /
    • 2024
  • 최근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트윈 기술의 발전으로 GIS와 BIM의 융합이 도시 계획 및 건설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융합은 정보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여 원활한 정보 교환에 기여하지만,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표준화와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FC 기반 프로젝트의 통합 관리를 위한 GIS와 BIM의 상호운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최신 IFC4 버전을 기준으로 IFC 스키마와 데이터 구조를 심층 분석하고, 기준점 좌표 및 좌표계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에서 사용하는 EPSG:5186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가상이동원점 좌표를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BIMvision을 통해 BIM 모델의 형상과 오류 점검 좌표의 이동 결과를 검토한 결과, 기준점 좌표가 이동된 만큼 오류 점검 좌표도 일관되게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네이버지도 및 도로명주소에서 사용되는 EPSG:5179와 카카오맵에서 사용되는 EPSG:5181로 좌표계를 변경해도 BIM 모델의 형상과 좌표가 변형 없이 일관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IFC 파일에 EPSG 코드 정보를 입력하여 프로젝트 간 좌표계 연동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S와 BIM의 정보 공유, 자동화 프로세스, 협업 강화, 지속 가능한 개발 등을 위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간 호환성을 높이고, 여러 프로젝트에서 정보 일관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