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utting Slope Management System Using PDA

개인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절토사면 관리시스템 개발

  • 김재철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scale of a natural disaster grows bigger and bigger every year. The government spends much of its budget on recovering the resulting damage on a national scale. It is important to shift the paradigm from taking measures after a disaster to that of taking preventive actions before a disaster in order to bring a fundamental resolution to such problems. In taking preventive actions an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various kinds of advanced technologies including IT, high-tech information gathering technology and operational technology, and to predict and evaluate natural disasters on a comprehensive level. Although Korea is a country with a strong IT sector, most information gathering is still performed in paper. In particular, information about the areas of previous landslide occurrences and slopes remains on pap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to discern the contents, and also raises the possibility of missing documents. Thus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 information gathe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cutting slopes using PDA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compatibility, and information management. As a result, field information may be gathered in a variety of forms (location, photos, and texts) real-time. A rough judgment was also made of the stability of rock slopes using the SMR method on the field.

자연재해의 규모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대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 피해 복구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지출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사후대책에서 예방위주의 정책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할 때이다. 예방위주의 정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IT기술, 첨단정보수집기술, 운영기술 등 첨단기술의 통합을 유도하여 광범위한 자연재해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IT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정보수집에 있어 여전히 종이양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과거 산사태 발생지와 사면정보가 종이형태로 유지되어 정보의 공유가 어렵고, 자료가 유실되거나 내용을 식별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수집과 시스템과의 호환성, 정보의 관리차원에서 절토사면을 대상으로 PDA를 이용하여 정보수집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시간으로 현장 정보를 다양한 형태(위치, 사진, 텍스트)로 수집이 가능하였으며, 현장에서 SMR법을 이용하여 암반사면의 안정성 여부를 개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Keywords